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낙지의 생식생태 이해에 필요한 수컷 생식기관과 정포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기재 하였다. 낙지는 교접완의 유무를 통하여 성을 구별할 수 있는 성적이형을 갖는 종이다. 수컷 생 식기관은 정소, 일차수정관, 저정낭, 이차수정관, 정포선, 정포낭으로 구성된다. 정소는 조직학 적으로 정세관형이었으며, 수컷 생식세포들은 층상배열상을 보였다. 일차수정관은 정소와 저정 낭을 연결하는 관으로 상피층과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저정낭은 일차수정관과 이차 수정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피층은 상피세포와 점액세포로 구성된다. 점액세포는 AB-PAS (pH 2.5) 반응에서 푸른색, AF-AB (pH 2.5) 반응에서 보라색으로 반응하였다. 이차수정관은 저정낭 과 정포선을 연결하는 짧은 관으로 내강에 주름이 발달하였다. 정포선은 다수의 관상선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분비세포는 호산성 과립을 가지고 있었다. 정포낭은 주머니 모양으로 내강 에 주름이 발달하였으며, 상피층에 공포상의 분비세포가 존재하였다. 정포는 길이 약 83.5 mm 로 전방부의 당김사, 중간부의 발사체와 고정체, 후방부의 정자 저장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4,0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리적, 환경적 변화에 따른 명태 Gadus chalcogrammus 피부계의 변화 연구를 위 한 기초 연구로서 피부계의 구조, 구성 세포 종류 및 조직화학적 특징을 기재하였다. 측선은 전반부가 완만한 곡선형이었으며, 중반부터 후반부까지는 직선으로 나타났다. 피부는 상피층과 진피층으로 구성되며, 상피층은 다층으로 상피세포, 점액세포, 곤봉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상피 세포는 표면층의 편평형 세포, 중간층의 입방형 세포, 기저층의 원주형 세포로 구성된다. 상피 층의 두께는 122.9 μm, 체장에 대한 상피층의 두께 비율은 0.03%였다. 단세포선인 점액세포와 곤봉세포는 주로 상피층의 표면층과 중간층에 분포하며, 점액세포는 산성 당단백질의 점액물 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상피층에서 점액세포와 곤봉세포의 분포비율은 각각 21.3 (± 7.0.)%와 4.0 (± 1.0)%였다. 진피층은 치밀결합조직으로 주로 콜라겐 섬유로 구성되며, 섬유세포, 혈관, 색소포, 비늘이 관찰되었다.
        4,000원
        3.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cheveria is a genus belonging to the Crassulaceae family that comprises approximately 170 species. It is a representative plant known as a succulent with economic potential in the floriculture industry. Echeveria plants are widely distributed in dry environments and endemic to Mexico. These plants have a rosette formation and varied leaf colors and shape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interest for landscaping, cut flowers, or interior decoration. Given their range of locations in different climates or indoor conditions, it is important to have an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ir leaf morphology and anatomy and how they function to provide optimum care and management. Owing to high demand in horticultural markets, many breeders have crossed their desired species. However, this method has progressively increased the number of species without proper records of parents or other natural unintended crossings, creating phylogenetic problems and identification issues. The use and understanding of phenotypes, anatomical data, and/or research to aid in taxonomic issues and improve cultural management practices have been reviewed and discussed in this paper. In this review, we have provided a brief background of Echeveria species, focusing on the challenges and studies that have attempted to address these issues.
        4,000원
        4.
        2023.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development of endoscopic ultrasound (EUS), the importance in the using EUS in pancreas and biliary tree has gradually increased. In order to properly observe the pancreas and biliary tree in EUS, it is necessary to learn landmark structures at each location, such as the stomach and duodenum, and to lear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normal structures. In this article, we will deal with the examination method at each position of the linear and radial EUS and reveal the normal EUS image.
        4,000원
        5.
        2021.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적으로 수술 변형이 있는 환자에서 소장내시경을 이용한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RCP)은 까다롭고 합병증이 높은 검사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최근 연구 결과들은 그렇게 속단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다양한 소장내시경을 이용한 연구 성적들은 상당히 유망한 결과들을 보여주고 있다. 다양한 소장내시경 중 국내에서 긴 유형 단일 풍선 소장내시경이 ERCP에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 최근 짧은 유형 단일 풍선 소장내시경이 도입되어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긴 유형과 짧은 유형 단일 풍선 소장내시경을 선택하기전에 크게 2가지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긴 유형과 짧은 유형 사이의 구체적인 차이점이 실제 ERCP에 어떤 영향을 미치냐는 점이다. 둘째, 두 유형의 단일 풍선 소장내시경을 이용한 임상 연구 결과들에 대한 올바른 접근이다. 결론으로 말하면 짧은 유형 단일 풍선 소장내시경은 ERCP가 필요한 대부분의 수술 변형 환자에서 가장 먼저 선택해 볼 수 있다.
        4,000원
        7.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arketers’ reaction towards the recession in terms of the applied marketing strategies, tactics and activities and the examination of the marketing budget formulation and its allocation in the context of Greece, where the economic recession is lasting more than six years.
        4,000원
        8.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ed on the reference achievement scholars before, combined with the actual survey results on Nom Tay documents currently stored in Institute of Sino-Nom Studies, conducted article comparing other cases face each other and are similar in structure between the written word: Nom of the Kinh and Tay ethnic group in Vietnam with the letter of the Zhuang ethnic blocks (Guangxi, China). This indicates that, basically 3 types of this writing there are a lot of similarities in terms of composition, the differences are very small and specific characteristics. This sector should be studied in depth and hopefully more will have interesting results in the future.
        5,500원
        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비디오 아트에서의 투영된 이미지의 발전과 스크린-매개 설치 미술에서 최근의 프로젝션-기반 뉴 미디어 아트로의 프로젝션 개념의 전이와 관객성의 변모된 양상을 분석했다. 스크린-매개 설치미술에서의 관객성의 공간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의해 다원화되었고 컴퓨터 네트워크에 의해 가능해진 새로운 공간적 관계성과 함께 복잡하고 잠재적으로 불안정한 관람 유형이 초래되었다. 디지털 프로젝션의 개념은 이미지 투영을 넘어서 데이터 투영을 통한 다중적 감각을 공유하는 것으로 전이, 확장되며 상호작용성을 재고하게 한다. 또한 프로젝션 기반 뉴 미디어 아트는 스크린-접속 영역에서의 공동체 형성에 관한 논의를 유도하며 사회적 문맥을 취하는 예술적 실천으로 집단적인 의미를 정립해내는 관계적 논리에서의 관객성을 촉진한다.
        7,000원
        1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르네상스 초부터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던 해부학에 대한 문화적 관점과 1490년대부터 18세기 중반까지 이탈리아에서 출간된 해부학 서적의 삽화들을 토대로 미술과 의학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한다. 의학 분야는 해부학을 통해 경험을 보편적인 지식으로 구성해갔지만 당시 해부학에 대한 심리적 거리를 줄이는 과정에서 예술가의 도움을 받아 기존 예술품을 차용해서 인간의 신체를 표현하고 도상학적 지식을 함께 전달했다. 이 과정에서 의사와 예술가는 모두 개체를 설명할 수 있는 보편적 사유 구조를 공유할 수 있었고, 예술가는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표현을 확장해갈 수 있었다. 이런 점은 매너리즘 이후 아카데미의 설립 과정에서 진행된 해부학의 논쟁이나 바르톨로메오 파세로티의 <해부학 수업>의 사례에서처럼 유파의 분류 기준으로 변하는 과정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해부학 전문 서적의 삽화들은 대상이 아니라 대상을 보는 문화적 사유 구조를 바탕으로 각 분야의 독립적 담론을 구성하고 학문적 자율성을 부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다.
        6,600원
        11.
        201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pulla is a common channel where biliary and pancreatic duct join. The reason why it is called ampulla is that this area is enlarged where it penetrates the duodenal wall. As it protrudes into the duodenal lumen, it is also called papilla. Ampulla is surrounded by sphincter muscles which control the secretion of bile and pancreatic juice. Ampullary tumor includes broad spectrum of benign and malignant tumors which need different treatment options - Endoscopic papillectomy (EP), surgical ampullectomy (SA), and pylorus-preserving pancreatoduodenectomy (PPPD). There is a consensus that benign tumors need EP and malignant tumors need PPPD. However, there are controversies regarding how to treat high-grade dysplasia (HGD), carcinoma in-situ, or T1 cancer. Surgical treatment includes SA and PPPD. The indication of SA is usually benign tumors which extend to bile duct or pancreatic duct or too big tumors to snare completely by endoscopy. Compared to EP, SA is less likely to leave remnant tumor which results in re-resection. In some limited cases of early carcinoma, SA can be attempted. Oncologically, however, SA is not recommended because there might be incomplete resection, lymph node metastasis, lymphovascular invasion, or perineural invasion. As PPPD still has high morbidity, prolonged length of stay, and relatively high post-op mortality, SA can be recommended in old patients with co-morbidity that can be exacerbated after surgery. Technically important points of SA are as follows; first, resecting the whole layer of duodenum, second, re-implanting the bile duct and pancreatic duct with duodenal mucosa to keep the mucosal continuity. PPPD is a standard operation of malignant tumor because it can completely remove the tumor as well as regional lymph nodes.
        3,000원
        1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rbon materials were synthesized by pyrolysis from fibers of Corn-straw (Zea mays), Rice-straw (Oryza sativa), Jute-straw (Corchorus capsularis) Bamboo (Bombax bambusa), Bagass (Saccharum officinarum), Cotton (Bombax malabaricum), and Coconut (Cocos nucifera); these material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X-ray diffraction (XRD), and Raman spectra. All carbon materials are micro sized with large pores or channel like morphology. The unique complex spongy, porous and channel like structure of Carbon shows a lot of similarity with the original anatomy of the plant fibers used as precursor. Waxy contents like tyloses and pits present on fiber tracheids that were seen in the inherent anatomy disappear after pyrolysis and only the carbon skeleton remained; XRD analysis shows that carbon shows the development of a (002) plane, with the exception of carbon obtained from bamboo, which shows a very crystalline character. Raman studies of all carbon materials showed the presence of G- and D-bands of almost equal intensities, suggesting the presence of graphitic carbon as well as a disordered graphitic structure. Carbon materials possessing lesser density, larger surface area, more graphitic with less of an sp3 carbon contribution, and having pore sizes around 10μm favor hydrogen adsorption. Carbon materials synthesized from bagass meet these requirements most effectively, followed by cotton fiber, which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arbon synthesized from the other plant fibers.
        4,000원
        15.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easonal changes of leaf growth and related characteristics in three cultivars of orchardgrass; Potomac, Kay and Suma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Leaf elongation was increased i
        4,000원
        16.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인체 모사 조형물을 3차원 프린팅으로 출력한 사례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재료는 용융적층방식의 개인용 3차원 프린터 장비와 폴리락트산을 소재로 사용하였다. 3차원 인체 모사 조형물 출력은 모델링하는 단계, 평면화 작업과 G-code 변환 단계,출력변수 설정 단계, 3D 출력단계, 마지막으로 후처리 단계 순으로 진행하였으며, 학생들의 학습만족도(해부학인지도, 수업흥미도)를 리커트 5 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20가지의 3차원 인체 모사 조형물을 성공적으로 출력하였다. 총 출력소요시간은 11,691분(194시간 85분)이었으며 평균 출력소요시간은 584.55분(9시간 7분)이었다. 이에 소요된 필라멘트량은 총 2,390.2 g 이었으며 평균 119.51 g 이 소요되었다. 학습만족도의 해부학인지도는 평균 4.6 점, 수업흥미도는 평균 4.5 점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3차원 프린팅 기술은 영상해부학 교육의 학습효과를 높여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1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per Typhoon Haiyan which is known as super typhoon Yolanda in the Philippines, the 24th typhoon to hit the country in 2013, is the world’s ‘most devastating typhoon to make a landfall’ in the entire human history. It struck the middle region of the Philippines killing thousands of people and causing billions of pesos worth of economic damages and losses. Tacloban, the capital of the province of Leyte which is approximately 360 miles southeast of Manila and is the largest city in the Eastern Visayas gaining the title of a highly urbanized city, was drastically damaged mainly due to storm surge flooding. The exceptional vulnerability of Tacloban was identified to be due to four reasons: the city’s large population, degree of urbanization, geographical location and last but not the least, its weak coastal areas. Worldwide Fund for Nature (WWF) Philippines assessed the disaster preparedness of 12 cities in the Philippines including Tacloban. Several aspects are to be considered including Tacloban’s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exposure as well as its adaptive capacity towards catastrophic threats like Haiyan. This paper aims to provide better visualization on how danger-prone areas like Tacloban should act in anticipation of occurrence of extreme weather events. Development of strategies will also be tackled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disaster response
        18.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atomical characters of the Bupleurum latissimum Nakai, an endemic species of Korea, were investigated to confirm its phylogenetic relationships. Compare to other species with anatomical characters, B. latissimum is very similar with B, euphorbioides and B, longeradiatum in point of lacking of pith in the stem, shape of involucres, number of vascular bundles in radical leaf and cauline leaf, and lacking stomata in adaxial leaf surface. The other hand, protruded pollen aperture character appears in B. latissimum and B. euphorbioides. On the based of anatomical characters, therefore, B. latissimum has closest relationships with B. euphorbioides and B. longeradiatum. It also needs molecular study including Asian species in order to confirm phylogenetic position and speciation process apparently.
        19.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aeonia lactiflora Pallas와 Paeonia obovata Maxim.의 뿌리와 줄기를 식물 해부학적으로 살펴본 결과 도관절의 길이에 있어서는 P. lactiflora Pallas가 P. oboata Maxim. 보다 줄기 및 뿌리에서 다소 길게 나타났으며 도관절의 폭에 있어서도 P. lactiflora Pallas가 P. oboata Maxim.의 줄기와 뿌리에 비해 넓게 분화된 양상을 관찰 할 수 있었다. P. lactiflora Pallas의 뿌리에서 이기목부(二期木部)는 불연속적인 층상배열을 이루나 P. oboata Maxim.에서는 연속적인 방사열을 이루어 종간의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20.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호 모상근 태양에선 MS와 RCM 배지를 기본배지로 하는 몇 가지 배지를 사용하여 생장과 사이코사포닌 함량을 비교하였으며, 그 중 MS와 3RCM 두 배지에서 보이는 생장과 성분 함량의 차이가 뿌리의 조직학적 차이와 연관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모상근의 생장은 생중량은 MS배지가 건중량은 3RCM 배지가 각각 양호하였으며, MS와 3RCM의 건중량에 대한 생중량의 비가 각각 7.6%와 14%로 MS 배지가 함수량이 높았다. 사이코사포닌 함량은 MS배지에서는 극히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3RCM 배지에서는 총함량에서 국내 1년산 재배근의 약 2.2~5.5배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두 배지에서 배양한 시료의 근단부와 뿌리끝 1 cm 부근에서는 조직학적인 큰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성숙대에서 는 MS 배지 보다 3RCM 배지에서 목부 사부 세포들의 발달이 보다 뚜렷하고, 3RCM 에서는 많은 세포에서 탄닌을 함유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진한 염색의 액포 또는 세포 소기관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세포 소기관의 발달은 사이코사포닌을 포함한 2차대사물질의 생합성과 연관이 았는 것으로 사료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