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7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프로그램 운영기준을 확인하기 위해 2018년부터 국내외에서 발표된 치유농업 관련 분야의 실험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자원 및 치유농업과 관련된 논문은 총 103편으로, 치유농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연구대상자 규모는 31명 이상, 총회기는 11~20회, 단위 활동당 시간은 60분 이내, 단위 활동간 간격은 주 1회, 기간은 2개월이 가장 많았다. 데이터 정보 변인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논문기초정보와 그에 따른 데이터 정보 변인인 대상자 정보, 프로그램 정보의 유의한 연관성이나 차별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저자전공과 대상자정보·프로그램 정보는 대부분 항목에서 관계가 있었으나 저자소속, 발행연도, 논문구분, 치유유형 등은 1 또는 2개의 항목에서만 관계가 있었고, 종속변수 치유문제-중분류는 저자소속을 제외한 저자전공, 발행연도, 논문구분, 치유유형 항목 모두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으며, 치유문제-대분류는 저자소속과 발행연도를 제외한 저자전공, 논문구분, 치유유형 3개의 변인과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치유농업 연구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여 치유농업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4,300원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쯔쯔가무시증은 급성 발열성 질환으로 Orientia tsutsugamushi을 보유한 털진드기 유충이 숙주를 흡혈할 때 전파된다고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전쟁 중에 첫 감염사례가 확인되었고 이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털진드기 유충이 성장하기 위해선 반드시 동물의 체액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야생 설치류 등에 기생 하는데 봄철과 가을철에 주로 발생한다. 이처럼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털진드기의 분포와 병원체 유무를 조사하 기 위해, 2022년부터 2023년까지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3월, 4월과 10월, 11월 5가지 환경(논, 밭, 수로, 야산, 저수 지)에서 Sherman trap을 이용하여 설치류 채집을 진행하였다. 2022년에는 총 18마리의 설치류가 채집되었고, Apodemus agrarius가 14마리(77.8%)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2023년에는 총 25마리의 설치류가 채집되었고, Apodemus agrarius가 19마리(76.0%)로 역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설치류 의 개체수는 2022년 대비 2023 년에 약 39% 증가하였다. 설치류에서 채집된 털진드기의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 2022년에는 총 1,862마리, 2023 년에는 3,243마리가 채집되어 전년 대비 약 74% 증가하였다. Chigger index 값을 살펴보았을 때 2022년에는 Apodemus agrarius에서 122.2, 2023년에는 Apodemus agrarius에서 169.7로 가장 높았다. 설치류에서 채집된 털진 드기의 반수에 대한 병원체 보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최대 30마리씩 pooling하여 실험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확인된 2022년과 달리 2023년 10월 3개, 11월 1개의 pool에서 쯔쯔가무시 양성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양성 샘플은 모두 저수지에서 채집된 개체로 해당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외래생물 유입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부)국립생태원에서는 2019년부터 외래생물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으 며, 민원 신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국민 행동요령을 안내하고 있다. 외래생물 전체 신고 건수는 2022년 140건 중 곤충 88건, 2023년 645건 중 곤충 530건으로, 1년 만에 외래생물 전체 신고 건수는 505건, 곤충 신고 건수는 442건이 증가하였다. 2022년 전체 신고 중 붉은불개미(Solenopsis lnvlcta) 의심 신고 건수가 78건로 가장 많았으며, 그 중 노랑밑드리개미 12건 등 개미과가 49건으로 확인되었다. 2023년은 전체 민원 신고 중 외래흰개미류 의심 신고가 418건으로 가장 많았고, 붉은불개미 66건 순으로 많았다. 외래흰개미류 의심 신고의 경우 대부분이 국내 에서 서식하는 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로 190건, 붉은불개미의 경우 밑드리개미류(10건), 주름개미(8건), 권련침벌(8건) 등으로 확인되었다.
        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crub typhus is a zoonotic bacterial disease caused by Orientia tsutsugamushi (Rickettsiales: Rickettsiaceae) and trombiculid mite larvae, also known as chigger, are known vector. Until recently, O. tsutsugamushi is the only species of the genus. However, two new species Candidatus O. chuto and Candidatus O. chiloensis that causes scrub typhus were reported recently in the Middle East, southern Chile, and Africa. In addition, Orientia spp. bacteria detected from field collected free-living Eutrombicula chigger mites in the United States. Despite these trends, research on new species is insufficient in the Republic of Korea. Therefore, we focused on finding the presence of novel species or strains from chiggers. Specimen chiggers harvested from rodents collected in 16 regions in October 2022 collaborating with the Regional Center for Vector Surveillance against Climate Change were selected. A total of 1,249 specimen belonging 4 genera and 14 species were identified by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and 266 pools were produced by pooling up to 10 individuals per species chiggers. To detect Orientia spp., we screened by using a real-time PCR targeting the 16S rRNA gene. Overall minimum infection rate was 0.56% (7 pools/1,249 tested specimen). After screening, conventional nested-PCR for targeting 47-kDa htrA gene was conducted to obtain sequences, and four of the positive pools were amplified. Through phylogenetic analysis, three pools were clustered with O. tsutsugamushi Gilliam and UT221 strain, and the other pool was formed a clade that was distinct from O. tsutsugamushi.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vel species of Orientia may exist in the Republic of Korea.
        5.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원법 제55조 및 제56조에 따라 선박소유자가 선박소유자의 파산 등의 사유 로 퇴직한 선원이 받지 못할 체불임금의 지급을 보장하기 위해 가입하거나 조 성하여야 하는 기금 등은 그 명칭 여하에 불구하고 그 법적 성질은 보험으로 보아야 한다. 나아가 선원법 제56조에 따른 보험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선원의 체불임금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라는 점에서 공보험의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본질적으로 보험계약자인 선박소유자의 보험료에 의해 운영된다 는 점에서, 국가의 재정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임금채권보장법상 임금채권보장 제도와는 구별된다. 따라서 선박소유자의 파산선고 등의 사유로 인해 퇴직한 선원의 퇴직금의 지급을 강력하게 보호함으로써 선원의 기초생활을 보장하고 자 하는 선원법의 입법취지를 감안하더라도, 보험자가 인수하지 않은 위험까지 보상대상으로 확대할 수는 없다. 이를 위해서는 선원법상 임금채권보장을 위해 서도 임금채권보장법과 동일하게 재정투입을 통한 운영으로 제도적 보완이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사건 대법원과 원심은 선원법 제56조 제1항의 해석에 있어 동 조항의 입법취지 등을 고려하면, 보험자인 피고의 보상의무의 전제인 보험사고가 반드시 보험기간 내에 발생할 필요가 없다고 판시하였지만, 위 조 항의 입법취지와 문언해석상 피고의 보상의무는 보험기간 내에 발생한 선박소 유자의 파산선고 등으로 인해 선원이 퇴직금을 지급 받지 못하고 퇴직한 경우 로 한정하여야 한다. 한편 선원법 제56조 제1항 및 제2항 제2호에 따라 보험자 는 동 법 제55조에 따른 퇴직금의 일정액의 지급을 보장하여야 한다. 이 사건 에서 대법원은 선원법 제56조 제2항 제2호에 따른 보험자의 보상대상을 동 법 제55조 제1항 본문 및 제5항에서 정한 법정퇴직금이라는 취지로 판시하였다. 그러나 선원법 제56조 제2항 제2호는 보험자의 보상대상을 동 법 제55조라고만 규정할 뿐이고, 제55조 제1항 단서를 제외한다고 명시하지 않고 있다. 법률의 문언해석에 충실할 경우, 위와 같은 대법원 판결이유는 선 듯 이해하기가 어렵 다. 나아가 선원법 제55조 제1항 단서에 따라 법정퇴직금을 하회하지 않는 수 준의 퇴직금제도를 노사 간의 합의에 따라 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제56 조 제2항에 따른 체불임금의 지급에 있어서는 제55조에 따른 법정퇴직금만을 보상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위험의 크기에 상응한 보험료 납입과 보험금 지급의 법률관계를 흔드는 것으로서 수긍하기 어렵다.
        8,000원
        6.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nducted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of Maria Leonor “Leni” G. Robredo’s presidential proclamation bid considering differing ideologies between two opposing political parties in the Philippines. Robredo employed language to persuade people to support her ideologies and, ultimately, to cast their votes for her. Analyzing her speech through Fairclough’s three-dimensional CDA model yielded the following several key insights. First, the textual analysis of Robredo’s proclamation bid revealed multiple personal and impersonal motivations in using linguistic markers such as personal pronouns, mood, and modality. Second, the processing analysis of Robredo’s political discourse displayed her lexical choices and use of rhetorical norms such as metaphors, repetition, and three-part lists to persuade people to change their views on the government. Finally, the social analysis of Robredo’s proclamation speech revealed her ideologies as a political leader, which became the basis for constructing a self-identity relevant to her orientation of power. This analysis of Robredo’s political discourse through CDA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ideologies, and pow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timulate listeners to critically observe the verbal political behaviors of speakers.
        9,200원
        7.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eco-friendly food, home meal replacement (HMR) purchases, and eating-out behavior according to the level of agri-food consumer competence. The data for the study were extracted from main food consumers (n=3,321) in the 2022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The competence index was divided into awareness-attitude-practice items, and three groups were classified by competence level. The results showed an agri-food consumer competency score of 70.62, with the highest score for awareness (73.96), followed by practice (69.28) and attitude (66.18). The frequency of purchasing eco-friendly food was higher in the excellent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and quality and price satisfaction was higher with higher competency (p<0.001). Regarding HM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hortage group had the lowest HMR consumption rate, and satisfaction decreased as competence decreased (p<0.001). The main reason for eating-out was to enjoy food in all groups (59.0%), followed by a lack of cooking time in the excellent group (15.7%) and hassle with food preparation in the moderate and shortage groups (17.3%, 16.6%) (p<0.001). In short, agri-food consumption competency showed differences by contents and components, and differences in food purchases and eating-out behavior by competency level were found.
        5,100원
        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ccurrence of eggs and adults of Pochazia shantungensis, Lycorma delicatula, and Lymantria dispar was investigated in 11 cities i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wintering eggs of P. shantungensis occurred in 24.2% of the region in 2021 and 22.1% in 2022, while adults occurred in 25.2% in 2021 and 24.3% in 2022, indicating the highest occurrence among the pests studied. The occurrence of overwintering eggs of L. delicatula was relatively low, with 2.6% of the region affected in 2021 and 1.9% in 2022. Adult L. delicatula occurred in 3.2% of the region in 2021 and 3.6% in 2022. Overwintering eggs of L. dispar occurred in 4.1% of the area in 2021 and 1.7% in 2022, showing a decreasing tendency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their occurrence was only low to middle in terms of the degree of occurrence. Adult L. dispar occurred in 4.6% of the region in 2021 and 2.7% in 2022, showing occurrences that were insignificant compared to L. delicatula. According to a survey of host preferences, both the wintering eggs and adults of P. shantungensis were found in apples and peaches between 2021 and 2022. In both 2021-2022, adult L. delicatula had a high incidence in peaches, apples, and grapes, and winter eggs were the highest in grapes. However, the incidence in apples and peaches was low. A high incidence density of L. dispar moth adults and overwintering eggs was found in apples in both 2021 and 2022.
        4,200원
        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5년부터 2022년도까지 6개목(딱정벌레목, 노린재목, 나비목, 벌목, 파리목, 총채벌레목) 곤충들에 대해서 식물검역현장 검출실적과 국내 보고된 미기록종을 분석하였다. 해당기간 동안 국경검역에서 6개목 곤충은 총 45,084건이 검출되었다. 같은 기간 국내에서는 총 545종이 미기록종 으로 보고되었으며, 이중 9종은 국경검역에서도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검역현장에서는 딱정벌레목, 총채벌레목, 노린재목이 높은 검출률을 보 였으며, 국내 미기록종 중에서는 벌목이 176종으로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침입압력(국경검역 검출)과 실제 침입(국내 미기록종 발 견) 사이에 비동시성이 확인되었다. 향후 보다 장기적인 분석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식물검역시스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igs are considered a “mixing vessel” that can produce new influenza strains through genetic reassortments, which threaten public health and cause economic losses worldwide. We performed surveillance of swine influenza virus (SIV) using 114,140 nasal swabs from 11,414 Korean farms from 2009 to 2022, and characterized their genetic evolution at each farm level. A total of 169 farms out of the 11,414 (1.48%) were SIV-positive. The positivity rate for the H1N2 subtype, which is most dominant in the pig population, was 37.87% (64/169). Through hemagglutinin (HA) gene analysis, 64 H1N2-positive farms were classified into Eurasian avian-like (46/64, 71.88%), triple-reassortant (14/64, 21.88%), pdm09 (3/64, 4.69%), and classical swine (1/64, 1.56%) groups. The estimated evolutionary rate of HA in H1N2 from 2009 to 2022 in Korea is 1.5309 × 10-3/site/year (95% HPD intervals from 1.0003 × 10-3 to 2.1735 × 10-3) with an estimated mean growth rate of 0.0114. Estimates of the relative genetic diversity of clades over time suggested that the HA of H1N2 exhibited an increase in population s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urasian avian-like-HA of the H1N2 subtype was dominant in the pig population. The continued evolution of the HA of H1N2, which is critical for cell entry, might lead to genetic diversity and the loss of vaccine cross-prote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ntinus surveillance is imperative for monitoring the evolution of the swine influenza virus.
        4,000원
        11.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ng term variations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of Bukchon-ri were determined using samples collected by trammel net from 2012 to 2022. Water temperature increased by 0.4℃ in 2022 that was less then 2012. During the survey period, a total of 95 species (53 families and 15 orders) of fishes were identified, Scorpaeniformes (five families and 22 species) and Perciformes (25 families and 39 species) accounted for 73% of the total number.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r in summer than winter, showing a peak in summer at 66 species and lower in winter and autumn at 45 specie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the biomass peaked in summer at 1,238 individuals and 280.1 kg, and were the lowest in autumn at 597 individuals and 155.4 kg. The annual diversity index, evenness index and richness index were appeared 2.11-2.80, 0.64-0.80 and 4.70-7.34 at each years. The dominance index were appeared highest in 2014 while 2021 were appeared the lowest in 2017. The subtropical fishes were identified total of 38 species (40.0%) and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r in 2022 at 22 (52.4%) species and lower in 2015-2017 at each 10 (31.3-37.0%)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of subtropical fishes were appeared rabbit fish (Siganus fuscescens), boxfish (Ostracion immaculatus), smallscale blackfish (Girella melanichthys), flag fish (Goniistius zonatus), stripey (Microcanthus strigatus), rock porgy (Oplegnathus punctatus), and bluestriped angelfish (Chaetodontoplus septentrionalis) in study sites.
        4,600원
        1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status of eggs and adults of Pochazia shantungensis, Lycorma delicatula, and Lymantria dispar was investigated i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wintering eggs of P. shantungensis occurred in 24.2% of the region in 2021 and 22.1% in 2022, while adults occurred in 25.2% in 2021 and 24.3% in 2022, indicating the highest occurrence among the pests studies in this research. The occurrence of overwintering eggs of L. delicatula was relatively low, with 2.6% of the region affected in 2021 and 1.9% in 2022. Adults of L.delicatula occurred in 3.2% of the region in 2021 and 3.6% in 2022, while they were not undiscovered in Jeungpyeong, Jincheon, Goesan, and Danyang areas. Their area of occurrence was less than 3% of the region, and the volume of occurrence was not very large. Overwintering eggs of L.dispar occurred in 4.1% of the area in 2021 and 1.7% in 2022, showing a decreasing tendency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their occurrence was only low to middle in terms of the degree of occurrence.
        1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squitoes were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environments (urban area, migratory bird refuge, and cowshed) in Gyeoungbuk from March to November 2022. A total of 4,701 female mosqutoes were collected: 1,635 from urban area, 2,801 from migratory bird refuge, and 265 from cowshed. Among collected 9 species, Aedes vexans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50.9%), followed by Culex pipiens complex (31.8%), and A. albopictus (7.1%). In urban area, C. pipiens complex was the dominant species at 75.5%, while A. vexans was the dominant species at 82.3% and 58.9% in respective migratory bird refuge and cowshed. Among 253 pools tested for flavivirus, Japanese encephalitis virus (type Ⅴ) was detected in one pool of C. orientalis collected from the migratory refuge.
        1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 3월12일 제천시의 발표(구체화)에 따르면 제천지역 내 양봉 농가를 대상으로 꿀벌생육실태를 확인한 결과 전체 벌통에서 절반 수준의 꿀벌이 사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전부터 국내 남부에서 진행되어 오던 꿀벌집단실종 현상의 한계선이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언론에서 집중 조명된 적이 있다. 이러한 현상이 과연 한반도 온난화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를 파악하고자 원인분석 및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꿀벌실종이 일어난 연도와 달을 중심으로 제천지역내의 기온, 일교차, 강수, 일조량 등 다양한 환경조건 중 예전 과 비교하여 급격한 변화가 일어난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요인이 꿀벌의 집단실 종에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다른 요인분석으로 미국, 유럽 등에서 꿀벌실종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 고 있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Neonicotinoids) 살충제를 이용해 꿀벌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으며, 생존한계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국내 살충제의 연도별 사용량을 간접 비교함으로써 꿀벌실종의 주요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충북제천 꿀벌의 실종은 기온의 상승보다는 일조량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향후 일조량에 따른 벌집내부의 온도변화 및 꿀벌의 활동성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꿀벌실종에 대한 장기적인 상관관 계를 살펴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17.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2022, research for native prokaryotic species in Korea reported 10 unrecorded bacterial strains affiliated to phyla Actinomycetota, Bacillota, and Pseudomonadota. The strains formed monophyletic clades with the most closely related species (with ≥98.7% sequence similarity) in the 16S rRNA gene sequencing. Among them, four species of the phylum Actinomycetota, two species of the phylum Bacillota, and four species of the phylum Pseudomonadota have not been reported in Korea, suggesting unrecorded species in Korea. Information on strains such as Gram staining reaction, colony and cell morphology,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solation sources were provided in the species description.
        4,000원
        18.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21세기에 들어 핵전력 강화에 전념하는 북한의 핵전략을 내 부적 법과 제도의 정비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북한은 2012년 헌법 서문 을 개정하여 ‘핵보유국’임을 천명하였고, 2013년 “자위적 핵보유국의 지 위를 더욱 공고히 할 데 대하여(소위 핵보유국법)”와 2022년 “조선민주 주의인민공화국 핵무력정책에 대하여(소위 핵무력정책법)을 통해 핵전략 을 세부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2013년 대비 2022년의 법률은 상당부 분 공세적, 권한위임형 핵전략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은 두 법 률의 내용 변화를 리케의 전략 3요소(목표, 방법, 수단)를 바탕으로 분석 하고, 비슷한 핵전략의 변화를 보였던 파키스탄의 사례와 비교하여 함의 를 도출한다. 결론적으로는 바틀렛의 모델을 바탕으로 북한 핵전략의 전 략적 균형 달성 여부를 고찰해본다.
        6,900원
        19.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3년부터 시작된 선진국의 양적완화 정책은 신흥국을 포함한 전세계 경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양적완화 외에도 전세계는 미․중 패권전쟁, 러-우전쟁, COVID-19 등 충격을 겪으면서 경제․경영환경에도 급격한 변화 를 겪게 된다. 따라서 지난 10년간 보고된 글로벌 재무 관련 연구를 포괄적으로 리뷰하면서 시사점 찾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3-2022년 국제경영연구 및 국제경영리뷰에 게재된 글로벌 재무 분야 논문에 대 해 메타분석 및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동향을 심층적으로 고찰하였다. 지난 10년 동안 발표된 국제경영연구 및 국 제경영리뷰의 총 605편 논문 중 전략 253편, 글로벌 재무 124편, 글로벌 마케팅 95편, 글로벌 인사조직 77편, 해외직접투자 33편, 지역 6편, 기타 17편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글로벌 재무 관련 논문은 20.5%를 차지하였고, 게재편수는 증가하였다. 글로벌 재무 분야의 논문은 기업재무 관련 논문 55편(44.4%), 국제금융시장 관련 44편 (35.5%), 위험관리 관련 25편(20.2%)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업재무 관련 논문 중에서도 ‘외국인투자자 및 기 업지배구조’에 대한 논문이 36편(29.0%)으로 가장 많이 발표되어, 외국인투자자의 영향력과 기업지배구조 이슈 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글로벌 재무 분야는 다양한 연구주제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글로벌 재무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연구자들에게 향후 연구의 방향과 새로운 아이디 어를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8,600원
        20.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종기지가 위치한 마리안 소만은 기후 변화로 인한 빙하후퇴로 다량의 융빙수가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빙하후퇴에 따른 생 태계 반응을 예측하기 위해, 해양 환경 변화의 지시자인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크기 구조와 물리, 화학적 매개변수에 대한 현장 조사를 2021년 12월, 2022년 1월 두 차례 수행하였다. 2022년 1월의 수온과 염분은 평균 1.41 ± 0.13 ℃, 33.9 ± 0.10 psu로 2021년 1월의 수온과 염분 인 0.87 ± 0.17 ℃, 34.1 ± 0.12 psu보다 상대적으로 고온, 저염의 양상을 보였다. 조사시기 동안 영양염류는 대체로 높은 농도를 보여 식물 플랑크톤의 제한요소로 작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의 지표인 엽록소는 2021년 12월, 2022년 1월에 각각 1.03 ± 0.64 μg L-1, 0.66 ± 0.15 μg L-1로 나타났으며 부유물질은 전체 조사기간 평균 24.9 ± 3.54 mg L-1로 나타났다. 부유물질의 농도가 높은 소만 내측에서 엽록소는 낮은 농도를 보였는데 이는 융빙수로부터 유입되는 고농도의 부유물질로 인해 수층 내 빛이 강하게 제한되어 식물플 랑크톤의 성장이 저해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빙벽 주변 정점에서 크기가 작은 미소 식물플랑크톤이 전체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에서 70% 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융빙수 유입으로 유발된 저조도 환경에서 미소 식물플랑크톤의 기여도가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빙하후퇴 지역에서 유입되는 담수와 부유물질이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및 군집구조 조절 요인이 될 수 있 음을 시사하며, 결과 자료는 추후 마리안 소만의 탄소순환 변동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