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individual's food-related personal trait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fluencing personal food choice and habits. According to culture, their influence can manifest differently. To ascertain personal traits about food, FNS (food neophobia scale) and FIS (food involvement scale) were employed in recent studie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food culture and food choices of East-South Asians who live or stay in Korea through comparison of FNS and FIS. Eighty Koreans and 233 East-south Asians (Indonesians, Filipinos, Malaysians, Vietnamese, Thai, Singaporeans, and Bangladeshi) completed a questionnaire to measure FNS (10 questions), FIS (12 questions), and sociodemographic conditions (9 questions). ANOVA was conducted to ascertain FNS and FIS between the group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which sociodemographic factors had an effect. The item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marital status, nationality, religion, occupation, educational background, monthly income, and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F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ith regard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cept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whereas F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nationality, religion, occupation, educational background, monthly income, and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uggest that nationality strongly affected FNS and FIS, and FIS was also affected by gender.
        4,000원
        2.
        199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젊은 아시아인과 코카시아 여성의 보행패턴 중 보폭시간(step time) 과 보폭 (step length)을 비교하고 두 집단의 골반넓이와 보폭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15명의 아시아인과 15명의 코카시아 여성이었으며 나이는 23세에서 35세 범위에 있었다. 보행분석을 위해서는 GAITRite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인종(아시아인대 코카시아인)과 신체부위(좌측, 우측)를 요인으로 하여 반복측
        4,200원
        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분량, 유분량, 피부밝기, pH 등 피부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들은 환경적, 유전적 요소에 따라 다르게나타난다. 하지만 이는 절대적인 피부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람들이 느끼는 감성적인 피부 특성과는 차이가있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 임상 연구들은 절대적인 피부 변화를 통한 사람들의 인지 변화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국가별로 절대적인 피부색의 차이 뿐 아니라 실제 피부색의변화에 따라 본인들이 인지하는 피부 밝기에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시아 3개국 총 410명의피험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본인들이 생각하는 피부밝기를 3단계로 구분하여 응답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피부 밝기 변화에 따라 실제 피부색은 어떤 양상으로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국적에 관계 없이모든 참가자들이 공통적으로 피부색이 밝다고 느낄수록 실제 피부 밝기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절대적인피부색과 피부가 밝다고 느끼는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게다가, 피부 붉은기와 노란기의 변화도 국가별로 다른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판단 할 때 본인들의 피부 밝기를 인지하는 요소는 절대적인 피부 밝기가 아닌 국가별로 다른 기준이 적용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