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1.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rses' experiences of prolonged mask wearing in the context of COVID-19. Methods: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that use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Data were colle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8 nurses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from April 13 to 27, 2023. Results: Five themes and 15 sub-themes emerg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themes included: “Mandatory or optional experience of wearing a mask unrelated to COVID-19”, “Mandatory KF94 mask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ultifaceted changes in life due to mandatory mask wearing”, “Unexpected benefits of wearing a mask”, “Difficulties with wearing masks continue even after the COVID-19 pandemic”.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discomfort and difficulties of prolonged mask wearing among nurses in the context of COVID-19.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organizational and national support for nurses who are required to continue wearing masks after the COVID-19 pandemic.
        4,300원
        2.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requirements for medical masks and difference in satisfaction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ide effects experience caused by wearing medical masks. Three factors related to requirements for medical masks were identified: wearing comfort and usability, blocking function for harmfulness, and design.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analysis for requirements of medical mask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ll three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occupation. Design did in age and monthly income. As a resul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breathing difficulties experience, design factor was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skin trouble experience, wearing comfort and usa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medical mask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ide effect experience caused by wearing medical masks, breathing, ear string tightness, blocking harmful substances, price, and over all wearing comfor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marital status, age,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and the presence of absence of breathing difficulty experience and skin trouble experienc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effect analysi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ide effects experience caused by wearing medical masks, it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monthly income, between marital status and monthly income, between monthly income and breathing difficulties experience, and between monthly income and skin trouble experience.
        5,100원
        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안경광학과 학생의 마스크 착용과 관련된 특성을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마스크 착용 이행의 차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경기도 소재의 안경광학과 대학생 113명의 응답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 4문항, 마스크 착용과 관련된 특성 11문항, 마스크 착용 이행 6문항의 총 21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Independent t-test 및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및 불안과 우울에 따른 마스크 착용 이행의 차이를 비교하 였다. 결과 : 현재 사용 중인 마스크는 ‘KF94’가 가장 많았고, 사용하기 원하는 마스크는 ‘Dental’이 가장 많았다. 마 스크 재사용 횟수는 ‘재사용하지 않는다’[77명(68.1%)]가 가장 많았고, 마스크를 재사용 할 때 소독 여부는 ‘소독 하지 않는다’[69명(61.1%)]가 가장 많았다. 마스크 착용에 대한 신뢰도(마스크 착용이 질병의 감염과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정도)는 ‘신뢰한다’[76명(67.3%)]가 가장 많았다. 마스크 착용 이행에 관한 문항에서 ‘나는 감기와 같은 질 병의 증상이 있을 때 병원에서 마스크를 착용한다.’가 3.50±1.03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 여성과 기혼일 경 우 질병으로부터 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공공장소나 병원에서 마스크를 더 잘 착용하였다. 결론 : 일반적 특성 중 성별과 결혼 상태에 따라 마스크 착용 이행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5.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manufacture a mask to prepare for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and yellow dust, it is manufactured through the process of input, fusion, cutting, band attachment, defect inspection, and packaging. Domestic mask producers introduced Chinese facilities to keep up with explosive demand due to the rapid spread of COVID-19 in 2020, but serious problems arise in durability. Therefore, domestic processing and tooling companies have developed and supplied molds, but since supply is not smooth compared to deman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mask molds with durability reliability is urgently needed to supply masks stably. This technology development aims to supply a mask with excellent quality to a market by applying dots capable of welding and re-painting to a mold for cutting applied to a mask manufacturing process and developing dots optimized for paper angles.
        4,000원
        6.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design a new sizing system for hygienic masks to protect against COVID-19-related respiratory disorders. The product sizes were collected from 70 commercially available hygienic masks, and 18 head measurements were obtained from the three-dimensional (3D) scan data of 2,048 men and women aged 20 to 69 years from the 6th Size Korea Survey.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28.0 program. The “bitragion-subnasale arc” and “menton-sellion length” were chosen as the key body dimensions for the hygienic mask sizing system. The linear regressions with 18 3D head measurements were analyzed,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key body dimensions were useful for statistically predicting other 3D head measurements related to hygienic masks. A new sizing system was proposed for two types of masks, “masks with a tight fit” and “masks with a loose fit,” taking into account the existing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and the shortcomings of the sizes of hygienic masks on the market. The sizing system for tight-fitting masks consisted of the key body dimensions, with their sizes indicated by a pair of numbers. The sizing system for loose-fitting masks consisted solely of the bitragion-subnasale arc, with their sizes denoted by letters such as S, M, and L (denoting small, medium, and large, respectively). Future studies should consider this mask sizing system for different age groups, such as children and adolescents.
        5,200원
        8.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안면 마스크 착용에 따른 피부 스트레스 인식도와 뷰티 케어 현황조사를 목적으로 2021년 3월 11일-3월 27일 까지 2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Cronbach's α,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One way Anova로 분석하였다. 코로나19 기간 중 일일 평균 마스크 착용 시간은 43.8%가 7시간 이상이며, 마스크 착용에 의한 피부 스트레스 인식도는 30대(M=4.27)와 서비스직(M=4.64)이 가장 높고 여드름, 피부 트러블(M=4.47) 고민이 있는 사람이 스트레스를 높게 인식하였다. 홈 케어 시 중요 요소는 클렌징(67.6%)이, 뷰티 케어 현황에서는 피부 관리(36.7%)가 가장 높았다. 뷰티 케어 선택 시 고려 사항은 서비스 및 고객관리 능력이 54.3%, 체형관리를 위한 방법은 운동이 45.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안면 마스크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피부 스트레스가 많이 인식되고 있으며 코로나 상황에 의해 피부 관리실 이용이 불안해짐에 따라 홈 케어 관리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9.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obligatory wearing of masks has led to increased consumer demand and the diversification of mask desig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ner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masks in the pandemic situ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able masks and their new cultural meaning under the COVID-19 pandemic. This research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Drawing on an investigation of the historical evolution of masks and their transition under the pandemic (exhibiting differences in mask culture among countries and regions), this study analyzed 54 distinctive fashion masks designed by fashion brands and influencers that appeared from January 2020 to January 2021.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masks identifi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pandemic are as follows: Message delivery on political issues and human rights; psychological defense and expression of individuality; and conspicuous display via luxurious materials and luxury brand logos; moreover, the design of the mask uses the same material, color, pattern, decoration, and other methods as clothing to achieve the overall style. Over the course of the pandemic (and even in post-pandemic lifestyle), fashion masks are becoming more diversified conveying new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4,900원
        10.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밀도폴리에틸렌 코편을 마스크에 적용 후 MRI 검사에 사용하여 SNR의 변화를 측정하고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방법은 팬텀을 이용하여 HDPE 마스크 적용 전 후의 SNR 측정과 KF 94 마스크 적용 전 후의 SNR 측정을 하였고, 사용한 기법은 T1WI, T2WI, DWI였다. 또한 HDPE 마스크 착용군의 T2 mDixon, 3D T1영상 획득 후 안와와 교뇌의 SNR을 측정하였고, 설문을 통하여 MRI 검사 시 답답함 정도와 호흡의 용이성, HDPE 마스크의 선호도 평가를 하였다. 팬텀 실험 결과 HDPE 마스크 사용 전과 후의 SNR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KF 94 마스크는 적용 전 값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HDPE 마스크 착용군의 SNR 측정 결과에서는 미착용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마스크 착용 후 답답한 정도 측정 결과 착용군은 3.53 ± 0.73, 미착용군은 3.83 ± 0.75이었고, 호흡의 용이성 측정 결과 HDPE 마스크 착용군은 3.1 ± 0.89, 미착용군은 3.27 ± 0.91으로 나타났고, 두 조사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HDPE 마스크의 선호도는 4.48 ± 0.54으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HDPE 마스크는 착용 후에도 MRI 영상의 신호 변화 없이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고 환자의 만족도 또한 높게 평가되었기에 검사 중 호흡기 감염 예방을 위해 적극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4.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filtering effect of the fine dust mask. Our objective research has secured credibility in the private sector. The performance of domestic fine dust masks is evaluated by three dust collection efficiencies, inspiratory resistance, and leakage rate according to KF grade in the health mask standard guidelines issu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Based on this, eight types of fine dust masks were evaluated for dust collection efficiency and face intake resistance. All masks showed good performance as the collection efficiency was 90%. The higher the KF grade, the higher the collection efficiency, but the inspiratory resistance had no correlation with the grade.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operation method, masks below the standard value may be distributed. Masks that are currently on the market have shown results that can be trusted. However, we hope that the system will be improved to validate whether the masks that meet the threshold are still being distributed.
        4,000원
        15.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people have often reused their disposable respirator multiple times due to reasons of economy and purchasing inconvenience. However, multiple use of a disposable respirator may lead to an adverse effect of its protection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changes in the protection performance of disposable respirators related to multiple use and to suggest the appropriate number of times of use. The masks of the brands T and Y were selected in this study, respectively. A mask of each brand was used for testing at the same time and place for two hours per day. The protection performance of each disposable mask was tested after consecutive use on days two, three, and four. The protection performance tests for each used mask following wear on a mannequin were performed in the laboratory using GRIMM’s fine dust monitoring device and TSI’s nebulizer. The concentration of PM10, PM2.5, and PM1.0 inside and outside the mask was measured. The filtration rate was calcula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AS statistical program. The protection rates of the brandnew masks of T and Y brands (blank test) were 80% and 60%, respectively. After one-day usage, the protection rates of the brand-new T and Y branded mask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80% to 60% and from 60% to 50%, respectively. Rather, the slight drops of protection rate were observed after two or more days of respirator use.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change of protection performance could occur after one-time use. It would not be recommended to use disposable respirators several times in terms of in terms of protecting human health from environmental hazards.
        4,000원
        16.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의 마스크이론과 자신의 시적 이력은 강렬하고 복잡한 관계를 보이는데 이 점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일생동안 시적자아와 실자적 사이에 항시 존재하는 긴장을 주목한다. 마스크는 시인의 분기된 자아를 나타내며 자신의 비밀스런 자아대신에 이 분기된 자아를 묘사하려고 한다. 이러한 일생의 도전은 자신을 객관화하는 기교를 찾아내는 것이었다. 예이츠의 이 여정은 자신의 좌절, 감정, 감흥을 비개성적인 객관화된 보편적 진실로 변화하는 여정이었다. 일견 간단해 보이는 이 마스크 이론은 그의 비전과 연결시킴으로써 복잡해진다. 이 이론은 시인을 극의 배우의 수준으로 끌어올리며 여기서 그는 자신을 실생활과 분리시킨다. 진실한 시인으로서의 예이츠는 마스크 이론을 성공적으로 승화시키며 개인뿐 아니라 전 아일랜드와 연결시킨다. 이렇게 마스크이론을 논할 때 아일랜드의 자유의 문제까지 대두하게 만든다.
        4,000원
        17.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다기능성 마스크 팩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제조 및 평가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다 기능성이란 폴리인산에 의한 원적외선 효과, 포접화합물에 의한 기미치료 효과 및 필링효과, 라벤다 추출물에 의한 피부진정 효과를 의미한다. 제조한 다기능성 마스크 팩의 용제에 대한 유해물질의 측정결과 0.001mg/Kg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점도는 280 cP, pH=6.92 이었다. 마스크 시트에 다기능성 용제를 침지시켜 제조한 다기능성 마스크 팩의 원적외선 방사율은 0.882 μm이고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는 3.40x102 W/mᆞ, 37℃이었다. 다기능성 마스크 팩의 착용 후, 5일간 사용 후의 보습율은 사용전보다 14.5% ~ 35.5% 우수하였으며, 피부 온도는 24 ~ 26℃ 나타내었으며, 30명의 볼란티어 피부접촉 자극성 평가에서도 매우 안정적이었다.
        4,000원
        18.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켈트족의 여명』에 사용된 이중서사기법이 에세이와 스토리, 두 장르를 결합하는 한편 시인의 반자아의 마스크로서 기능하는 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켈트족의 여명』은 아일랜드의 민담을 정확하고 솔직하게 편집하고자 한 예이츠의 독특하고도 창의적인 시도이다. 상상력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그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켈트족의 여명』은 보편적인 상상력과 개인적인 상상력으로 가득한 책이다. 그것의 내러티브는, 예이츠가 전통 및 동시대의 작가들로부터 배워온 고도로 정교한 마스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에 상실한 존재의 통합을 복원하는 것이 예이츠의 담대한 목적이었는데 비록 상업주의가 지배하는 세계에서 필연적으로 실패할 운명이라 해도 그는 결코 초월적 비전과 이를 향한 수단으로서 예술에 대한 신뢰를 포기한 적이 없었다. 통합을 상실한 시대의 반자아를 대변하는 서사적 마스크가 본질적으로 모순적이듯 시인의 상상력과 믿음 그리고 꿈 또한 모순적일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예술만이 희망임을 그는 너무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5,700원
        1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시트 타입 마스크 팩의 재질에 따른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정제수와 1.3-propanediol, 1.3-butylene glycol, Glycerine, Hyaruronic acid와 같은 수용성 성분과 Cyclomethicone, Dimethicone, Phytosqualane, Caprylic Capryl Triglyceride, Grape seed oil, Macadamia Nut oil 오일을 비롯한 다양한 오일의 흡유력을 살펴 본 결과 정제수를 제외한 모든 수용성 성분들은 점도가 커질수록 흡습능력이 커졌고 오일의 경우엔 모든 오일의 점도에 비례하여 흡유 능력이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마스크 시트의 종류는 초산 발효 바이오셀룰로오스가 수용성 습윤제나 모든 오일에 있어서 500~1,000 배 이상의 함습, 함유 능력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표면 구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5,000배 이상 확대한 사진에서 보이는 미세한 망상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망상 구조는 단면에서도 잘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구조적 특징이 함습, 함유 능력을 우수하게 하며 다량 함유된 수용성 성분과 오일은 시간 경과에 따라 배출 또한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또한 각 마스크 시트는 소재에 따라 그 특성을 보여주고 있기에 피부에 좋은 역할을 할 수 있는 마스크 팩의 제조에 기초 연구로 삼고자 한다.
        4,300원
        20.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단계 발효된 달팽이 추출물을 5% 사용한 시트 마스크 팩 (2F-SEM)을 개발하였 다. 이에 대한 피부미용학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순면 100%의 시트를 사용하여 얼굴모양으로 커팅 하여 사용하였다. 플라세보 마스크 팩 (placebo mask pack; PM)과 일반 용매추출에 의한 달팽이 추출 물을 사용한 마스크 팩 (Gene-SEM)에 대하여 피부 개선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보고한다. 첫째; 2F-SEM의 보습효과는 PM 보다 11%, Gene-SEM는 PM 보다 4.7%가 상승되었다. 둘째; 2차 발효달 팽이 추출물이 함유된 마스크 팩의 탄력도는 PM 보다 13.8%, Gene-SEM PM 보다 6.7% 이상 개선하 는 효과를 보였다. 셋째; 2F-SEM의 피부 거칠기는 PM 보다 6.80%, Gene-SEM는 PM 보다 2.3%가 개선되었다. 넷째; 2F-SEM의 멜라닌감소효과는 PM 보다 15.0%, Gene-SEM는 PM 보다 8.7%이상 개선되었다. 다섯째; 2F-SEM의 잔주름개선효과는 PM보다 8.0%정도 우수하였다. Gene-SEM는 PM 보다 5.1%이상 개선되었다. 여섯째; 2차 발효 물을 이용한 2F-SEM의 관능 평가는 부드러움(softness), 보습 감(moisture), 주름개선효과(fine wrinkle improvement)에서 유의 차 있는 사용감촉을 보였다.
        4,2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