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의 자기결정권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2년 11월,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281부의 설문지 로 연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과 jamovi 2.5.22 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의 자기결정권이 회복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β=.470, t=9.338, p<.001). 둘째, 정신요양시 설 생활인의 사회적 지지가 회복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β=.157, t=3.078, p<.01). 셋째,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의 자기결정권과 회복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β=.311, t=6.912, p<.001). 위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의 회복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천 및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6,700원
        2.
        2023.01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new nurses, focusing on job stress, self-efficac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factors of new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4 new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of nursing experience, who worked at five university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using the SAS 9.4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score of depression of the subjects was 13.01 out of 80,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s depression were identified including job stress(p<.001), self-efficacy(p=.044), resilience(p=.013), social support(p=.012), work department(p=.021), and work type(p=.001).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stress of the subject, the higher the degree of depression, while the higher the self-efficac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the subject, the lower the degree of depression.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job stress, self-efficac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of new nurses. In order to prevent depression of new nurses and actively manage with depression, it is suggested that arbitration programs for new nurses will be needed to reduce job stress of new nurses, strengthen self-efficac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t is also thought that strategies supporting for new nurs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social support systems, are needed
        4,200원
        3.
        2017.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동의 자기이해와 회복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 해 설정되었다. 가설 1은 아동의 자기이해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고, 연구가설 2는 아 동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인천광역시 초등학생 5~6학년 남녀학생들이다. 질문지는 총 230부를 배부하고 215 부를 회수하였으며 SPSS 21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아동의 자기이해(가설 1)와 회복탄력성(가설 2)이 학교생활적응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이해와 회복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F검정이 모두 유의미하게 나와 회귀모형이 모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을 높이기 위해서 학생 스스로 이해와 스트레스나 일상적인 생활에서 겪게 되는 문제에 대한 이겨낼 수 있는 내적인 힘인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방안을 더욱 강구하여 건강한 청소년기를 맞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6,000원
        4.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역경, 갈등, 실패, 책임감 증대, 혹은 긍정적인 사건들로부터 평정심으로 되돌아 올 수 있는 역량으로 정의되는 회복탄력성이 조직 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의 하나로서 최근 들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한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군 조직에 적용하여, 병사들의 회복탄력성이 그들의 군 복무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이러한 과정에 있어 개인적 능력에 대한 믿음의 정도라 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전방 지역에서 근무하는 1,034명의 육군 병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변수로는 조직행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태도 변수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뿐만 아니라 행동 변수인 조직시민행동과 지각된 성과를 추가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회복탄력성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이론모형과 대안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여 최적 모형을 도출한 후에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구성원들의 회복탄력성은 그들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Sobel 검증과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회복탄력성과 군 복무 태도(조직몰입, 직무만족), 그리고 회복탄력성과 군 복무 행동(조직시민행동, 지각된 성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 되었다.
        5,800원
        5.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Functional recovery of the paretic upper extremity post stroke continues to be one the greatest challenges faced by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lthough many tasks require the coordinated participation of both hands, rehabilitation strategies for the most part have focused on the paretic limb.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oupled bilateral coordinated movements and repetitive high frequency TMS enhanced upper limb corticomotor excitability and motor function poststroke. Methods: For this study, we compared the neurophysiological and behavioral changes associated with two such rehabilitation protocols: coupled bilateral training and coupled unilateral training. Twenty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wo training group over 8-week period. For this experiment, transcranial magnetic stumulation, EMG, Ag/AgCI suface electrode, rehabilitation training equipment, jebsen-talyer hand function kit, box & block, and pinch & power grip test kit were used. Results: First, in the box & block and JTT task, coupled bimanual group showed a reduction in movement time in comparision to receiving coupled unilateral group. Second, in the cortical excitability within affected hemisphere, using TMS, an increased in map volume, and map number following coupled bilateral group. Overall, these finding suggest that a coupled bilateral movement and high frequency repetitive TMS protocol effective in recovering upper limb motor function and cortical excit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