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eon, Hye-Young & Oh, Seon-Hye. 2017.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on the Language of Journalism”. The sociolinguistics Jouranl of Korea 25(3). 231~258. This research aims to collect the social dialects used in the press society, to describe its meaning, and to analyze the morphemes of lexical forms and phrases. As a result of this work, we can document unrecorded lexical forms and phrases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and answer the question on characteristics of journalism language. Most prior research on social disalects focused on the language of hierarchies, generations and races. However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lexical forms and phrases per the occupation. We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personal interviews from November 2016 to March 2017. We had one hours interviews with 10 respondents who were working as reporters at Chosun Biz, Joongang Ilbo, Hankook Ilbo, JTBC, MBC, and Yonhap News. The collected variant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usage method and described lexical meaning. Then, later we found lexical and pragmatic peculiarities of a social dialect such as abbreviations, loan words, compounds, duplicity, metaphoric expression and high context. This information will likely impact linguistics and journalism. It will be possible to purify Korean language and to unify the meanings of commonly used terms.
        6,700원
        2.
        201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뉴스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연합뉴스가 빅데이터 저널리즘을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심층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합뉴스 기자들과 빅데이터 저널리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뉴스 미디어 환경 변화, 변화하는 연합뉴스의 위상과 전략, 빅데이터 저널리즘의 필요성과 활용방안에 관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소비자들이 뉴스 생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었지만 불확실한 뉴스 유통이나 선정적 기사 양산, 언론의 신뢰도 하락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었다. 연합뉴스는 언론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도매상 역할과 일반 독자들과 만나는 소매상 역할을 동시에 맡게 되었고, 이에 따라 속보 외에도 일반 독자들의 요구에 맞춘 새로운 기사의 형식과 내용을 시도하는 전략 수정이 요구되고 있다. 저널리즘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혁신 방안 중 하나로 제시된 빅데이터 저널리즘은 탐사보도, 지역보도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위한 선결 과제로 전담 부서와 인력 확충, 기자 교육 프로그램 마련, 공공 데이터 확보 등이 실무적 차원으로 제시되었다.
        8,300원
        3.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난 10 여 년간 국내 언론사의 여성기자 비율은 증가했으나 이러한 증가가 뉴스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남녀 기자간 차별이 감소와 이어지는가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방송뉴스를 뉴스의 중요도, 취재의 강도 등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조직 내에서의 남녀 기자간 위상과 노동의 차이가 뉴스 생산물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과 2012년의 전형적인 기간 동안과 태풍이 오는 자연재해 기간 동안의 지상파 방송국 3사의 메인 뉴스 일주일을 표집하여 총 4주 분의 뉴스가 내용 분석되었다. 뉴스의 중요도 부분에서는 남녀 기자별 취재하는 뉴스 분야와 보도 순서, 보도 양의 차이가 존재했으나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을 나타난 것은 뉴스 분야이다. 특히 정치 분야에 대한 여성기자의 진출은 수적으로는 증가했으나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여전히 남성기자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도순서의 경우에도 남성기자의 뉴스가 더 많이 앞부분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재의 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취재원 수, 취재지역, 재난시기의 뉴스비율, 위험성 여부가 측정되었다. 취재원의 수는 남성기자보다 여성기자의 뉴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취재지역은 여성기자의 경우 과거에 비해 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시기동안의 여성기자의 취재비율 전형적인 기간보다 더 증가되어 남녀 기자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300원
        4.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뉴스 콘텐츠의 디지털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변화들이 기자 들의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재 미디어 환경 의 변화로 인해 뉴스소비자들의 뉴스소비 스타일과 방식이 급격히 바뀌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외 신문업계의 방안 중 하나가 통합뉴스룸이라 할 수 있다. 통 합뉴스룸은 기존의 종이신문과 방송 그리고 웹을 통합하여 텍스트 · 비디오 · 오디 오 · 그래픽을 아우르는 뉴스 콘텐츠를 생산하여 다양한 매체를 통해 뉴스를 공급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통합뉴스룸 이후 국내 언론사에 종사하는 기자들을 대상으로 언론조 직 문화에 대한 인식과 조직몰입, 직무만족 등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기자 들의 이직의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뉴스룸을 도입한 신문사에서 종사하는 기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언론사에서는 관계지향형, 혁신지향형, 위계지향형등의 언론조직문화 유형중 위계지향형이 기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 그리고 직 무탈진 등이 기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7,800원
        5.
        2010.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6.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출발시각기준 실시간 링크통행시간 추정정보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통행시간 정보의 질을 정확성(추정오차)과 신속성(시간처짐)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그리고 통행시간 정보의 질과 링크길이 및 혼잡수준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출발시각기준 실시간 링크통행시간 추정정보의 정확성과 신속성은 서로 상충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확성을 나타내는 '추정오차' 는 계통오차(systematic error)와 혼잡수준을 반영하는 평균자승오차(MSEE)로 구성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간처짐은 '최소시간처짐', '혼잡에 의한 시간처짐', '갱신간격에 의한 시간처짐'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실제 AVI자료에 적용한 결과, 링크길이와 혼잡수준에 관계없이 추정오차가 5%일 때, 시간처짐은 약 10분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8.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Lycium ruthenicum Murr. was known as black wolfberry. It belongs to Solanaceae. In order to elucidate biological activities and functional substances of Lycium ruthenicum Murr., the methanol extract of Lycium ruthenicum Murr. harvested from Qaidam Besin. area was prepared and was studied. Methods and Results : Antioxidant,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Lycium ruthenicum Murr. were examined using diverse in vitro bioassays and functional substances were analyzed by HPLC and LC-MS/MS. The methanol extract of Lycium ruthenicum Murr. showed strong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lso showed strong SOD-like activity.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 of Lycium ruthenicum Murr. for the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s,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RT-PCR was performed. SOD expression was strongly increased by the methanol extract of Lycium ruthenicum Murr. CAT expression was also increased with dose-dependent manner. The methanol extract of Lycium ruthenicum Murr. showed inhibitory effects against α-glucosidase and α-amylase, and also inhibited NO production. Anticancer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 of Lycium ruthenicum Murr. assay were examined with five human cancer cell lines. The potent anticancer activity exhibited in HepG2 hepatoma cells. As a result of main component analysis by HPLC, chlorogenic acid and rutin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flavonoids of Lycium ruthenicum Murr.. In addition, by LC-MS/MS, petunidine-3-O-rutinoside (trans-p-coumaroyl)-5-O-glucoside was determined as a major anthocyanin of Lycium ruthenicum Murr.. Conclusion : Lycium ruthenicum Murr. showed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and could be used as a food and a functional material to enhance human health. Further study to identify an unknown flavonoids of Lycium ruthenicum Murr. would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