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99

        2.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major constituent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Through HPLC analysis, chlorogenic acid and luteolin-7-O-glucoside were identified as predominant constituents in the ethanol extract. Their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evaluated using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and human lung carcinoma cells (NCI-H292 & A549). The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p<0.01)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itrite, interleukin-6 (IL-6), and prostaglandin E2 (PGE2)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in RAW 264.7 cells. Furthermore, the ethanol extract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O synthase (iNOS) proteins in RAW 264.7 cells stimulated with LPS. In NCI-H292 and A549 cells, treatment with the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and IL-8 induced by IL-1β. The phosphorylation of ERK rather than JNK in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pathway was observed to be a more important mediator in the down-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NCI-H292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thanol extra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containing luteolin-7-O-glucoside exhibits promising anti-inflammatory properties.
        4,500원
        3.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산 가시오가피의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산지별 채취한 가시오가피의 유효물질 함량 및 면역 증강 효과을 평가하였다. 태백, 철 원, 삼척, 강원도 농업기술원에서 수확한 가시오가피의 지 표성분인 eleutheroside B 및 eleutheroside E의 분석을 수 행하였으며, 면역 증강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MTT 세포독성 평가, NO 생성량과 cytokine 생성량을 측 정하였다. 지표성분 eleutheroside B의 함량은 채취 지역별 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2.96±0.11-6.24±0.05 mg/g로 태백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열수 추출물에서 는 1.11±0.05-2.11±0.03 mg/g로 태백에서 가장 높은 함량 을 나타냈다. Eleutheroside E 함량은 채취 지역별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4.93±0.20-10.79±0.03 mg/g을 나타냈으 며 철원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열수 추출물에서 는 1.75±0.14-3.64±0.05 mg/g로 철원과 농업기술원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eleutheroside B 및 E 함량은 열수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채취 지역별 가시오가피의 70% 에탄올 추출물은 50-200 μg/mL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은 100-500 μg/mL 농도 에서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 았으며, 대식세포의 활성화로 방출되는 NO 성성량을 측정 한 결과, 가시오가피 줄기 추출물에서 NO 생성량이 증가하 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TNF-α, IL-6, IL-1β을 포함하는 cytokine의 방출을 측정한 결과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따라서 가시오가피 줄기는 면역 관련 질환의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crease industrial applicability of Astragalus membranaceus (AM) as immunostimulating materials, hot-water extract (AME) was prepared from AM and fermented with Kimchi-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akei & Leuconostoc mesenteroides) to prepare fermented AM-postbiotics (FAME). Although FAME prepared from AM-postbiotics did not show a significant enhancement in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compared to non-fermented AME, crude polysaccharide (FAME-CP) fractionated by EtOH precipitation from FAM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than AME-CP. Compared to AME-CP, FAME-CP showed dramatic changes in component sugar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FAME-CP was a polysaccharide with a major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113.4 kDa containing Man (44.2%), Glc (19.3%), Gal (10.2%), GalA (10.2%), and Ara (7.4%) as sugar components. FAME-CP with enhanced macrophage stimulatory activity not only increased expression levels of mRNA genes encoding macrophage-activated factors (iNOS, TNF-α, MCP-1, IL-6, and COX-2), but also led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activated p65 and c-Jun. In conclusion, crude polysaccharide from AM-postbiotics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could increase industrial applicability as a functional material with enhanced immunostimulating activity than AME-CP.
        4,500원
        5.
        2024.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경/목적: ROS는 악성종양의 성장 및 공격과 관련이 있다. UDCA는 담도암 세포에서 진행과 전이에 밀접한 EGFR-MAPK 신 호 경 로 와 EMT를 억 제 한 다 . 이 연 구 는 UDCA가 담도암세포에서 ROS 생성 및 그에 관련된 바이오마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 인간 간외 담관암 세포주인 SNU-245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생존율은 MTT assays로, ROS는 세포 ROS assays kit로 측정하였다. Western blotting으로 다양한 표적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특정 유전자의 억제를 위해 siRNA를 사용하였고, 특정 유전자의 과발현을 위해 shRNA를 사용하였다. 결과: UDCA는 담도암 세포에서 DCA에 의한 peroxide와 ROS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였으며, DCA로 발현이 증강된 STAT3, PRX2 및 SOD2를 억제하였고, IGF-1에 의해 발현이 증강된 NOX2 및 NOX4를 억제하였다. 또한, 담도암 세포에서 SiRNA를 이용한 STAT3 및 PRX2의 억제는 UDCA 처치와 상관없이 EGF에 의해 약화된 E-cadherin 발현을 복원하고 EGF에 의해 증가된 N-cadherin 발현을 억제하였는데, 이는 UDCA의 EMT 억제에 PRX2/STAT3가 상당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UDCA는 담도암 세포에서 DCA에 의해 억제된 catalase의 발현을 복원하였다. 한편, ShRNA를 사용한 NOX4의 과발현의 유도는 UDCA의 항종양 효과를 상쇄하였다. 결론: UDCA는 담도암 세포에서 ROS 생성을 억제하고, ROS 제거를 향상시킴으로써, 결국 EMT와 관련된 STAT3 및 PRX2를 억제한다, 따라서, UDCA는 ROS 활성도 및 EMT의 억제를 통하여 담도암 세포의 성장 및 침습을 억제하는 데 기여한다.
        4,200원
        6.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헤스페리딘(Hesperidin, HD)은 다양한 식물체에 존재하는, 강한 항산화 기능을 가진 대표적인 flavonoid의 일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HD인 Hesperidin glucoside(HDG)가 가지는 세포손상 회복, 항염증 인자억제 및 melanin 생성억제 활성을 세포수준에서 비교하였다. HDG는 HD에 당전이 효소반응 으로 제조되었으며, HD에 비해 20,000배 이상 수용해도가 증가되었다. HaCaT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은 HDG가 HD에 비해 월등히 낮았다. HD와 HDG는 모두 자외선 조사된 HaCaT 세포에서 세포생존율 회 복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D와 HDG는 세포내 산화질소(NO), 종양괴사인자-α(TNF-α) 및 인터루킨 -6(IL-6)과 같은 염증 매개체 및 cytokine을 감소시켰으며, HD 보다는 HDG의 효과가 다소 우수하였다. Melanoma B16F10 세포주를 이용한 melanin 형성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HD와 HDG 모두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HDG가 약간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HD의 당전이체인 HDG는 HD에 비해 동등이상의 세포손상 회복, 염증성 매개체 및 cytokine 억제능과 melanin 형성억제능을 나타내 었으며, HDG의 높은 수용성과 낮은 세포독성 등의 특성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용도를 확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200원
        7.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hiitake mushroom and kelp (SMK) mixture extracts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urine RAW 264.7 cells. Treatment of RAW 264.7 cells with LPS significantly increased NO (nitric oxide) production,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feron (IFN)-γ, interleukin (IL)-6, and IL-1β), and inflammation-related genes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In cytotoxicity testing using RAW 264.7 cells, SMK mixture extracts in the range of 1-16 μg/mL did not inhibit cell proliferation. However, SMK mixture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p<0.05). SMK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NF-α, IL-6, IFN-γ, and IL-1β levels compared to the LPS group, and similarly, pro-inflammatory cytokine mRNA levels also decreased. SMK mixture extracts reduced the mRNA expression of COX-2 and iNOS in RAW 264.7 cells compared to LPS (p<0.05). The above results show that SMK mixture extracts suppressed the inflammatory response induced by LPS. In particular, the extracts were shown to regulate the inflammatory response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inflammation-related enzymes.
        4,000원
        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석유기반 플라스틱의 대체제인 폴리하드록시부틸레이트(polyhydroxybutyrate, PHB)의 기존 추출방법은 분자량 감 소 및 물성 변형을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화 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를 부착한 돌기형 탄소나노튜브 분리막의 여과를 통해 물리적 파쇄를 발생시켜 미생물 내 축적된 PHB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돌기형 탄소나노튜브 분리막의 물리적 파쇄를 확인하기 위해 대장균 용액으로 여과 실험을 수행하여 불활성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PHB를 축적한 미생물 용 액의 여과를 수행하여 PHB가 추출되었는지 확인하였더니 가장 대표적인 추출방법인 chloroform과 비교하여도 여과로 인한 추출이 4% 높은 성능을 가진 것을 관찰하였다. 본 결과를 통해 친환경적 바이오 플라스틱 회수를 위한 돌기형 탄소나노튜브 분리막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wing to its diverse range of bioactive compounds, Ganoderma lucidumhas garnered significant research attention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Ganodermanondiol, which has a triterpenoid structure, is one of the major active compounds of G. lucidum.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anodermanondiol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its usefulness as a functional ingredient. Ganodermanondiol (0.5–2 g/mL)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the expression of the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 (TNF)??and interleukin 6 (IL-6), and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 264.7 (murine macrophage) cells. Ganodermanondiol (0.5–2 g/mL) also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ignal molecules, including p38 and c-Jun N-terminal protein kinase (JNK) in RAW 264.7 cells. Ganodermanondiol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ssential factors involved in the inflammatory responses of RAW 264.7 cells and would, therefore, serve as a potential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agent for immune-related diseases.
        4,000원
        10.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goat meat hot water extracts and the changes in apoptosis-related protein expression levels in the cancer cells treated with these extracts. Goat meat hot water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different cuts of goat meat, including foreleg, hindleg, loin, and rib. Among these extracts, the foreleg and hindleg extracts displayed higher (P<0.05)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the other two extracts.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BAX, p53, and p21 were not different in the cells treated with the extracts from different cuts, regardless of the cell type. Only p53 expression in HT-29 cells was elevated (P<0.05) after loin extract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oxidant activity and apoptosis-related effects of goat meat hot water extract varied with cut of meat under in vitro conditions. Because all data was obtained from the in vitro experiment, the ability to generalize conclusions is limited. Additional in vivo studies are necessary.
        4,000원
        11.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elvet antler is widely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and numer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its tremendous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s including immunity-enhancing effe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different deer velvet extracts (Sample 1: raw extract, Sample 2: dried extract, and Sample 3: freeze-dried extract) for proximate composition, uronic acid, sulfated glycosaminoglycan, sialic acid, collagen levels, and chemical components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quadrupole-time-of-light mass spectrometry.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cytotoxic effect of the deer velvet extracts on BV2 microglia, HT22 hippocampal cells, HaCaT keratinocytes, and RAW264.7 macrophages using the cell viability MTT assay. Furthermore, we evaluated acute toxicity of the deer velvet extracts at different doses (0, 500, 1000, and 2000 mg/kg) administered orally to both male and female ICR mice for 14 d (five mice per group). After treatment, we evaluated general toxicity, survival rate, body weight changes, mortality, clinical signs, and necropsy findings in the experimental mice based on OECD guidelin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in vitro treatment with the evaluated extracts had no cytotoxic effect in HaCaT keratinocytes cells, whereas Sample-2 had a cytotoxic effect at 500 and 1000 μg/mL on HT22 hippocampal cells and RAW264.7 macrophages. Sample 3 was also cytotoxic at concentrations of 500 and 1000 μg/mL to RAW264.7 and BV2 microglial cells. However, the mice treated in vivo with the velvet extracts at doses of 500–2000 mg/kg BW showed no clinical signs, mortality, or necropsy findings, indicating that the LD50 is higher than this dosag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ere no toxicological abnormalities connected with the deer velvet extract treatment in mice. However, further human and animal studies are needed before sufficient safety information is available to justify its use in humans.
        4,300원
        12.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mmunoenhancing effect through the intracellular MAPKs and NF-B signaling pathways in macrophages activated by crude polysaccharides (YBP) of barley sprouts. YBP extracted from barley sprouts is composed of xylose (25.8%), arabinose (24.1%), galactose (23.4%), and galacturonic acid (11.7%). YBP did not affect the cytotoxicity and showed superior secretion of nitric oxide (NO), interleukin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 by RAW264.7 cells. Also, YBP dose dependently increased IL-6, TNF-,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mRNA gene expression. In the western blot, YBP strongly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the p38, JNK, ERK, and IB pathways in RAW 264.7 cells. In the anti-pattern recognition receptor (anti-PRRs) assay, the effect of YBP on NO secretion strongly decreased toll-like receptor (TLR) 4 and Dectin1 antibodies, whereas IL-6 and TNF- secretion by YBP mainly decreased SR and CD14. Therefore, we concluded that YBPinduced NO, IL-6, and TNF- were secreted via the MAPKs, while NF-B pathways through TLR4, Dectin1, SR, and CD14 receptors existed in a macrophage surface and were involved in the immunoenhancing effect.
        4,000원
        16.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flavonoid apigenin과 baicalein의 세포 실험으로 콜라겐 회복효과를 확인하고 전사체 비교 분석을 통하여 collagen 회복 효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결과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apigenin과 baicalein은 HS68 세포주에서 UV에 의해 손상된 I형 collagen 회복에 효과를 보였으며, 두 물질 모두에서 ECM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ECM을 조절하는 공통적인 메커니즘을 보일 뿐 아니라 각각 다른 범주의 유전자들을 변화시키는 결과도 보여서, 세포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4,300원
        17.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장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잘 자생한다. 호장근은 호장의 뿌리로 항염증과 진경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유효성분으로 emodin을 포함하고 있다. 피부의 표피는 자극, 해로운 물질을 차단하고 수분 증발을 방지함으로써 체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 서는 호장근과 그 유효성분인 emodin이 피부 장벽과 보습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 저 호장근은 ABTS+ radicals을 우수하게 제거함으로써 항산화 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실 시간 중합연쇄효소반응을 통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filaggrin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 한 결과, 호장근과 emodin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filaggrin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호장근과 emodin은 히알루론산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HAS-2 mRNA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 타났다. 종합적으로, emod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장근은 피부 장벽 강화와 보습능 증강을 위한 기 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300원
        18.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pomoea aquatic is a leafy vegetable of the Convolvulaceae family, and is a tropical plant widely inhabiting southern China and Southeast Asia, and is widely known as Morning Glory in the West. In this study,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extract from Ipomoea aquatic extracts (IAE) were tested against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activation microglia BV2 cells.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cell viability were measured using the Griess reagent and MTT assay, respectively. Inflammatory cytokine [interleukin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 and interleukin-1 (IL-1)] were detected qPCR in LPS induced BV-2 cells. Subsequently, nuclear factor (NF)-B,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nuclear factor erythroid-2-related factor 2 (Nrf2) were analyzed through western blot analyses and immunofluorescence. Ipomoea aquatic down-regulated of inflammatory markers and up-regulated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s in BV2 cells.
        4,000원
        19.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Aminoglycosides, AGs) 는 그람음성균과 양성균에 광범위하게 작용하는 동물용 의약품으로, 최근 배양육에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어, 안 전성 관리를 위한 분석법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 AGs 는 고극성 화합물로 성분 간의 분리를 위해 이온쌍 시 약(ion-pairing reagent, IPR)을 사용하고 있으나 IPR을 이동상에 첨가하는 기존 분석방법의 경우 용매가 흐르 는 동안 질량분석기로 주입되는 IPR로 인해 기기적인 문 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IPR를 바이알에 직접 첨가 하는 분석방법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10종 AGs 성 분에 대한 분석방법을 확인하고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0001-0.0038 mg/kg 와 0.004-0.011 mg/kg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0.01-0.5 mg/ kg 범위 내의 직선성(R2)은 0.99 이상이었다. AGs의 시 료 회수율을 확인하고자 소고기와 세포배양배지(cell culture medium) 매질에서 회수율과 상대표준편차로 나 타낸 정밀도를 확인한 결과 각각 70.7-120.6% 및 0.2 to 24.7%로 나타났다. 기존의 이동상에 IP 첨가 방법과 비 교하였을 때 유사한 수준으로 양호하였다. 검증된 AGs 분석법은 국내 유통되는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15품 목과 배양육 배지 첨가제 6품목에 적용해보았다. 그 결 과 국내 유통되는 육류 15품목 모두 AGs 성분이 검출 되지 않았으나, 세포배양배지에서 streptomycin은 695.85- 1152.71 mg/kg, dehydrostreptomyci은 6.35-11.11 mg/kg 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IRR을 바이알에 직접 첨가하는 LC-MS/MS 방식은 육류, 세포배양배지, 배지첨가제 중 AGs 분석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 으로 기대된다.
        4,500원
        20.
        202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골세포양 거대세포형 미분화 암종은 췌장암의 1%만을 차지하는 흔치 않은 암종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39세 남자에게서 진단된, 수술 및 항암치료를 시행한 1예를 소개하고자 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