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1.
        202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
        202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3.
        2024.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4.
        2024.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5.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7.
        202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8.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9.
        202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0.
        202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200원
        11.
        2023.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200원
        13.
        2023.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4.
        2023.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5.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까지 송대의 기행문에 대한 연구는 남송 시기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周必大 가 아닌 陸遊와 范成大의 작품에 주로 편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에서 연구되어진 바 없는 주필대의 기행문 중 『歸廬陵日記』, 『泛舟遊山錄』, 『奏事錄』, 『南歸錄』을 중심으로 주필대 기행문의 특징이 무엇인지 소개하는 동시에 그것이 송대 기행문의 형성과 발전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함께 고찰해 나아가려 한다.
        5,400원
        16.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중국의 장편 기행문을 고전 문학 교학에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모색한 연구이다. 기존 대학 강의에서 이미 다루어지고 있는 장르가 아닌 기행문을 선택한 이유는 여행이라는 매력적인 주제를 통하여 대체로 난해하게 여겨지던 중국 고전을 학습자에게 보다 흥미롭게 전달하기 위함이며 또한 수백 년 전 문인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그 속에서 문학 교육뿐만 아니라 언어ㆍ역사ㆍ문화 교육으로 자연스럽게 연계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론에서는 교학에서 주로 다루게 될 宋 代 기행문인 『入蜀記』와 『吳船錄』을 소개하고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사용하게 될 몇 가지 웹사이트를 살펴본 후 향후 강의에 직접 활용이 가능하도록 학습 지도안을 예시로 작성했다.
        5,400원
        18.
        201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20.
        2013.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걸어서 세계 속으로’와 ‘세계 테마 기행’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여 행다큐멘터리의 표현방식의 차이가 장소재현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분석하였다. 표현방식을 서술자에 대한 서술방식과 시청각적 진술로 나누어 분석 한 결과, 전자의 서술자는 관광객의 입장에서 볼거리 위주의 고정되어 있는 미디 어의 장소를 재현하였고, 후자의 서술자는 관광지의 일상생활 속에 적극적으로 개 입하여 삶의 흔적을 드러내며 경험의 총체로서 실제의 장소를 재현하였다. 시청각 적 진술의 차이를 통해서도 두 다큐멘터리의 장소재현에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걸어서’는 매스 미디어를 통해 익히 알아온 정보와 관광명소를 한 번 더 보는듯한 인상을 주면서 평균화된 장소를 재현하였다. ‘세테기’는 관광객의 동선이 아닌 주민들의 삶의 동선을 따라가며 진술하면서 주민들 각자에게 고유하면서도 다면적인 장소를 재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관광명소 중심의 일면적인 소개를 넘 어서서 여행지의 존재물들과 현지인들과의 상호작용을 다면적으로 보여주는 다양 한 형식의 여행다큐멘터리가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6,3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