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design elements of hairstyles, wedding headdresses, and necklines in wedding magazine pictures by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hairstyle, wedding headdress, and neckline. A quasi-experimental method by questionnaire was use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2×5×4(hairstyles×wedding headdresses×necklines) factorial design by 3 independent variables. The subjects consisted of 378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most popular among hairstyles, headdresses, and neckline forms were the updo hairstyle, dark brown hair color, the crown headdress, white flowers, and the horizontal bared top. Second, the elements determined to be most elegant and attractive were the medium-up hairstyle and the crown with a veil. However the wedding hat was perceived to be high in individuality and tenderness, while the flower and the wedding hat were perceived to be very pretty. The halter neckline was perceived to be higher in individuality and attractiveness than the other neckline types. Third, the medium-up hairstyle when wearing a crown with veil was perceived to be the most elegant. Placing a flower in the long-wave hairstyle was evaluated as looking most pretty. Fourth, the medium-up hairstyle was higher in preference than the long-wave style. Among wedding headdresses, there was greatest preference for a crown.
        4,300원
        2.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부산지역 아파트 분양광고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광고 표현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부산지역에서 구독률 상 위권의 신문을 대상으로, 아파트 분양광고의 광고소구 방식 및 헤드라인 유형을 분석하였다. 브랜드(전국기반 브랜드, 지역 기반 브랜드)에 따라 광고소구 방식(이성적 소구, 감성적 소구)과 오토 클리프너(Kleppner Otto)가 제시한 네 가지 분류법 (뉴스형, 약속형, 호기심 자극형, 선택형)으로 헤드라인 유형을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광고가 이성적 소 구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헤드라인 유형은 약속형과 선택형에 비해 뉴스형과 호기심 자극형의 이용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뉴스형이 가장 많이 이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두 브랜드 모두 에서 이성적 소구 방식의 사용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헤드라인 유형은 뉴스형과 호기심 자극형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기반 브랜드에서는 뉴스형의 이용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나, 지역기반 브랜드에서는 이용 빈도수는 적으나 나머지 유형의 헤드라인들도 이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 표현 전략의 차이가 브랜드 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해 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광고 실무자와 아파트 건설기업들에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