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iscusses theoretical orientations in the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in the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in Korea. It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parts: (1) an introduction to the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in Korea; (2) some discussion of theoretical orientations in the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3) future research topics in the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of Korean speech communities. Although it is a partial review, this paper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studies of Korean speech communities using the theoretical model of the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5,200원
        2.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Ödön Lechner has been known as an architect who incorporates Hungarian folk motifs in creating a highly original Hungarian national style. Nevertheless, his work has been surprisingly neither exposed nor familiar to Korean audiences. This article attempts to reveal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Lechner’s architectural thought and ideas along with his buildings in Budapest. First of all, this article presents the evolution of Lechner’s architectural thought by dividing his career into four marking periods. They are in chronological order to serve as a record of his architectural career. The authors then discuss his concern on the Hungarian ethnography in architecture while turing away from orthodox classicism. Subsequently, this article analyzes Lechner’s three major buildings located at Budapest. By doing so, it attempts to expose his underlying design ideas and to shed light on the most elegant works of the architect. Finally, it marks out Lechner's influences on young Hungarian architects.
        4,900원
        3.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400원
        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최숙민의 ‘명리지학’으로서의 心論을 究明하면서 19세기 후반 20세기 초반까지 지속되었던 성리학적 담론의 일면과 당시 성리학자들의 학문적 공감 대를 시론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최숙민은 조성가와 정재규와 함께 진주를 중심으로 한 경상우도 지역에 노사 학파의 학문을 확대했던 대표적 인물이다. 노론의 色目을 가지고 있었던 조성 가나 정재규와는 달리, 그는 남인의 색목을 가지고 있으면서 기정진의 문하에 들어갔다. 이것은 정치적 관계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롭게 학문적 교유를 전개 하였다는 것을 짐작하게 해 준다. 기정진의 직전제자이면서도 화서학파, 한주 학파, 안동의 퇴계문인 등과도 학문적 교유를 확대하였다. 그의 이러한 학문적 교유에는 당대 지식인들의 학문적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보인다. 특히 ‘明理之學’을 성현들의 학문이라고 전제 하면서 ‘心卽理’라는 心論을 형성하고 있는 최숙민의 학문은 노사학파의 입장 에서 보면 독특한 일면이다. 그러나 心을 중심으로 한 학문적 경향성은 그의 학 문뿐만 아니라 한주학파, 화서학파 등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최숙민의 心論은 기정진이 부정했던 ‘心卽理’를 오히려 긍정하였다는 측면에 학문적 특징이 있지만, 이것은 理의 氣에 대한 현실적 우위성을 확보하여 理主 氣僕의 가치론적 상하관계를 공고히 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理의 절대적 우 위성을 확보하고자 理一元化 경향을 보이는 기정진의 학문을 현실적 측면으로 까지 확대·강화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현실에서의 理의 우위성을 확보하 고자 했던 학문적 노력들은 최숙민뿐만 아니라 그가 교유하였던 학파들이 공유 하였던 성리학적 문제의식이었다. 그리고 거기에는 變亂의 늪에 빠진 조선을 구하고자 했던 성리학자들의 현실적 고뇌가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