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1.
        202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비혼모의 출산과 양육 경험을 주제로 수행한 질적메타종합 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비혼모들의 복지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새로운 실천 아젠다를 발굴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들은 CASP를 활용하여 질 적 연구물 12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질적 연구물은 EAVS(2001) 에 의해 제기된 근거이론 종합방법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26개의 하위주제, 45개의 중심주제, 15개의 핵심주제가 도출되었다. 비 혼모의 출산, 양육 경험은 ‘자기 몫을 박탈당한 숨어있는 존재의 비혼모 가 연대와 자기 임파워먼트를 통해 가족의 삶을 구축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몫 없는 존재 유보와 심리 적 유폐, 사회적 연대, 경제적 자립, 자기존재의 성숙에 대한 논의를 했 으며 비혼모를 지원할 수 있는 제언을 하였다.
        8,400원
        5.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 is facing a significant problem with historically low fertility rates, which is becoming a major social issue affecting the economy, labor force, and national security.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egional gap in fertility rates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The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are implementing a range of policies to address the issue of low fertility. To establish an effective strategy,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primary factors that contribute to regional disparities. This study identifies these factors and explores policy implications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tudy also examines the influence of media and public opinion on childbirth in Korea by incorporating news and online community sentiment, as well as sentiment fear indices, as independent variable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fertility rates and factors, the study employs four machine learning models: multiple linear regression, XGBoost, Random Forest, and Support Vector Regression. Support Vector Regression, XGBoost, and Random Forest significantly outperform linear regressi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machine learning models in explaining non-linear relationships with numerous variables. A factor analysis using SHAP is then conducted. The unemployment rate, Regional Gross Domestic Product per Capita,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Number of Crimes Committed, Average Age of First Marriage,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significantly impact regional fertility rates. However, the degree of impact of the factors affecting fertility may vary by region, suggesting the need for polici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not just an overall ranking of factors.
        4,000원
        7.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의 고질적인 사회문제로 되는 저출산 현상의 대안을 제 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래 적 소유잠재성의 시각에서 출산으로 인 해 국가, 개인, 기업이 얻을 수 있는 것과 상실하게 되는 것들을 파악하 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국가에게 저출산의 지속은 생 존을 위협하며, 자기보존을 어렵게 한다. 출산은 국가의 생존과 관련한 문제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오늘날 개인에게 출산과 양육은 자산의 감소 는 물론 현재의 일자리를 위협한다. 저출산의 해결방안은 미래 세대 츨 생을 개인의 상속재산 지분과 연계하며, 국가지원금과 합의된 평균자녀 수와 평균자녀수 분포와 연계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국가를 이끌어갈 미래 세대 존재를 개인 상속재산과 국가의 예산 및 지원금과 연계하여 저출산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6,000원
        8.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저출산 현상이 가속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임신・출산・육아 의료 서비스의 현황과 지역적 불균형을 탐색하되 행정구역 내 변이를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간분석 단위를 세분화하여 행정구역 내에서도 의료기관의 접근성에 격차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가임연령 여성 및 0~5세 인구를 수요로 간주하고, 임신・출산・육아를 진료 과목으로 하는 전문의 및 응급병상의 규모와 분포를 수요와의 공간적 배치를 고려한 공간적 접근성을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수요에 비해 임신・출산 인프라의 지역간 공급이 불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접근성이 취약한 지역은 특정 지역으로 수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500원
        9.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odern Korean women who experience childbirth an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body and appearance in everyday life and how fashion provides a means of self-expression. The study utilizes focused ethnograph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ultural technology magazines, conducted to observe women’s behavior and language, and to explore their life values, such as beliefs, attitudes, and behaviors in fashion style in everyda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actual meaning of childbirth, the resulting change in appearance, and patterns of specific style expression. This will enabl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married women with children in Korea using vivid language, by whic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lives may be promoted. A survey of 24 women (aged 25~40) who had experienced pregnancy and childbirth were included in the study, categorized as early pregnancy, pre-birth, and post-birth parenting. Subcategories were derived as “unfeasible pregnancy,” “unpredictable and unprepared anxiety,” “self-awareness of changing bodies,” “pressure on healthy bodies,” “opportunity to let go of pressure on appearance management,” “pressure on hard parenting,” and “experience of change in unmanaged areas.” Pregnant women and women with children demonstrated tastes and preferences in style suitable for differentiated situations and roles, along with perceptions of appearance.
        5,200원
        10.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출산 전 필라테스 운동과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출산 후 여성의 장내미생물, 신체구성, 혈중지질, 비만호르몬,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총 15명의 임산부를 운동+프로바이오틱스섭취군(PEX, n=5), 운동군(EX, n=5), 대조군(CON, n=5)으로 구분하였다. PEX 집단과 EX 집단은 8주 동안 주 2회 필라테스 운동에 참여하였고 준비운동 10분, 본 운동 30분, 정리운동 10분으로 실시하였으며, PEX 집단은 매일 공복에 프로바이오틱스 1 캡슐을 섭취하였다. 그 결과 출산 후 PEX 집단의 체지방 및 WHR 수치가 감소하였다. 장내미생물의 변화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토바실러스, 클로스트리디움, 퍼미큐테스, 박테리오데스의 구성 수준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만 호르몬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변화는 PEX 집단에서 사후 렙틴, IL-6, TNF-a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혈중 지질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출산 전 필라테스와 프로바이오틱스 병행 처치는 출산 후 여성의 복부지방 감소에 효과적이며 염증 및 비만 관련 호르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산후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4,800원
        11.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개요와 자체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해답을 찾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낮은 출산율과 높은 고 령화율 등 우리나라와 유사한 경험을 이미 겪고 있는 일본의 저출산고령 사회에 대응 방책, 특히 아베(安倍)정권 이후의 저출산·고령사회정책(일명, 일본 1억총활약 플랜)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 후, 그 시사점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으며, 이를 차기(次期)(제4차) 또는 차차기(次次期)(제5차) 계획수립시의 개선방안으 로 제언한다. 첫째, 국가적 차원의 미래청사진(국가비전)의 제시가 필요 하다. 둘째, 명확하고 냉정한 실태파악이 필요하다. 셋째, 단순하고 단기적인 대응책이 아닌 다차원적이고 실현가능한 수치를 제시할 필요가 있 다.
        6,100원
        1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자수염진딧물 (Macrosiphum euphorbiae)의 온도별 발육은 12.5~27.5°C까지 2.5°C 간격 (상대습도 65±5%, 광주기 16L : 8D), 7개 온도조건에서 1~2령, 3~4령의 2단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약충의 사망률은 7개 온도 중 6개 온도에서 10% 미만이었으나, 27.5°C에서 사망률은 53.0% 였다. 온도별 발육기간은 15.0°C에서 15.5일, 25.0°C에서는 6.7일로 고온으로 갈수록 발육기간은 짧아졌으나, 27.5°C 에서는 발육기간이 다시 길어져 9.7일이었다. 약충의 발육 영점온도는 2.6°C였고, 유효적산온도는 144.5일도였다. 약충의 발육을 5가지 비선형발육모형에 적용한 결과 Logan6 (r2=0.99) 모형이 발육에 적합하였고, 발육완료분포모형은 2-Weibull과 3-Weibull의 모형 적합성 (r2)이 각각 0.92 와 0.93으로 유사하였다. 성충 수명과 산자 수에서 성충 수명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산자 수는 20.0°C에서 64.4개로 가장 많은 산자를 생산하였다. 생명표분석에서 순증가율 (R0)은 20.0°C에서 63.2로 가장 컸고, 내적자연증가율 (rm)은 25.0°C에서 1.393로 가장 컸다. 배수증가기간 (Dt)은 25.0°C에서 2.091로 가장 짧았다. 기간자연증가율 (λ)은 25°C에서 가장 컸고 (1.393), 평균세 대기간 (T)은 25°C에서 9.929로 가장 짧았다.
        4,200원
        1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생동물의 신체부위의 절단은 야생에서 활동에 영향 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겨울철 동면기간에 새끼를 출산 하는 반달가슴곰의 경우 겨울철 생존과 양육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난 2017년 지리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이 올무에 걸려 오른쪽 앞발 절단 수술을 하여 같은 해에 야생에 방사되어 2개체의 새끼를 출산하였다. 이 개체와 함께 같은 해에 출산한 암컷 5마리의 출산 및 양육기간 동안 계절별로 행동권을 분석한 결과, 활동 시기에는 다른 개체들에 비해 넓은 행동권과 많은 이동거리를 나타냈다. 이는 신체장애로 인한 먹이 활동과 새끼 양육에 따른 영향으로 추정된다. 다른 개체들에 비해 불리한 환경에서 자라난 반달가슴곰 새끼가 현재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서 어미의 양육 학습의 성공여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여러 관점에서의 사람과의 갈등에 대한 장기적인 관리 방향을 설정하고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 된다.
        4,000원
        14.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사회 맞벌이부부 여성이 일․가정양립 으로 저 출산에 미치는 요인을 사회가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사와 양육에 대한 책임이 여성의 몫으로 노동을 병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 맞벌이 부부가 맘 놓고 아이를 낳을 수 있도록 하고, 출산 가능한 부부는 사회에 이바지 함으로써 출산의지를 갖고 스스로 출산율을 높이는데 공헌하여야 하겠다. 저 출산 해결을 위한 연구는 주로 맞벌이 여성과 여성의 연령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나 출산 계획 시 둘째자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하여 검토하고 부부간의 합리적인 출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맞벌이 가정에서도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출산 계획 시 저 출산에 대한 자료가 없어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제도와 정부의 지원으로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
        5,100원
        15.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achanbalgi, which record the royal feasts given by the royal family of the Joseon Dynasty of Korea. These records are contained within the Gungjung Balgi, which recorded the types and quantity of items used in royal court ceremonies. The Eumsikbalgi is the general name for the records of food found within this document. Using these Eumsikbalgi, and in particular the Sachanbalgi,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od eaten and bestowed by the Joseon royal family. The Sachanbalgi describes four categories or occasions of feasts: royal birthdays, childbirth, royal weddings, and funerals. These records allow us to reconstruct who the attendees were and what the table settings and food were for instances not directly indicated in oral records, books, or other documents. The food at these Sachan (feasts) was diverse, being related to the specific event, and its contents vari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erson who was receiving the food. Usually, Bab (rice) was not found at a Sachanbalgi, and only on two occasions were meals with Bab observed. Specifically, it was served with Gwaktang (seaweed soup) at a childbirth feast. There were seven kinds of soups and stews that appeared in the Sachanbalgi: Gwaktang, Yeonpo (octopus soup), Japtang (mixed food stew), Chogyetang (chilled chicken soup), Sinseonro (royal hot pot), and Yukjang (beef and soybean paste). Nureumjeok (grilled brochette) and Saengchijeok (pheasant), and Ganjeonyueo (pan-fried cow liver fillet) and Saengseonjeonyueo (pan-fried fish fillet) were eaten. Yangjeonyueo, Haejeon, Tigakjeon (pan-fried kelp) and other dishes, known and unknown, were also recorded. Boiled meat slices appeared at high frequency (40 times) in the records; likewise, 22 kinds of rice cake and traditional sweets were frequently served at feasts. Five kinds of non-alcoholic beverages were provided. Seasonal fruits and nuts, such as fresh pear or fresh chestnut, are thought to have been served following the event. In addition, a variety of dishes including salted dry fish, boiled dish, kimchi, fruit preserved in honey, seasoned vegetables, mustard seeds, fish, porridge, fillet, steamed dishes, stir-fried dishes, vegetable wraps, fruit preserved in sugar, and jellied foods were given to guests, and noodles appear 16 times in the records. Courtiers were given Banhap, Tanghap, Myeonhap, wooden bowls, or lunchboxes. The types of food provided at royal events tracked the season.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for feasts food of the royal household was set out for receptions of guests, cooking instructions for the food in the lunchbox-type feasts followed the cooking instructions used in the royal kitchen at the given time. Previous studies on royal cuisine have dealt mostly with the Jineosang presented to the king, but in the Sachanbalgi, the food given by the royal family to its relatives, retainers, and attendants is recorded. The study of this document is important because it extends the knowledge regarding the food of the royal families of the Joseon Dynasty. The analysis of Sachanbalgi and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conducted to reconstruct the precise nature of that food will improve modern knowledge of royal cuisine.
        6,400원
        16.
        201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 고령사회에서의 아동복지의 문제점 및 과제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정책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관련정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복지에 대한 차별적 지원을 지양하고 모든 아동이 평등하게 교육받고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새로운 전달체계를 단순화 또는 일원화하고 이를 제도화해야 한다. 셋째, 민간보육시설을 국공립 수준으로 확대, 보육시설의 서비스 개선을 통한 질적 수준의 제고와 방과 후 학교 확대 및 질적 제고를 통해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유휴관공서를 아동복지시설로 활용해 부족한 보육 및 탁아복지시설을 확충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넷째, 아동복지서비스의 다양화와 전문화를 위한 정책을 개발하되 지역실정에 맞는 전문 프로그램의 개발이 구체화되 어야 한다. 다섯째, 맞춤형 지역서비스를 하되 소득수준 등에 따라 지원의 차별을 두지 말고 지역 내 모든 아동이 균등한 서비스를 받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 으로 제언을 하면 지역의 실정을 반영하여 실제적이고 효과성 있는 정책을 실시하기 위해 지역 내에서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5,100원
        17.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보육 전문가인 기혼보육교사들에게 양성 평등한 사회문화를 기반으 로 제도를 개선하여 다중역할갈등에서 오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더불어, 기혼보육교사의 양육 의 경험을 바탕으로 같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취업기혼여성들이 자녀양육의 도움자의 역할 로 출산율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 천안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기혼보육교사 247명에게 갈등의 유형과 향후의 아이의 임신과 출산 가능성에 관한 의사 또는 출산에 대한 욕구 및 생각의 정도 및 이직의도를 설문하여 SPSS 20.0 Program을 활용하 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출산의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연령층이 낮고, 자녀가 없는 교사가 출산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다중역할갈등과 이직의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긴장갈등이 출산의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다중역할갈등이 심할수록 이직 의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혼보육교사의 다중역할갈등과 출산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중역할갈등 하위 요인중 긴장 갈등이 출산의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보육교사의 다중역할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다중역할갈등 변인들 중에서 긴장 갈등과 행동 갈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기혼보육교사의 출산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긴장 갈등을 낮추고, 직장 이직율을 줄이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더불어 개인적인 힐링 방안 등의 모색이 필요 함을 알 수 있다.
        5,400원
        18.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 이용가정의 서비스 실태를 보다 상세하게 파악하여 출산장려 정책에서 아이돌봄 지원사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P시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방문하여 아이돌봄 서비스 제공자들 9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는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에서 양육자가 취업을 한 경우 아이돌보미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아이돌보미를 가정으로 파견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둘째, 아이돌보미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상자들의 전문적 교육을 통하여 질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이돌보미 활동 만족도는 대체로 직무에 만족하나 ‘낮은 수당’이 불만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이돌봄 사업 활성화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료 지원 정책이 가장 많았고, 아이돌보미 질적 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아이돌보미 서비스 안내 홍보사업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료 지원정책이 증가되어야 아이돌봄 지원사업이 출산 장려정책에 긍정적인 효과를 높이는데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200원
        19.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산양 암컷(n=6)의 출산시기 행동권 분석을 위해 2007년 3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설악산국립공 원, 월악산국립공원 2지역에서 GPS collar 발신기를 이용하여 연구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출산시기에 따라 행동권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MCP 95%에서 봄 1.00±1.00km2 > 가을 0.66±0.30km2 > 여름 0.61±0.40km2 > 겨울 0.50±0.10km2 (F=4.240, p<0.05)로 분석되었으며, 월별분석은 5, 6, 7월에 급격이 행동권이 작아지는 특징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F=24.261, p<0.01). 이렇듯 행동권의 급격한 변화를 보인개체들은 새끼를 출산한 개체로 확인 되었고, 행동권이 급격히 작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평균 이용고도는 615.77±173.508m이며 출산개체와 비출산 개체 모두 큰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출산 시기 등을 고려한 개체관리 및 복원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0.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생태학적 관점을 적용 하여 포괄적인 시각에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2011년 제4차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보육시설에 다니는 자녀를 둔 기혼여성 748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 용하였다. 생태학적 변인이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시체계 변인인 자녀수와 배우자 양육 참여 시간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태학적 변인이 이상자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시체계 변인인 자녀수와 자녀관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는 중범위 체계 변인이나 거시체계 변인보다 미시체계 변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6,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