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송국리형 주거지의 이용 및 폐기과정은 청동기시대의 흥미로운 연구 과제 중 하나이며, 특히 내부 흑색토층의 존재는 많은 관심을 끌어왔다. 송국리 유적 제24차와 25차 발굴조사에서 내부 흑색토층 이 확인된 주거지(98호, 100호, 107호)를 대상으로 환경고고학적 연구(토양 미세형태분석 및 규소체 분석)를 수행하였다. 토양 미세형태분석 결과, 내부 흑색토층은 탄화물이 집적된 층으로 보이며 탄화 가 비교적 가까운 곳에서 일어났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아마도 지붕이나 벽체를 비롯한 상부 구조물 이 탄화되어 집적된 층일 가능성이 높다. 한편 100호 주거지의 규소체분석 결과, 중간 흑색토층 및 상부 퇴적토에서 벼와 조의 규소체가 다량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초과 식물의 규소체와 해면동물 골편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저지대(예, 수전) 토양을 벽체 등의 건축재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 한, 내부 흑색토층이 보이는 주거지와 수혈유구는 연접한 경우가 많아, 화재에 의한 탄화물이 주거지 와 인근 수혈 내부로 흘러 들어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일부 주거지는 사용이 중지된 이후, 기둥과 같은 주요 건축재를 해체하여 반출한 다음 재활용이 어려운 나머지 잔존 구조물을 소각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탄화물이 집적되어 수혈 중간부에 흑색토층을 생성했던 것으로 추정된 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 미세형태분석과 규소체분석이 상호보완적으로 함께 수행되어 해석의 지평을 넓힐 수 있었다.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생에서 사회경제적으로 성취한 것에 대한 만족도’를 의미하는 사회적․경제적 성취만족도(협의의 성취만족도)를 다루고 있다. ‘성취동기’는 성취를 이끌어 내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비해, ‘성취만족도’는 성취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와 의미에 초점을 두는 개념이다. 성취만족도는 성취와 성취동기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연결고리의 역할을 하며 성취와 성취동기에 대한 입체적 분석을 가능케 한다. 또한, 성취만족도는 사회인구학적 변수들(소득, 재산, 학력 등)이 생활만족도나 성평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때에도 매개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변수이다. 이런 효용에도 불구하고 아직 성취만족도에 대한 학술적 차원의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취만족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통계청에서 진행한 2018~2020 년 사회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만 19세 이상의 성인 35,3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술적 분석과 t-test, ANOVA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성취만족도는 성별·연 령집단 내에서 코로나19 전후로 차이를 보였고, 주거점유 형태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교육정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6,600원
        3.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etary patterns and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type of residence. The subjects consisted of 369 female students from the Gyeongju area. This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PSS 14.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height and weight means were 162.7±4.6 cm and 53.9±6.7 kg respectively. For BMI, 44.2% of the subjects were with in the normal (18.5-23) and 49.1% were underweight and 6.2% were overweight. In terms of alcohol consumption, 78.9% of the subjects consumed alcoholic beverag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ype of residence However, for drink proportion and the preferred type of alcoholic drink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type of residence (p〈0.001). Third, for smoking status and the intention of quitting smok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type of residence (p〈0.000, p〈0.05 respectively). Also, for exercise regularity and preference as well as food preference and taste, there were again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type of residence (p〈0.001). Finally, in terms of breakfast intake and kinds of foods eaten at breakfa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the type of residence (p〈0.01).
        4,000원
        4.
        2014.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각종 산업공정 및 생활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나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의 필요성이 확대되면서 폐기물도 처리되어야 할 대상에서 에너지원으로 다양한 활용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생활폐기물 고형연료제품 제조시설을 비롯한 전처리가 필요한 시설에서 중요한 것은 반입대상 폐기물의 물성이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Y시의 생활폐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전처리 시설의 최적 설계 및 운영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Y시 소각장 반입폐기물에 대한 물리적 성상조사는 폐기물 수집운반차량에 적재되어있는 폐기물 전량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폐기물 전량을 방수포 위에 쏟아 부은 뒤에 4가지 기준(조대폐기물, 종량제봉투, 비종량제봉투, 파봉폐기물으로 분류하였다. 조대폐기물은 선별공정에 투입되었을 때 문제가 생길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500mm 이상 크기로 구분하고 폐기물을 분류한 뒤에 종량제 봉투와 비종량제 봉투를 구분하였다. 비종량제봉투는 일반비닐봉투나 마대자루등으로 밀봉되어 반입된 폐기물이며 파봉폐기물은 수집운반차량에서 조대폐기물 및 밀봉된 폐기물을 제외한 파봉된 상태로 수집된 폐기물로 구분하였다. 조사대상 폐기물의 수거지역은 공동주택지역(가-지역, 나-지역), 단독주택지역, 시외곽지역 및 재활용선별장(재활용 선별하고 남은 잔재물)으로 선정하였다. 반입되는 폐기물은 종량제폐기물이 22.07 wt%, 비종량제폐기물은 23.99 wt%, 파봉폐기물이 44.39 wt%, 조대폐기물의 발생량이 9.55 wt%로 확인되었다. 반입되는 폐기물 중 전처리 시설을 가동할 때 조대폐기물을 제거한다고 가정하여 조대폐기물을 제외한 시료를 대상으로 물리적 조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연성 물질은 85.66 wt%이고 그 중 비닐이 21.77 wt%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음식물(18.14 wt%), 종이(17.47 wt%), 기저귀/생리대(6.83 wt%)순으로 발생 되었다. 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평균 수분은 36.01wt%이며 폐기물의 습기준 저위발열량은 2,573kcal/kg으로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대상폐기물 중 수분함량이 높은 음식물의 양이 많아 발열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5.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stablish a reasonable resource circulation oriented society of Municipal Solid Waste (MSW), more exact and detailed information for MSW generation characteristics should be obtained. Although a municipality has generally various MSW discharge sources, a simplified generation characteristics is uniformly applied in all cases for establishing an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regardless of living style such as single detached house or apartment and living area such as urban or rural area. The annual average generation rate of municipal solid wastes in Changwon is approximately 0.345 kg/ c·d. As the results of density analysis, the average density of urban or rural area 0.210 ~ 0.216 kg/L. The weight percent of combustible matters is on average 98.9% and food waste was major source of solid waste as 58.5%. Calorific value range from 1,620 kcal/kg to 1,680 kcal/kg at detached house and 2,780 kcal/kg to 2,980 kcal/kg at apartment. Apartment residence has higher the calorific value than detached house. In this study Changwon city was selected as a model municipality which has urban and rural area. MSW generation rate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experimentally estimated, and then the MSW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were also surveyed by questionnaire. Data were classified into generation source and region to identify their differences in MSW generation characteristics.
        8.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tries to explore the local uniqueness and evolutionary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rural dwelling houses of China's Korean Ethnic. For this purpose, the paper selected 51 typical samples in each district, analyzing their ancestral home, building age, size, construction method, family composition etc. Moreover, the paper classified the pattern of the sample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 and evolutionary process of each pattern.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ncestral homes are as follows: 1.The house pattern of these China's Korean ethnics who are originally from the Hamkyung province is mainly jeongji- access type (A-type). A-type is mainly distributed along the Tumen River and Yalu River, in the Sino-Russian borders and the inland areas of Heilongjiang province. With the migration of the China's Korean ethnics, in Sino-Russian borders and the inland areas of Heilongjiang province, A-type with the 'badang' space, vestibule-access type (C-type) and living-centered type (D-type) appeared. 2. House patterns of Korean ethnics who are originally from the Pyongan province include three types: A-type, kitchen type (B-type) and C-type. A-type is mainly distributed along the Yalu River while B-type and C-type are mainly in the inland areas of these three Northeast provinces. With the decrease of population, the merger of rooms happened in A-type; while in the B-type and C-type, bathroom and storage came to exist in the north of the room. 3. The house pattern of Korean ethnics who are originally from the Gyeongsang province is mainly B-type, which is distributed in the inland areas of Heilongjiang and Jilin provinces. Besides, C-type and D-type also exist. They are in Jilin and Liaoning provinces. In the process of evolution, storage was set in the north part of the room or the window was cancelled in order to defend the coldness in Heilongjiang area, while in Jilin and Liaoning provinces, living room came into existence, which is gradually developing to D-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