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nalyzed the odor contribution rate using AERMOD at odor emission facilities in an urban industrial area (North-Daejeon, Korea) where residential facilities, industrial complexes, and public environmental facilities are mixed. When comparing the average odor emission concentration by prevention facility, the multistage treatment method including oxidation and combustion was about three times more effective in reducing the concentration than the commonly used biofilter and scrubber.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aspects of prevention facilities such as biofilters and cleaning towers to improve treatment efficiency. Currently, management of odor emission facilities is being conducted in terms of instantaneous odor concentration management. Due to the limitations of this management method, research results show that some workplaces ranked 7th in terms of momentary odor concentration level, but in terms of emissions, they soared to 2nd place, indicating that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emissions as well as concentration is necessary for odor management. The odor impact in the study area varies by season, but public environmental facilities have an impact of 62~76% in spring, summer, and winter, and odor emission facilities in industrial complexes have an impact of 66% in autumn. It can be inferred from these results that the odor impact of public environmental facilities would be low because they are located away from residential areas, but the result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and emission levels of prevention facilities operated in public environmental faciliti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odor-emitting facilities in industrial complexes.
This study utilized real-time particulate matter (PM10) monitoring equipment mounted on vehicles and drones to measure PM10 concentrations in industrial complexes and track potential emission sourc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four industrial complex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Hwaseong Songsan Technopark, Incheon Geomdan, Incheon Namdong, and Hwaseong Mado) from August to October 2022, with a total of five measurement sessions. A vehicle-mounted light-scattering PM-monitoring device, Sniffer4D, was used to measure PM10 concentrations across the industrial complexes, followed by additional drone-based measurements in high-concentration area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variations in PM10 concentrations across different industrial complexes, ranging from an average of 10.3 mg/m3 to 51.6 mg/m3. In certain areas, PM10 levels exceeded the air quality threshold for poor conditions (80 mg/m3). Notably, in the high-concentration areas of Namdong and Mado Industrial Complexes, where PM10 exceeded the threshold, elevated measurements were observed at altitudes of 25~40 m, with concentrations reaching 164.4 mg/m3 and 189.0 mg/m3,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M10 emissions from industrial facilities may be more concentrated at specific altitudes rather than at ground level.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onventional ground-based monitoring alone has limitations in accurately identifying emission sources and that three-dimensional drone-based measurements provide a more effective approach for emission source track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ap between statutory calculation standards and actual field conditions in estimat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OSHME) for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The current fixed-rate method, based on construction type and cost, fails to account for on-site factors such as project complexity, duration, and workforce structure, often leading to discrepancies between estimated and actual costs. To address this, data from 21 completed projects over KRW 5 billion were analyz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variables including material and labor costs, project duration, floor area, number of floors, and the number of safety personnel.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alculated and actual OSHME, and the proposed model explained 95.3% of the variance (R2 = 0.953). Variable selec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improve prediction accuracy by addressing multicollinearity. The model offers practical value for early budgeting and supports policy improvements that align safety expenses with real on-site need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The semiconductor equipment industry is characterized by high technological intensity and a strong demand for customized functionality from client firms. This necessitates the collection and implementation of diverse client requirements, which in turn demands close cross-departmental collaboration and leads to highly complex project structures. To manage this complexity, many semiconductor-related companies operate global matrix organizations based on multiple reporting lines by region, function, and product. These structures entail intricate communication process and pose significant collaboration challenges.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key factors influencing collaboration and project performance within global matrix organizations in the high-tech semiconductor equipment industry, applying the Technology-Organization-Environment (TOE) framework. The analysis identified significant effects of all examined factors on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performance: three technological sub-factors (usability of communication tools, process standardization, and change management systems), two organizational sub-factors (clarity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robustness of information-sharing systems), and three environmental sub-factors (alignment of requirements, cultural understanding, and responsiveness to industry standards and regulations). Furthermore, the level of agile implementation was test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OE factors and collaboration performance.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agility in specific areas: the usability of communication tools and systematic change management (technological factors); information-sharing structure (organizational factor); and requirement alignment (environmental fact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gile approaches do not operate as a single-factor solution but interact dynamically with various organizational conditions. By focusing on the underexplored dynamics of global matrix organizations in collaboration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a structured empirical analysis of their operational characteristics. Its theoretical contribution lies in offering an integrative perspective on technologic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drivers of collaboration and project success, extending current research in high-tech projec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이 연구는 한국 정부가 플랫폼(platform) 산업에 대한 이원적 접근을 추구한 원인과 그 과정을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정부는 2000년 대 이후 플랫폼 산업에 대하여 진흥과 규제를 동시에 추진하는 이원적 접근을 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플랫폼 산업에 대한 규제 중심 접근의 확대라는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 연구는 과정 추적 접근법(process-tracing approach)을 활용하여 중대 분기점(critical juncture) 이후의 단계 내 변화를 설명하는 방식을 취한다. 즉, 2008년과 2014년을 두 개의 중 대 분기점으로 설정하고, 2008년~2013년과 2014년~2024년의 두 사례에 대한 ‘사례 내 분석(within-case analysis)’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1) 서비스(service) 부문을 포괄하는 플랫폼 산업의 특성이 이원적 접근을 촉진하였고, (2) 발전국가 모델 대 신자유주의 모델이라는 이분법을 넘어 서는 설명을 시도하며, (3) 규제 중심 접근이 확대되는 동태적 메커니즘 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plores educational strategies for cultivating skilled professionals in Korea’s Urban Air Mobility (UAM) sector. Based on the national K-UAM roadmap, it identifies training needs across three core domains: operation, maintenance, and infrastructure. A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with 62 organizations involved in UAM development. Results reveal a strong demand for simulation-based emergency response training, AI-assisted diagnostics, and smart infrastructure operation. Key barriers include the shortage of interdisciplinary professionals and insufficient practice-oriented curricula. Using DACUM and CDIO frameworks, this research proposes a modular, domain-specific education model. The findings serve as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future UAM workforce policies and academic programs.
This paper reviews ordinal decision tree algorithms for ordinal classification, exploring theoretical foundations, key algorithms (MDT, QMDT), specialized splitting criteria (Ordinal Gini, Weighted Information Gain), and ensemble methods. It discusses applications in healthcare and social sciences, highlighting interpretability and flexibility while acknowledging overfitting and instability. 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this study points out advantages such as interpretability and flexibility, and limitations such as overfitting and instability.
본 연구는 중국 경덕진 도자기산업 클러스터의 메커니즘과 성공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트리플 힐릭스 이론을 적용한 내용 분석을 통해 정부, 대학, 기업 간의 상호작용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정부는 산 업 기금을 설립하고 문화창의 거리를 조성하여 혁신적인 인프라와 제도적 환경을 구축하였다. 대학은 도자기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하며 AI 보조 설 계 시스템을 개발해 도자기 형태 설계 주기를 단축시켰고, 이는 기업의 제 품 혁신 역량을 크게 강화하였다. 기업들은 이러한 정부 지원과 대학의 기 술 혁신을 적극 수용하여 지능형 제조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도자기의 완제 품 비율을 향상시켰으며, 시장 피드백을 대학과 정부에 제공하여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였다. 이 세 주체 간의 유기적 협력과 상호 보완은 산업 전 반의 혁신 역량을 증대시켜 경덕진 입주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비율이 2018년 1.2%에서 2023년 3.5%로 증가하였고, 문화창의제품 비율이 12% 에서 28%로 확대되는 구체적 성과로 이어졌다. 트리플 힐릭스 관점에서 분석한 경덕진의 성공 사례는 기술 혁신(AI 도자기 설계 시스템), 브랜드 재구성(Z세대 타겟팅), 산업 구조 최적화(클러스터 모델)를 통해 전통문화 유산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조선업 중심 산업도시 거제시의 위기 대응 거버넌스를 분석하며, 형식적 제도의 이면에 존재하는 이해관계자 배제의 구조적 문제와 불공정한 위 험 전가가 어떻게 지역의 회복과 전환을 가로막았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 다. Morrison(2014)의 지표를 활용하여, 대기업 중심의 종속적 산업구조와 하청 으로 위험이 전가되는 이중적 고용구조 속에서 정책들이 어떻게 파편화되고 시 너지를 잃었는지 진단했다. 분석 결과, 공식적인 협의체는 핵심 이해관계자를 배 제한 채 형식적으로만 운영되었고, 정책 수단들은 현장의 불공정한 고용구조를 외면한 채 단기 처방에 머물렀다. 이에 본 연구는 효과적인 산업 전환을 위해서 는 분절된 정책의 양적 투입을 넘어, 노동 현장의 구조적 불공정을 해결하고 모 든 주체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통합적 거버넌스의 제도화가 구조적 전환을 위한 핵심 조건임을 실증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local government-led Esports industries in South Korea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strategies and actionable policies for revitalizing and branding the domestic Esports secto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 experts across various fields within the Esports industr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 employing frequency analysi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results of the IPA matrix indicated that ‘Esports Tournaments and Leagues’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of performance, followed by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In contrast, the area showing the lowest performance was identified as ‘Educational Programs’
본 연구는 중국의 선도적인 이차 전지 기업인 CATL을 사례로 하여, 기술 혁신 능력의 발전 과정을 기술 격차, 기술 효율, 기술 축적의 세 가지 핵심 차원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2011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차 보고서, 언론 보도, 산업 자료 등을 바탕으로, CATL 의 기술 진화 경로를 모방 - 창조적 모방 - 자주 혁신이라는 세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외부 환경과 기술 역량 간의 상호작용을 동적 능 력 이론 틀 내에서 고찰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구매자, 공급자, 경쟁자, 정부, 기술이라는 외부 환경 요소와 기술 혁신의 내생적 요인 간 통합 모델을 구성하고, 그 분석을 통해 CATL이 기술 격차 축소, 효율 향상, 기술 축적을 어떻게 실현하였는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CATL의 사 례를 통해 급변하는 글로벌 배터리 산업에서 기술 후발 기업이 어떻게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성장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향후 한국을 포함한 타 국가의 유사 산업 및 기업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법 제57조, 시행규칙 제73조에 근거한 산업재해조사표와 관련하여 산업재해 예방 관점에서 산업재해조사표의 문제점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자율 안전보건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활용 방안을 제언하였다. 2017~2020년에 제출된 산업재해조사표 1,200건을 무선 추출하여 재해발생 개요 및 원인, 재발방지계획을 대상으로 작성된 내용 적정성을 분석하고 계량적 평정을 통해 업종과 규모별 내용작성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 였다. 또한 일반적인 산업재해조사표 작성 사례를 작성방법과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제조업과 건설업에 비해 기타업종은 평정점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규모가 작은 사업 장일수록 평정점수가 낮게 나타나 산업재해조사표의 내용 적정성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인 작성 사례를 비교한 결과, 재해발생 개요 및 원인을 구체적으 로 작성하지 않는 경우와 더불어 사고의 원인과 결과를 단순화시켜 작성한 경우가 많았다. 산업재해조사표의 목적과 중요성을 고려할 때, 작성방법에 대한 교육과 홍보, 관련 업무의 인력 보충 및 업무처리 절차 개선, 그리고 산업재해 예방사업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분리막 기반 이산화탄소(CO2) 포집 기술은 에너지 효율이 높고, 공정이 단순하며 모듈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 공정에서 주목받고 있는 차세대 탄소 저감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발전소, 시멘트 생산, 철강 제조, 바이 오가스 업그레이딩 등 주요 산업 공정에서의 CO2 포집 기술을 중심으로, 관련 분리막 소재, 공정 구성 방식을 포함한 실제 산업 응용 사례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특히 산업별 배출가스 조성, 운전 조건, 적용된 분리막의 특성과 성능을 비교⋅분 석하고, 시뮬레이션 연구 및 파일럿 규모의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리막 공정의 성능과 한계를 다각적으로 평가하였다. 또 한 각 산업에서의 공정 조건에 따른 분리 전략과 적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분리막 기반 CO2 포집 기술의 현재 기술 수준 과 더불어 향후 상용화를 위한 과제 및 공정 최적화 방향에 대한 실용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론과 장(場) 이론을 이론적 분석 틀로 활용하여 저스틴 비버 사례를 통해 온라인 공유 플랫폼에서 시작된 문화적 헤게모니의 형성과 확장 과정을 분석하였다. 내용분석 방법을 기반 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버의 초기 문화자본은 비제도적 정통성, 디 지털 가시성, 정서적 진정성, 세대적 연결성이라는 특성을 가졌으며, 이것 이 음악산업 장에서 인정받기 위해서는 전략적 중개자의 역할, 온·오프라인 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프로모션, 제도적 인정을 통한 정당화라는 메커니즘 이 필요했다. 결과적으로 비버는 발굴 경로의 다원화, 정당성 부여 방식의 변화, 수익 모델의 다변화, 미디어 환경과의 관계 재편 등 음악산업의 기존 규칙과 권력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비버의 위기와 재기 과정은 디지털 시대 문화자본의 취약성과 복원력 을 동시에 보여주었으며, 그의 헤게모니 구축은 여러 플랫폼을 가로지르는 통합적 전략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 문화자본이 여전 히 기존 산업 구조와의 접속과 전환이 중요하다는 점, 문화산업의 가치 창 출 모델이 다변화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디지털 환경에서 문화적 영향력 구축을 위해서는 다양한 플랫폼과 채널을 가로지르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 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이 음원 제작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작곡, 편 곡, 믹싱, 마스터링의 핵심 제작 단계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뮤즈넷(MuseNet), 마젠타(Magenta), 수노(SUNO), 아이바(AIVA) 등 대표적인 인 공지능 작곡 도구의 기술 구조와 기능을 시대별로 비교함으로써, 음악 창작의 자동화 수준과 기술 적 한계를 실증적으로 조명하였다. 또한 하이브(HYBE), 에스엠(SM), 와이지(YG) 등 국내 주요 엔 터테인먼트 기업의 인공지능 기술 수용 사례를 통해, 산업 현장에서의 실제 활용 방식과 그로 인 한 제작 및 유통 시스템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공지능은 음원 제작의 효율성과 확장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동시에, 콘텐츠 생산 방식과 산업 구조의 재편을 촉진하는 주요 요인 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향후 음악 산업이 나아가야 할 기술 통합 전략과 대응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