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ways to enhanc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curriculum development competency through collaboration with in-service teachers. To this end, a course was designed to incorporate three key competencies of curriculum development (curriculum literacy, curriculum development competency, and curriculum evaluation competency) while adopting task-based language teaching and collaboration with inservice teachers as teaching methods. The designed course was implemented in a university for validation and revision. Ten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course, where they developed English curricula in response to requests from three in-service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with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revealed that the proposed course model adequately worked to improve the three key competencies of English curriculum development among pre-service teachers. Further, collaboration with inservice teachers was found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responsibility and active engagement in curriculum development, while also providing practical assistance and creative teaching ideas to in-service teachers.
        5,8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교교육에서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국가 정책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 서 인공지능교육의 실천 주제인 교사, 그리고 예비교사들의 역할 변화와 중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0 년~2023년까지 수행된 예비교사 및 교사 대상 인공지능 교육 연구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인공지능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연구의 방향과 과 제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총 7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출판연도, 학술지, 교사 분류, 연구방법, 연구주제를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논문 편수는 2020년에 10편, 2021년에 16편, 2022년에 17편, 2023년에 28편으로 2023년 들어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둘째, 게재된 학술지는 학습자 중심교과교육학회가 14개로 가장 많았고 한국정보교육학회, 한국컴퓨터교 육학회 순이었다. 셋째, 교사 구분에 있어서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가 26편,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3편이었고 초등 교사 대상 연구 가 중등 교사에 비해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은 설문 등을 활용한 조사연구 가 절반이 넘는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연구주제는 인공지능 및 인공지 능과 관련된 경험과 인식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사의 역량도출과 진단,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가 뒤를 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 사 대상 인공지능 교육연구의 확대, 특히 중등교사 대상 인공지능 교육 연구 활성화, 예비교사의 교육과정 체계 개선 연구, 질적 연구 및 인공지능교육의 실제적 맥락을 반영한 연구의 필요성 등 관련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6,600원
        3.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직 및 예비 지구과학교사의 H-R도와 별의 진화에 대한 개념 이해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개념 지위 분석틀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이해 가능성 영역에서 현직교사의 비과학적 용어 사용이 다수 발견되었고, 그래프 작성에서 낮은 과학적 탐구 능력과 개념에 대한 비과학적 비유가 발견되어 교수 과정에서 잘못된 개념 전달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예비교사는 중등교육과정 연계 문항에서 다수의 오류를 보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학교 현장에 적용이 더 잘될 수 있도록 예비교사 교육 과정의 개선이 필요하겠다. 개연성 영역에서, 두 집단 모두 별의 진화가 갖는 우주론적 의미를 이해하고 있었으나, 예비교사의 별의 실제기작에 대한 설명이 구체적이지 않았다. 유용성 영역에서, 현직교 사는 지구과학의 학문적 특성을 반영한 교육적 고민을 하고 있었고, 지식을 현실 문제해결에 활용, 적용하려는 경향이 높았다. 반면, 예비교사는 높은 무응답률을 보여 H-R도와 별의 진화를 실용적 개념으로 파악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두 집단 모두에서 H-R도와 별의 진화에 대한 비과학적 개념이 다수 발견되어 교사 교육 및 교수 학습 계획 수립 시 주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과교육학지식(PCK)은 과학 교사의 전문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인식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주제-특정적 PCK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교사들의 PCK를 명시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분석틀을 개발 및 적용하여 예비 및 현직 지구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동일 주제에 대한 PCK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서로 다른 2개 주제에 대한 PCK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각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 주제에 대한 예비 교사와 현직 지구과학 교사의 PCK는 구성 요소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로 다른 주제에 대한 PCK의 변화는 경향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구성 요소 및 교사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PCK의 주제-특정성을 확인하였으며, 과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및 평가에 PCK분석틀 및 프로파일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4,600원
        7.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ongoing influence of in-service teacher education upon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and attitud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attitudinal and instructional changes after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thereby identify either favorable or unfavorable factors affecting such changes in classroom settings.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to see which teacher training programs teachers preferred, uncover any changes in instructional behavior and attitudes as well as factors related to said changes, and gather suggestions for prospectiv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additional data, four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eachers believed that a teacher’s techniques rather than their English proficiency have the most direct influence upon effective English instruction; 2) changes in both behavior and attitudes are observed for only a short period right afte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3) a major factor impeding change i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nglish language curriculum and actual classroom instruction, which is largely due to the washback effect of the requirements of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required for college admission.
        8,700원
        10.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현직 및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태도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 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쓰기 평가 태도 검사도구를 현직(33명) 및 예비 국어교사 (80명) 총 113명에게 투입하여 쓰기 평가 태도에 대한 반응을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쓰기 평가 태도에 대한 기술통계량 및 집단 간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직 국어교사에 비해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태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두 집단의 쓰기 평 가 태도는 모두 척도 평균보다 낮았다. 한편 쓰기 평가 태도 하위 요인 및 하위 요인의 각 문 항에 대한 집단 간 차이에서 쓰기 평가에 대한 경험과 관련된 요인 및 문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쓰기 평가의 경험이 쓰기 평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영향이 부정적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쓰기 평가 태도 형성을 위 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마련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역량기반의 교육요구분석과 관련한 연구에서 예비교사와 같이 아직 현장 경험이 충분하지 못한 대상자에게까지 연구대상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으나, 교육요구 파악을 위 한 우선순위결정방안은 기존의 경험이 풍부한 대상자에게 적용했던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에 배경지식과 경험의 정도에 따라 보다 타당한 교 육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정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험학습자라고 할 수 있는 현직교사와 아직 교직경험이 없는 미경험학습자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현직교사와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스마트교원역량의 중요도에 대한 순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체 13개 역량 중 10개 의 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기존에 교육요구분석에서 사 용되었던 대응표본 t 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하여 스마트 교원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비교사의 경우 창의적 문제해결, 내용전문성, 대외협력관계 형성의 순으로 나타났고, 현직교사들은 대외협력관계 형성, 평가 및 성찰, 수업설 계 및 개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동일한 역량에 대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간 큰 인식차이 가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결과로, 이는 역량에 대한 중요도 판정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요구분석에서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이 결과해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 과 미경험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요구분석에 보다 적합한 모델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12.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현직 중등교사의 관점에서 입직 전 예비교사가 갖춰야 할 교직 적성과 인성 요소 간 중요도 분석을 목적으로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방법(AHP)을 적용하여 경력 10년 이상의 현직 중등교사 36명으로부터 얻은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직 적 인성 영역 중의지적 영역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역 내 하위요소 간 중요도 분석 결과 관계형성능력(인지 영역), 공감/포용력(정서 영역), 항상 학습하는 자세(의지 영역)등이 각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들로 도출되었다. 끝으로 전체 하위요소 간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의지적 영역의 항상 학습하는 자세, 변화에 대한 긍정적 마인드, 성실성/책임감 등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적 인성 요소로 도출되었다.
        13.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등기술교육은 기술의 세계에 대한 소개와 실천적 체험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보다 창의적인 문제해결의 경험을 제공하고자 실시되어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초등현직교사들의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초등기술교육의 실천을 위한 교사들의 동기유발과 어려움을 조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는 국내외의 초등기술교육과 동기유발이론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이론적 기초를 가진다. 초등기술교육에 관한 교사들의 동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대-가치(Expectancy-Value) 이론과 초등기술교육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조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이 연구의 참가자는 중부지역에서 이루어진 초등 교사를 위한 2개의 연수에 참여한 302명의 교사들이며 이 중 설문 참여에 동의한 219명의 교사들이다. 수집된 설문지의 자료는 SPSS 17에 의해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 분석, 독립적 t 검증을 통해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동기는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초등기술교육의 인식된 가치와 초등기술교육의 실천에 대한 자기능력의 기대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 초등학교 현직교사들의 초등기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지만 이를 실천하기 위한 능력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초등기술교육의 유용함과 중요성을 비롯한 다양한 가치들(다른 과목과의 통합적 시도, 학생들이 살아갈 미래에 필요한 것, 문제해결, 창의적 사고,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과 같은 고등사고능력, 그리고 학생들의 심동적 영역의 발달)을 인식하고 있으나 여전히 이를 실천하기에는 여러 어려움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기술교육과 관련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목표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초등기술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로 실습을 위한 물리적 공간의 확보, 실습 재정 지원, 등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식조사연구로 초등학생과 초등예비교사의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14.
        2003.05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수․과학 통합 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현직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그 차이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으로써, 연구결과는 첫째, 수·과학 통합 교육의 사전학습 경험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양성대학과정 또는 대학원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과학 통합 교육의 필요성에 관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 절대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수·과학 통합 교육의 개념에 관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는 수·과학 통합의 개념이 정확하게 성립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과학 통합 교육의 목표에 관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는 수․과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논리적인 사고력, 문제 해결력 신장에 높은 긍정적인 평가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수·과학 통합 교육의 교수-학습 전략과 관련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는 수·과학 통합 교육의 교수-학습 전략으로써 놀이중심, 실물 조작 중심, 실험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집단구성 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는 소집단을 선호하고 있으며, 연령구성으로서 예비교사는 4,5세 혼합연령집단을 선호하고 있으나, 현직교사는 단일연령집단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과학 통합 교육 관련 교사 연수의 필요성에 관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는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