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2.
        2017.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e vorlieg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Konzepten und Ansätzen der Landeskunde, die sich in Bezug auf die jeweilige soziale Situation und den Lernerbedarf historisch entwickelt haben. Im Fachbereich Germanistik herrscht seit 20 Jahren die Krise der Geisteswissenschaft. Statt Literaturveranstaltungen, die von Studenten abgewählt werden, wurde Landeskunde als ein neues Veranstaltungsangebot in den Vordergrund gestellt, damit die Germanistik wieder einen Aufschwung erleben kann. Aber in Korea wurden die Begriffe, Konzepte und Inhalte der Landeskundeveranstaltungen noch nicht festgelegt, z.B. ist unklar, was man unterrichten soll und auch wie man unterrichten soll. Aus diesen Gründen wurde in der vorliegenden Arbeit versucht darzustellen, wie Landeskunde im Fachbereich Deutsch als Fremdsprache in Deutschland diskutiert wird. Zuerst wurde die historische Entwicklung der Landeskundeansätze vorgestellt, wobei das Konzept und der Inhalt bzw. die Schwerpunkte diskutiert werden, was mit den Zielen und dem Lernerbedarf des Fremdsprachenunterrichts zusammenhängt. Darüber hinaus wurde am Ende der Arbeit ein didaktisches Konzept kurz vorgestellt. In Korea werden im Rahmen der Universität die zahlreichen Landeskundeveranstaltungen meistens von Literaturwissenschaftlern angeboten, sodass der Themenbereich Literatur als Kultur zu sehr hervorgehoben wird, was dem Bedarf der Lerner und der Gesellschaft überhaupt nicht entspricht. Kommunikative und interkulturelle Landeskunde beschäftigt sich mit der Situation und Themen bzw. Inhalten, die unsere Lerner motivieren, weil solche mit ihnen selbst und ihren Interessen sehr eng verbunden ist.
        4,800원
        3.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긍정적/부정적 마케팅 정보에 대해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를 소비자심리학, 크로스컬 쳐, 음양이론의 융합관점을 통해 비교하였다. 음양이론은 철학적 이중적 사고(또는 이원성)라고 정 의되는데, 이는 두개의 상반되는 특성이 공존할 수 있음을 바탕으로 사고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음 양이론에 대해 강한 믿음을 가진 동양인은 어떠한 정보에 노출되더라도, 반대 측면을 추론하는 성 향이 높을 것이다. 이러한 성향은 마케팅 메시지에서 기대하지 않는 효과, 긍정적 정보의 부정적 효과, 부정적 정보의 긍정적 효과를 유발시킬 것이다. 연구결과, 동양인은 서양인보다 긍정적 정보에 대해 더 부정적 반응을 보였고, 긍정적 태도수준 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양인은 긍정적 정보에 의해 강화 또는 비감소현상을 보임으 로써 동양인과 서양인의 차이를 보였다. 부정적 정보에 대해 동양인은 서양인보다 더 긍정적인 반 응을 보였고, 서양인은 더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정보에 대한 동양인의 정보처리과정을 음양이론으로 접근 방법으 로 설명하였다는데 학문적 의미가 있다. 글로벌 기업은 동일한 메시지에 대해 동양인과 서양인이 다르게 인식 및 반응할 수 있다는 인식해야할 필요가 있겠다.
        9,300원
        4.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CEO의 혁신성, 학습적 문화, 정보 시스템 활용 수준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러 한 혁신성과가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김해시에서 활동하 고 있는 중소제조기업 122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CEO의 혁신성과 학습 문화는 각각 기업의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리고 기업의 혁신 성과는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혁신은 대기업의 전유물이 아니며 대기업에게만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라 자원 이 부족하지만 CEO의 경영 스타일과 학습적 문화와 같이 거대한 자본을 들이지 않는 혁신활동으로도 기업의 혁 신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중소기업에게 있어 혁신이 기업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밝혀졌기 에 중소기업의 CEO는 실무적으로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과 달리 혁신성과를 경제적 성과와 연결하여 살펴보았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6,100원
        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일반 수치지도 제작시 축척에 따라 적용되는 지형 ․지물 속성 목록을 분석하고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한국향토문 화전자대전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상세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전자지도를 통해 전달할 때 효과적일 수있는 전자지도 속성 정보 표현 기준을 제시하였다.수치지도Ver 2.0의 기준에 따라 1차 지리정보 수집 가능 대상에 해당하는 유형으로는 기관단체, 식물(보호수), 유물, 유적, 지명과 같은 직접적인 위치 정보 확인이 가능한 유형이 주로 그 대상이 되었다. 이 밖의 유형은 지도 제작자가 관련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지도상에 표시해야 하는 대상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유형 내에서도 속성에 따라 축척별로 표현기법이 다르게 적용되도록 분류 하였다.이때 기준은 수치지도Ver 2.0의 지형 ․지물 속성 목록과 수치지도작성작 업내규를 기준으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특성에 맞게 적용하였다.그 결과 각 유형에 해당하는 세부 속성별로1:5,000 축척에서 는 면, 1:25,000 축척에서는 점으로 표현되는 대상으로는 건물이 해당하였다. 또한 1:5,000 축척에서는 점과 면으로 표현되고 지도 의 축소에 의해 1:25,000 축척에서는 점으로 표현되는 대상으로는 묘, 고분, 비, 탑 등의 문화재가 해당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전자지도의 축척과 지도상에 표현되는 내용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자문화지도와 관련된 지리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하학적 분류 체계를 정리하였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문화적 정보가 기존의 기본 지도 위에 표현되던 전자문화지도에 각 내용별로 다양한 표현기법을 적용 할 수 있다는 점을 구체화 하였으며, 앞으로 전자문화지도를 구현할 때 고려할 수 있는 유형별 기하학적 표현 체계를 구체화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4,900원
        6.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ain factors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 and analyze their effects on job involvement.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e main factors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 such as diversity, autonomy, redundancy, connectivity an
        4,000원
        7.
        200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ain factors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 and analyze their effects on job involvement.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e main factors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 such as diversity, autonomy, redundancy, connectivity and flexibility were foun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questionaries of 350 were distributed to the employees working at the Gumi Industrial Complex. The questionaries of 298 were obtained and 267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ie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we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five constructs (diversity, autonomy, redundancy, connectivity and flexibility) using oblique rotation method that did not assume independence among the factors and main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were grouped together by five factors. Second, it is shown that fore main factors of organizational climat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job involvement (p<0.05). This study, however, have limitations of number of sample and survey area. The future study should consider these limitations in improving model applicability in practice.
        4,000원
        9.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0.
        199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1.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캠퍼스의 안내시스템은 대학교 브랜드이미지의 얼굴이며 중요한 구성부분이며 학교문화의 척도이다. 현재의 H대학 안내 시스템의 현장 조사를 통해 기능 및 서비스, 규범 및 체계성, 지역 및 인본주의 그리고 국제 표준 및 비전에 대한 결함을 발견되었으며, 이 대학의 문화적 특징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방법론의 일부를 중심으로 대학 캠퍼스 사인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기능적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대학 식별 시스템, 공간지도 시스템, 도로 표지판 시스템, 빌딩 시스템의 내부 및 외부 표지판 및 관리 시스템의 5 가지 측면에서 대학의 문화 및 서비스 정보를 구축한다. 대학의 문화적 특성을 강조하고 고품질의 편리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며 완벽한 시스템 기능을 갖춘 캠퍼스의 안내 시스템은 대학의 정신을 반영한다. 이에. 대학 내의 사용자를 위한 경로를 찾는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대학의 문화적 특성을 통합하여 자체 문화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고 문화 공간으로서 대학의 이미지 품질과 대학 브랜드의 경쟁력을 더욱 향상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