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2.
        2017.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rface pit corrosion of SS420J2 stainless steel accompanied by intergranular crack. To reveal the causes of surface pits and cracks, OM, SEM, and TEM analyses of the microstructures of the utilized SS420J2 were performed, as was simulated heat treatment. The intergranular cracks were found to have been induced by a grain boundary carbide of (Cr,Fe)23C6, which was identified by SEM/EDS and TEM diffraction analyses. The mechanism of grain boundary sensitization occurred at the position of the carbide, followed by its occurrence at the Cr depleted zone. The grain boundary carbide of (Cr,Fe)23C6 type precipitated during air cooling condition after a 1038 °C solid solution treatment. The carbide precipitate formation also accelerated at the band structure formed by cold working. Therefore, using manufacturing processes of cooling and cold working, it is difficult to protect SS420J2 stainless steel against surface pit corrosion. Several counter plans to fight pit corrosion by sensitization were suggested, involving alloying and manufacturing processes.
        4,000원
        3.
        199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중에서 어류들이 색이시 생물적인 목표물이나 어로작업시 어구 등의 시각자극과 최대탐지거리 등을 예측하기 위해서 어류의 주된 시각 예민도 요소인 명암대비 역치와 최소 분해각을 수치모델링 하였다. 어류시각의 명반응과 순반응에 따라 명암대비 역치와 최소분해각은 배경휘도와 체장에 따른 자연대수의 함수로 표현하였다. 이 때 관련된 수식의 계수들은 기존의 실험 결과나 어종간의 시각 예민도 등에서 추정할 수 있었으며 또한 생리 생태나 개체차 등도 조정할 수 있다. 본 모델은 먹이생물이나 어구 등의 시각자극에 의한 시인정도와 시정 등의 추산에 이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전반적인 수중 광학적인 조건하에서 시각자극의 세기에 따른 시각 예민도와 그 반응에 의한 어류행동 모델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4.
        199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망어구의 유체역학적인 특성과 예망어구내에서의 유속 측정 자료를 기초로 어류의 측선 유수감각에 작용하는 유효한 유수자극량을 추산하고 정량화하기 위하여 예망어구내의 3차원적인 상대유속의 선형적인 분포정도를 모델링하였다. 예망어구내의 상대유속은 망지의 제반규격과 예망어구의 수중 전개형상에서의 각부 거리비에 따라 상대유속비를 선형적으로 수식화하여 본문의 식(3)과 (8)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상대유속비는 어류의 측선 유수감각기관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는 와동 유수자극량의 지표로써 사용될 수 있다. 어류의 유수감각 예민도는 어류의 전장과 어체주위 상대유속에 의하여 선형적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본문의 식(9)와 같이 탐지가능한 상대유속차의 최소값으로 나타내었다. 예망어구내의 상대유속 분포에 관한 본 모델의 계산 결과는 실물예망어구에서 실측된 상대유속의 범위내에서 거의 근사하게 나타났으며 본 모델은 어류의 대망행동 모델링에서 예망어구의 유수자극과 어류의 유수감각 예민도를 상대적으로 정량화하여 어류행동의 반응요인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