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vious studies on English spelling have investigated the types of spelling errors and their frequencies, and studies on why learners made those errors have been called fo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leading to errors in the English-spelling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actors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following methods: A total of 130 students from O Elementary School were given three types of word-writing tasks: dictation of single words, dictation of short sentences, and writing words as many as the students can based on pictures depicting familiar scenes. The errors in their writing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The students were interviewed about why they made those err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rrors were influenced by the factors: the students’ first language, background knowledge, pronunciation, and morphological reasons. The results suggest that if teachers understood these factors, they would be able to explore better teaching methods for reducing errors in English spelling, and that future research could apply these factors for further investigations.
        6,300원
        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시뮬레이터 훈련이 척수손상 환자의 운전시뮬레이터 도로 주행시간과 주행조작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단일사례실험연구 AB설계로 진행되었으며, 기초선 3회기, 중재기 10회기를 적용하였다. 기초선 3회, 중재기 5회 도로주행코스(중급) 수행 시 운전시간, 주행조작 능력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연구결과 분석을 위하여 시각적 분석 방법과 평균 ±2*표준 편차를 사용한 양적 분석을 동시에 사용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자 3명의 총 주행시간은 기초선 A보다 중재기 B에서 3분 내외의 감소하였고, 세 명 모두에서 통계학적으 로 의미있는 주행 능력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주행조작능력 또한 오류 점수가 감소하였고, 첫 번째 참여자와 세 번째 참 여자의 경우 그 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자의 총 주행시간 및 수행 오류의 감소가 확인되어 운전시뮬레이터 훈련의 효과가 있었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운전시뮬레이터 훈련의 적용 가능성을 뒷받침 한다.
        4,000원
        3.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굴절이상도에 따른 고위수차와의 상관관계, 근시, 정시, 원시 그룹 간의 고위수차를 비교 분 석하여 시력의 질을 높이기 위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굴절검사와 고위수차 검사는 i-Profilerplus 를 사용하였으며, 고위수차는 제르니케 다항식에서 코마, 트 레포일, 구면, 비점, 콰트레포일수차의 4차 항까지의 제르니케 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코마수차, 구면수차, 콰트레포일수차, 비점수차는 남자보다 여자가 높게 나타났고, 트레포일수차는 여 자보다 남자가 높게 나타났다. 근시, 정시 원시 그룹의 고위수차 중 코마수차는 원시안이 0.069±0.049 μm로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 트레포일수차는 원시안이 0.084±0.072 μ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면수차는 정시안이 0.025±0.043 μm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점수차는 정시안이 0.028±0.024 μm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콰트 레포일수차는 원시안이 0.031±0.031 μ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등가구면굴절력과 고위수차와의 상관성은 근시 도가 낮고 원시도가 높을수록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결론 : 고위 수차는 근시 그룹에서는 코마수차, 정시와 원시 그룹에서는 트레포일수차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000원
        4.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20~70대 성인을 대상으로 각막굴절력이 굴절이상과 동공크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안과질환과 각막굴절교정술 경험이 없는 근시안 그룹(831안, 34.55±13.17세, -2.28±1.37 D), 원시 안 그룹(369안, 47.20±12.24세, +1.22±0.72 D)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I-Profilerplus를 사용하여 대상안 의 각막굴절력과 동공크기 및 원점굴절도를 측정해 분석하였다. 결과 : 각막굴절력은 근시안 그룹이 원시안 그룹 보다 약 0.35 D 정도 유의하게 컸으며, 근시안과 원시안 및 전체 굴절이상 그룹에서 원점굴절도가 마이너스(-) 방향으로 높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0). 동공크기 는 근시안 그룹이 원시안 그룹에 비하여 약 0.40 mm 정도 유의하게 컸고 근시안과 원시안 및 전체 굴절이상 그 룹 모두에서 원점굴절도가 마이너스(-) 방향으로 높을수록 동공크기가 컸으며(p<0.050), 근시안과 원시안 그룹을 포함하는 전체 굴절이상 그룹에서 각막굴절력이 플러스(+) 방향으로 클수록 동공크기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0). 결론 : 각막굴절력은 굴절이상과 동공크기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연구 결과는 굴절이상 종류에 따른 동공크기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4,000원
        5.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i Qie Jing Yin Yi written by Xuan Ying of the Tang Dynasty is a model work of the sound and meaning of Buddhist sutras. At present, two collated editions have been published, but there are still many errors that have not been corrected. These error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primary errors, secondary version errors and other kinds of errors. Primary errors are annotation errors caused by the limitations of the author’s own knowledge; The secondary version errors refer to the errors added in the spreading of the book. Other kinds of errors are the errors that we can not determine whether they belong to the primary errors or secondary version errors according to the existing materials.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his paper lists several errors that were not reached by predecessors in the previous practice, in order to seek advice from others.
        5,500원
        6.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aims to categorize common word choice errors in Korean EFL writing and help teachers understand students’ word choice patterns. This study reassures that both L1 and its background cultures affect language learners’ choice of vocabulary in English learning. Korean first-year undergraduate students with low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carry out a writing log, a collection of nine pieces of weekly assignments of paragraph writing during the semester. They were allowed to use any type of automatic translation such as Google Translate or Papago for revision and editing. The errors that the students produced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nd significant findings were obtained regarding lexical errors caused by literal translation, cultural differences, and L1 word order. The findings are interpreted in terms of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and target languages. They can give ideas for teachers to instruct EFL writing strategies on students’ word choice errors.
        5,800원
        7.
        202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L2 adolescent learners’ use of machine translation (MT), an MT error correction (EC) test was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MT errors arising from translating the learners’ L1 of middle school EFL textbooks. Learners were also asked to report on their use of MT EC strategies on the EC task. Results indicated that mistranslated sentence and verb tense are the most difficult types of MT errors to correct. Furthermore, to resolve MT errors, guessing from context and literal translations were the two most frequently employed EC strategies. W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ntribution of EC strategies to the learners’ ability to correct errors, the mid proficiency learners’ reliance on literal translations and the low proficiency learners’ use of multiple EC strategi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mproved corrections of MT err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iscussed in light of how L2 learners need to develop competence for using MT in L2 writing.
        6,000원
        9.
        2022.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Korean pronoun system does not specify gender indication, Korean speakers of English tend to have difficulties when they use English pronouns. This paper explores how absence of obligatory gender marking in Korean affects gender errors in the production of English. Gender pronoun errors made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were analyzed using recordings of English conversations of seven Korean subjects.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Korean English learners struggled with the use of gender pronouns due to differences in gender pronoun systems between Korean and English. Both gender-neutrality and pro-drop practices do not require Korean speakers to pay close attention to gender factors when using pronouns in their native language, resulting in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Considering that the Korean language lacks specific gender orientation in its usage of pronouns whereas English requires clear gender specification,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native language gender concept can influence second language use.
        5,400원
        1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ste trabajo analiza los errores debidos a la interferencia coreana al escribir/traducir al español. Sostenemos que, cuando los alumnos ingresan una vez en la memoria una forma española α que corresponde preferentemente a una forma coreana A, tienden a equiparar esta correspondencia como ‘A = α’ y la aplican a los casos en los que dicha correspondencia no debería usarse. Para averiguar cuántos alumnos cometen este tipo de error, realizamos un experimento con 42 alumnos. En el experimento, dividimos las oraciones en dos grupos. Las oraciones que pueden producir un resultado apropiado se colocaron en el grupo A si usamos la correspondencia ‘A → α’, mientras que las que pueden producir un resultado inapropiado se ubicaron en el grupo B si lo hacemos. Nuestro análisis mostró que el error más común del grupo B es reutilizar la correspondencia utilizada en el grupo A. Por lo tanto, los estudiantes necesitan evitar una “ecuación excesiva” para reducir errores. Finalmente, para cada oración, sugerimos formas de reducir o evitar errores.
        6,300원
        1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onetically if the spelling errors produced by foreign Korean learners are related to learners’ pronunciation by analyzing the pronunciation of plain, tense, and aspiration sounds of foreign Korean learners using a Praat.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data produced by 18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t the beginner leve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eign Korean learner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errors in plain and aspiration sound among initial obstruent word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extremely strong or very weak pronunciation of the word, because learners do not properly recognize the intensity of range in plain sounds. Second, the more accurate the learner’s perception was, the more accurate production can be made. Statistically,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ion rate increased by 0.178 each time the perception rate increased by 1.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is establish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nunciation and spelling is a relationship that increases by 0.652 each time the pronunciation increases by 1. It can be expla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earner may often write words as they pronounce them.
        5,500원
        12.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동공크기 변화에 따른 굴절이상과 고위수차를 노안 전후의 연령군으로 분류하고 비교 분석하여 노안 처방 등의 임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안질환 및 굴절교정 수술을 받은 경험이 없는 20세~80세의 성인 남녀를 20~40세 그룹과 45~80세 두 그 룹으로 나누어 굴절이상과 고위수차를 측정하였다. 동공크기 변화에 따른 굴절이상과 고위수차의 비교는 Paired-T test를 이용하였고, 연령에 따른 상관분석은 Pearson correlation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 20~40세 대상자의 등가구면 굴절력은 동공크기 3 mm에서 –3.193±2.494 D, 5 mm에서 –3.386±2.451 D로 0.193 D 근시도가 증가하였으며, 45~80세 대상자의 등가구면 굴절력은 동공크기 3 mm에서 0.015±1.340 D, 5 mm에서 –0.054±1.566 D로 0.069 D 근시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동공크기 3 mm에서 20~40세 대상자보다 45~80세 대상자의 코마수차는 0.026 μm, 구면수차는 0.016 μm, 트레포일수차는 0.037 μm, 비점수차는 0.012 μ m, 콰트레포일수차는 0.022 μm 증가하였다. 결론 : 노안교정을 위한 누진굴절력렌즈 처방 시 시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동공크기나 고위수차를 참고하여 처 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5.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huowen Tongxun Dingsheng 說文通訓定聲, as a representative work by Zhu Junsheng who is a famous expert in study of Shuowen Jiezi 說文解字(hereafter Shuowen) in Qing Dynasty, consists of three parts: Shuowen 說文, Tongxun 通訓, and Dingsheng 定聲. This book in Shuowen the part is based on the word meaning system, and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It includes the following eight types: 1.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of the wrong glyph analysis; 2.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of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yin and yang five elements; 3.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the intending meaning is wrongly regarded as original meaning; 4.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the loaning meaning is wrongly regarded as original meaning; 5.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the contextual meaning is wrongly regarded as original meaning; 6.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the meaning of continuous words is wrongly regarded as original meaning; 7.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the meaning of overlapping words is wrongly regarded as original meaning; 8. corrected the error of explaining the original meaning of Shuowen because the language source meaning is wrongly regarded as original meaning.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se researches lie in helping to use materials in Shuowen correctly and scientifically, and helping to understand the way of interpretating Shuowen.
        6,400원
        1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근시정도에 따라 MC lens, MyoVisonlens 그리고 Single Vision lens를 착용한 그룹들이 각각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의 한 안경원의 고객 중 2010년 1월에서 2016년 12월 사이에 방문한 7세에서 20세 사이 안질환이 없는 근시안 MyoVision 152안, MC lens 86안, Single Vision lens 270안을 대상으로 등가 구면도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MyoVision, MC lens 그리고 Single Vision의 1년간 평균값 변화를 SPSS ver1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각 그룹별로 처음 방문했을 때와 1년 후 재방문 했을 때의 그룹 내 차이를 Paired T-test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이후 One-Way ANOVA(Post Hoc; Bonferroni) 분석을 통해 사후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그룹간 비교에서는 MyoVision과 MC lens가 Single Vision 보다 근시 완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굴절이상도에 따라 MyoVision과 MC lens의 근시 완화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부모 모두 굴절 이상도가 정상일 때는 MyoVision 과 Single Vision lens 간의 변화는 -0.35±0.05D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값이 나타났다. 아버지만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MC lens는 Single Vision 보다 -0.36±0.14D만큼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만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MyoVision 과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은 -0.37±0.06D의 변화를 보였고 MC lens 와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은 -0.38±0.08D가 변화하여 각각 Single Vision lens에 비해서 근시를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부모모두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MyoVision 과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 변화와 MC lens 와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 변화는 각각 -0.28±0.07D, -0.31±0.07D로 MyoVision 과 MC렌즈 모두 통계적으로 유희한 변화값을 보여 근시진행에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 각 그룹 내에서 MyoVision, MC lens 그리고 Single Vision모두 근시를 완화시켜주는 기능에 있어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였으나 그룹 간 비교에서는 MyoVision과 MC lens가 Single Vision보다 근시 완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굴절이상별 세 그룹으로 분류한 우리나라 아동들의 안축장과 빛간섭단층촬영(OCT)로 측정한 황반두께, 망막신경섬유층두께 사이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아동 67명(134안)을 대상으로 원시, 정시, 근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황반부와 망막신경섬유층두께는 Cirrus HD-OC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안축장은 IOL Mas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안축장은 근시, 정시, 원시그룹 순서로 길게 측정되었다(p<0.05). 중심부황반의 두께는 근시, 정시, 원시그룹 순서로 두껍게 측정되었다(p<0.05). 주변부황반부는위쪽, 코쪽, 아래쪽부분에서 근시그룹이 가장 얇았다(p<0.05).황반의 중심부 두께는 안축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283, p<0.05). 주변부 황반의 두께는 모두 안축장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귀쪽망막신경섬유층두께(Temporal RNFL Thickness)는 근시그룹이 가장 두꺼운 결과를 보였고,안축장과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상관성이 나타났다(r=0.39, p<0.05). 위쪽과 코쪽, 아래쪽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안축장과 모두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코쪽 부분의 두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r=-0.23, p<0.05).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소아들의 OCT로 측정한 망막의 황반부의 두께,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와 안축장은 근시의 정도가 높을수록 안축장의 길이가 더 길게 측정되었으며, 굴절이상별 세 그룹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4,000원
        18.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각막굴절교정 수술안의 수술 전 근시도에 따른 대비시력과 대비감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각막굴절교정 수술안 68명과 정시안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비시력은 고대비시력 (HCVA)과 저대비시력(LCVA)을 ETDRS 시력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대비감도 검사는 CSV-1000E 사용하여 시행 하였다. 대비시력과 대비감도 검사는 밝은 조명과 어두운 조명 모두에서 각각 수행하였고 수술안은 수술 전 등가구면굴절력(SE) ˂ -6.00 D 와 ≥-6.00 D을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대비시력은 정시안을 포함한 세 그룹 사이에서 고대비시력(밝은 조명) (p=0.028), 저대비시력(밝은 조명) (p=0.047), 고대비시력(어두운 조명) (p=0.002), 저대비시력(어두운 조명) (p=0.01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수술안 그룹 2가 수술안 그룹 1보다 대비시력이 감소하면서 수술안 두 그룹사이에도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비감도는 정시안을 포함한 세 그룹 사이에서 밝은 조명에서 측정한 공간주파수 6(cpd)을 제외한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밝은 조명3cpd; p=0.002, 12cpd; p=0.006, 18cpd; p=0.000, 어두운 조명 3cpd; p=0.003, 6cpd; p=0.001, 12cpd; p=0.000, 18cpd; p=0.000). 수술 안에서는 수술안 그룹 2가 수술안 그룹 1보다 대비감도가 감소하였지만, 두 그룹 사이에는 통계적 차이는 나 타나지 않았다. 결론: 각막굴절수술안은 대비시력과 대비감도가 정시안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굴절수술 안에서 수술 전 굴절이상이 고도근시로 갈수록 대비시력과 대비감도가 감소하였으나 대비감도는 수술안의 두 그룹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4,000원
        1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선박 충돌사고 사례를 조사하여 선박 충돌상황에서 충돌 원인별 선장 및 당직 해기사의 인적과실 유발 요인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규명함으로써 해기사의 선박 충돌예방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7년 동 안의 상선과 상선, 상선과 어선 간의 선박 충돌사고 중 분석기준에 적합한 총 109건 218척(피항선109척, 유지선 109척)을 대상으로 하였으 며 선종, 피항선과 유지선, 인적과실 측면의 충돌원인 등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상선에서 해기사의 충돌사고 유발 요 인 규명에 중점을 두고 통계분석 도구인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해기사의 인적과실 유발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피항선에서는 레이다 감시를 포함한 경계소홀(74.3%) 및 상대선 지속관찰 소홀(17.4%) 순 이었으며, 유지선 에서는 적절한 피항 협력동작 미 이행(63.3%)이 주요 요인이었다. 특히 상선의 경계소홀 유형 대부분이 상대선 초인 후 지속관찰을 소홀히 한 점이며 미 경계 원인과 당직근무 태만의 공통요인은 항해당직 시간에 다른 업무에 치중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0.
        201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ual coding elucidation on raising learners’ awareness of L2 lexical errors and correct usage. Participants included 135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assigned to either a single-coding or dual-coding group. The single-coding group studied the incorrect and correct usage of target lexical items under a verbal-code-only condition. The dual-coding group studied the incorrect and correct usage under a verbal-plus-visual-code condition. Participants completed posttests at two intervals: immediately after studying the materials and four weeks later. Analyses revealed that dual coding elucid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facilitating learners’ awareness of lexical errors and correct usage; these effects remained over time. The results also indicate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earning style and the effectiveness of visuals. Qualitative data demonstrated that students perceived visuals as being helpful in improving accurate lexical use and their engagement in learning vocabulary. The article concludes by discussing the facilitative role of visual encoding in L2 lexical knowledge development, thus expanding on the dual coding theory.
        5,8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