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basic and the extensional meaning of the Chinese word, shui (水), and the Korean word, mul (물), were compared for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ased on the different word meaning characteristics. Both words have the basic meaning of “water.” The extensional meaning and usage of these two words overlap semantically under certain conditions, but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two languages from the perspective of word formation, reflecting the differences in thinking and cognitive framework of th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e research also found that the words differ greatly in terms of semantic extension. Mul in particular had a far richer and more diverse extended semantic meaning than shui.
        4,500원
        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물은 인간 생활의 필수요소임에 따라, 물에 대한 인식은 우리나라의 전통 적 공간관인 ‘풍수(風水)’에도 그대로 녹아들어 있다. 이에 연구는 풍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물’의 논리를 지리학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특히 연 구는 ‘물은 재물이다(水管財物).’와 ‘기는 물을 만나면 멈춘다(氣界水則止).’의 논리를 중심으로 지리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는 ‘수관재물’ 논리에 대해 농업 및 상업의 두 측면에서 분석했고, ‘기계수즉지’논리에 대 해 지리학의 ‘곡류 목 절단 지형’과 비교 분석을 했다. 연구결과, 농업의 측면에서 전통 농경사회에서 빗물의 안정적인 확보와 이용은 농사와 직결되었고, 이는 물이 곧 재물이라는 인식으로 발달되었 다. 상업의 측면에서 물이 모이는 곳은 곧 재물이 모이는 곳이 되었다. 곡 류 목 절단 지형의 경우, 연구는 땅의 기운(地氣)을 멈추게 하는 물줄기(水) 로서 구(舊)하도와 현(現)하도 중 현하도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타당함을 밝혔다.
        5,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