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달팽이육질을 2차 발효공정을 통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개발하여, 피부미용학적 항 노화 활성에 관한 것이다. 1차 발효물을 얻기 위하여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로 배양하였으며, 2차 유산균 발효공정을 통하여 2차 발효달팽이 추출물을 얻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다. 이 연구에 적용된 균사체는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 (Hericium erinaceum Mycelium)와 유산균 (Leuconostoc mesenteroides) 발효균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물의 최종 수율은 62wt%이었다. 2차 발효된 달팽이 추출물의 수분 32wt%, 아미노산 단백질류 31.5wt%, 다당체 15.7wt%, 지방산 12.3wt%, 기타성분이 8.5wt%가 함유하였다. 또한 피부미용학적 이론과 피부의 항노화에 관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DPPH에의한 항산화 활성, 엘라스틴의 효소(elastase)감소효과, tyrosinase저해율, fibroblast의 성장율, 콜 라겐합성률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를 하기와 같이 보고한다. 첫째; 2차 발효달팽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DPPH, IC50%)는 7.27 mg/mL로, 비교군인 녹차추출물 11.8 mg/mL, 일반달팽이추출물 15.7 mg/mL, DL-a-토코페롤 9.25 mg/mL가 소요되었다. 둘째; 2차발효달팽이추출물의 엘라스틴 효소(elastase)의 발 현억제능(IC50%)은 32.5 mg/mL로 비교군인 녹차추출물 45.9 mg/mL, 일반 달팽이추출물 67.7 mg/mL가 소요되었다. 셋째; 2차 발효달팽이 추출물의 tyrosinase의 발현억제능(IC50%)은 140.3 mg/mL로 비교군인 녹차추출물 250.7 mg/mL, 일반달팽이추출물 389.5 mg/mL, 니아신아마이드 125.9 mg/mL가 소요되었다. 넷째; 2차 발효달팽이 추출물의 fibroblast의 성장률은 125.6%로 비교군인 녹차 추출물 98.9%, 일반 달팽이추출물 109.5%, DL-a-토코페롤 96.2%의 활성력을 보였다. 다섯째; 2차 발 효달팽이 추출물의 collagen생합성률은 118%로 비교군인 녹차추출물 87.3%, 일반달팽이추출물 93.2%, 아데노신 127.9%의 성장률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미래에는 피부미용학적 활용 과 더불어 한국적 스킨케어 화장료 개발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4,300원
        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단계 발효된 달팽이 추출물을 5% 사용한 시트 마스크 팩 (2F-SEM)을 개발하였 다. 이에 대한 피부미용학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순면 100%의 시트를 사용하여 얼굴모양으로 커팅 하여 사용하였다. 플라세보 마스크 팩 (placebo mask pack; PM)과 일반 용매추출에 의한 달팽이 추출 물을 사용한 마스크 팩 (Gene-SEM)에 대하여 피부 개선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보고한다. 첫째; 2F-SEM의 보습효과는 PM 보다 11%, Gene-SEM는 PM 보다 4.7%가 상승되었다. 둘째; 2차 발효달 팽이 추출물이 함유된 마스크 팩의 탄력도는 PM 보다 13.8%, Gene-SEM PM 보다 6.7% 이상 개선하 는 효과를 보였다. 셋째; 2F-SEM의 피부 거칠기는 PM 보다 6.80%, Gene-SEM는 PM 보다 2.3%가 개선되었다. 넷째; 2F-SEM의 멜라닌감소효과는 PM 보다 15.0%, Gene-SEM는 PM 보다 8.7%이상 개선되었다. 다섯째; 2F-SEM의 잔주름개선효과는 PM보다 8.0%정도 우수하였다. Gene-SEM는 PM 보다 5.1%이상 개선되었다. 여섯째; 2차 발효 물을 이용한 2F-SEM의 관능 평가는 부드러움(softness), 보습 감(moisture), 주름개선효과(fine wrinkle improvement)에서 유의 차 있는 사용감촉을 보였다.
        4,200원
        3.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원목 및 톱밥배지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달팽이류에는 산민달팽이와 민달팽이 2종이 대표적이다. 산민달팽이는 주로 야산을 끼고 재배되는 원목 표고버섯 재배지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며, 민달팽이는 주로 평지에서 재배되고 있는 톱밥배지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피해를 주고 있었다. 산민달팽이와 민달팽이는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5월~10월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피해는 자실체와 갓을 갉아먹어 상품성을 저하시켜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유발하였다. 피해율은 원목표고버섯에서 15~25%, 톱밥배지 표고버섯에서 30~75%였다. 본 시험에서는 포식성 천적인 아큐레이퍼응애를 이용한 민달팽이류의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은 5월~10월 사이에 천안의 원목표고, 부여와 화성의 톱밥배지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수행되었으며, 아큐레이퍼응애의 방사밀도와 방사회수에 따른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아큐레이퍼응애를 330㎡ 당 5,000마리, 10,000마리, 20,000마리 밀도로 방사한 후 60일 이후에 방제효과는 각각 50%, 75%, 85%로 방사밀도가 많을수록 효과는 높았다. 그리고 2주~한 달 간격으로 1회~7회 방사하였을 때 방제효과는 4회 이상 방사하였을 때 80% 이상의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산민달팽이와 민달팽이의 생물적 방제를 위해서는 아큐레이퍼응애를 330㎡ 당 10,000마리 이상의 밀도로 연중 4회 이상 방사할 경우 8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와 함께 버섯의 피해율도 5% 이내로 줄이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방제효과는 2년째, 3년째 등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다 더 높은 효과가 있었다.
        4.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ood preference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gray field slug, Deroceras reticulatum Muller (Stylommatophora: Limacidae) using various foods. The food preference of D. reticulatum was most highest on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followed on cucumber (Cucumis sativus L.), and significantly low on beet (Beta vulgaris var. Ruba), kale(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D.C), carrot (Daucus carota L.) and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which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The total number of eggs laid by D. reticulatum was the highest (n = 109.6) on cucumber and the lowest (n = 10.1) on leaf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Hatchability was the highest (92.4%) on cucumber and the lowest (62.5%) on leaf perilla. The egg developmental perio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12 days to 13 days among host plants. Juvenile period and adult longevity ranged from 75 days to 111 days and 66 days to 187 days, respectively. Thereby, life span from egg to adult longevity of D. reticulatum was the longest on cucumber with 273 days and the shortest on 190 days on leaf perilla.
        4,000원
        5.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달팽이, 두줄민달팽이 및 노랑뾰족민달팽이에 대한 인삼사포닌 분말의 살충률 및 기피효과를 평가하였다. 인삼사포닌 500X와 1,000X의 노랑뾰족민달팽이 및 두줄민달팽이에 대한 분무처리 후 3일차의 살충률은 각각 100.0%와 48.1% 및 100.0%와 38.9% 이었다. 인삼사포닌 100X와 500X의 달팽이에 대한 살충률은 각 각 50.0% 및 43.3% 이었다. 한편, 인삼사포닌 500X과 1,000X의 노랑뾰족민달팽 이 및 두줄민달팽이에 대한 오이 절단 침지처리에 의한 처리 후 2일차의 살충률은 각각 10.0%와 0.0% 및 100.0%와 53.3% 이었다. 또한 인삼사포닌 500X와 1,000X 의 달팽이에 대한 침지처리후 2일차의 살충률은 각각 53.3%와 20.0% 이었다. 한 편, 인삼사포닌 500X와 구리테이프의 조합여부에 따른 노랑뾰족민달팽이의 방사 후 4일차의 누적 기피율은 인삼사포닌 500X에서 98.4%, 인삼사포닌 500X+구리 테이프에서 100.0% 이었다. 따라서 달팽이류에 대한 인삼사포닌의 살충효과는 침지처리보다 분무처리에서 높았으며, 달팽이 종류에 따른 인삼사포닌의 살충효과는 껍질이 있는 달팽이보다 껍질이 없는 민달팽이류에서 높았다. 또한 인삼사포닌의 노랑뾰족민달팽이에 대 한 기피효과는 98%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 인삼사포닌을 이용한 달팽이의 친 환경 살충제 및 기피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pecies of land snails (Stylommatophora) that feed on perilla plants were observed under leaf perilla greenhouses cultivated in the Milyang and Busan areas. Four species of land snails were recorded. Among them, three species were slugs, Meghimatium bilineatum in Phlomycidae, Deroceras reticulatum, and Limax marginatus in Limacidae, and one species was the snail Acusta despecta sieboldiana in Bradybaenidae. D. reticulatum occurr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A. despecta sieboldiana, L. marginatus and M. bilineatum. Annually, land snails showed two peaks in the middle of April and in late November for D. reticulatum, early May to middle November for A. despecta sieboldiana, and middle April and early November for L. marginatus. M. bilineatum, however, did not show any clear peak because of its low population occurrence.
        4,000원
        7.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민달팽이류는 온난하고 습한 환경을 좋아하여 국내의 시설작물 재배 시 주요 관 리대상의 하나로 인식되어 있다. 민달팽이류는 주로 야간과 흐린 날에 은신처에서 나와 적극적으로 활동함으로 관리하기가 어렵고 방제효과도 높지 않는 것으로 여 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시설작물 재배 시 야간에 작물생육을 위해 전조하는 광 파장에 따른 민달팽이류의 유인행동반응을 조사하여 민달팽이류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 고자 하였다. 자체 제작한 정육면체의 흑색 아크릴상자(높이×폭=50cmx 70cm) 내 부의 중앙에 원통형(직경 25cm) 방을 두고 그 주위로 6개의 방을 일정하게 두어 중앙의 방에 두줄민달팽이, 작은뾱족민달팽이 및 노랑뾰족민달팽이를 각각 방사 하여 위면 뚜껑내부에 적색(610nm), 주황색(587nm), 황색(572nm), 연두색(557nm) 및 초록색(527nm) LED광을 부착하여 방사한 민달팽이류가 어떤 LED광의 방으 로 이동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두줄민달팽이는 주황색(15.8%)으로 가장 많이 이동 하였고, 다음은 황색(11.7%)>연두색(3.3%) >초록색(1.8%)의 순 이었다. 작은뾰 족민달팽이의 이동도 두줄민달팽이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주황색(21.6%), 황색 (20.0%) 및 적색(14.2%)에서의 이동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노랑뾰족민달팽이 는 모든 광원에서 10.0% 이하의 낮은 이동률을 보였으나, 주황색(10.0) 및 적색 (6.7%)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이동률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민달팽이류는 단파장 보다는 장파장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이에 관한 정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 로 여겨진다.
        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gg size and weight of the gray field slug, Deroceras reticulatum Müller, was 1.91×2.19 ㎜ and 3.3 ㎎ at 24℃, respectively. Its weight increased from newly laid eggs to adults for 17 weeks at four temperature regimes and was heaviest at 20℃, followed by 24, 16 and 28℃. Likewise, hatching rate of the egg batches was highest with 95% at 20℃, followed by 24, 16 and 28℃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The number of eggs in the batches was increased with 20 at 20℃ while it was only 10 at 28℃. The average accumulated egg-laying days was longest with 15 days at 20℃ while shortest with 9 days at 24℃. The range of egg-laying period was shortest with 84-134 days at 16℃ and longest at 20℃. Thus, the total number of eggs laid by adult D. reticulatum was highest with 217 at 20℃ and lowest with 105 at 16℃. The egg period was 12-19 days while the juvenile period and adult longevity were 51-68 days and 85-134 days, respectively. The life span of D. reticulatum from egg to adult was longest with 216 days at 20℃, followed by 193 days at 24℃, 170 days at 16℃ and 151 days at 28℃. Accordingly, the most favorable temperature for the oviposition, development and longevity of D. reticulatum is 20℃.
        4,000원
        9.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영남지역에서 농작물(노지 및 시설작물)을 가해하는 주요 달팽이의 종류 및 발생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주요 달팽이류는 3과 4속 5종으로 달팽이과(Bradybaenidae) 1종, 민달팽이과(Philomycidae) 1종, 뾰족민달팽이과(Limacidae) 3종 이었다. 달팽이(Acusta despecta sieboldiana)의 1회 발생기는 3월 중순부터 6월 상순, 2회 발생기는 9월 하순부터 12월 중순이었다. 발생최성기는 1회가 5월 상순, 2회는 11월 중순이었다. 민달팽이류는 1회 발생기가 1월 하순부터 5월 하순, 2회 발생기는 10월 하순부터 12월 하순이었으며, 발생최성기는 1회가 4월 중하순, 2회는 11월 중하순 이었다. 달팽이와 민달팽이류의 발생량은 작은뾰족민달팽이(Deroceras reticulatum Müller)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달팽이, 두줄민달팽이(Limax marginatus Müller), 민달팽이(Meghimatium bilineatm Benson), 노랑뾰족민달팽이(Limax flavus Leannaeus) 순이었다. 노랑뾰족민달팽이는 지금까지 제주도에서 2회 채집한 것으로 기록되었는데, 2009년 경남 통영에서 발생을 확인하였다. 금후 지구온난화가 더욱 진행되면 본종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분포가 확대될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국내에서 지금까지 보고된 달팽이 및 작은뾰족민달팽이에 대한 자료를 정밀 조사한 결과, 명주달팽이는 달팽이, 들민달팽이는 작은뾰족민달팽이로 확인되었다.
        10.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농작물에 대한 달팽이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피제를 탐색하기 위해 포트 정식된 배추를 대상으로 대형 곤충사육상자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국내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몇 종의 달팽이류에 대해 친환경 자재로 이용되고 있는 동식물 추출물과 외국에서 달팽이 기피제로 이용되고 있는 구리제 등을 이용하여 기피효과를 조사하였다. 작은뾰족민달팽이를 대상으로 한 기피시험에서 녹차추출물 달용이는 달팽이 접종 9일 뒤에 95%의 높은 기피율을 보였으나 목초액은 기피효과가 전혀 없었다. 수용성 칼슘을 17% 함유하고 있는 해양 불가사리 추출물은 65%의 기피율을 나타내었고, 외국산 구리테이프는 99%의 매우 높은 기피효과가 있었다. 껍질이 있는 달팽이와 껍질이 없는 민달팽이류 2종을 혼합하여 접종한 시험에서 접종 10일 후 기피율은 식물추출물인 달용이와 팽이자바가 65%내외, 수용성 칼슘이 27%의 기피효과가 있었고, 국산 및 외국산 구리테이프는 98%의 매우 높은 기피효과가 있었으나 알미늄테이프는 기피효과가 없었다. 달팽이류 종류별로 국산 구리테이프에 대한 기피율을 조사한 결과 껍질이 있는 달팽이는 접종 13일 후에 51%의 기피율을 보인 반면 껍질이 없는 작은뾰족민달팽이와 노랑뾰족민달팽이는 85% 내외의 높은 기피율을 나타내에 달팽이보다 민달팽이류에 대한 기피효과가 훨씬 높았다.
        11.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ong various food base baiting materials, beer and macerated cucumber were the most effective to induce slug that is a troublesome pest on leafy vegetables, especially on lettuce. However, the baits attracted only but did not kill the pest. When the baits were combined with various insecticidal organic materials, a few combinations such as beer and cigarette mixture successfully induced and killed the slug in the field test. The most effective combination of beer 50 ㎖ and a cigarette contained in a small plastic box killed 25 slugs per night. While macerated cucumber 50 ㎖ and a cigarette mixture killed only 4.3 slugs. The bait of beer and cigarette mixture revealed 68.4% control value against slug damage when treated for 3 consecutive days in a lettuce cultivation greenhouse. The bait also effectively reduced the slug damage in a lettuce nursery showing 58.3% control value. The method seemed highly useful for the control of slug in the organic farming system in which application of pesticides are strictly prohibited.
        4,000원
        15.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at featuring dynamic characteristic of 2-span bridge by means of an cochlea-inspired artificial filter bank(CAFB),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acquirement of real-time valid dynamic(acceleration) responses. Through dynamic testings performed on a model of 2-span bridge, its dynamic characteristics were featured on natural frequency. They were evaluated in comparison to wired measurement responses. Finally, the dynamic wireless measurement system on the basis of CAFB were found technologically and economically effective by obtaining valid dynamic(acceleration) responses whose size was compressed over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