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0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복궁은 조선 건국과 함께 창건된 궁궐로 태종, 세 종, 세조를 거치면서 법궁(法宮)으로 위상을 갖췄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 이후 선조를 시작으로 여러 국왕은 경복궁을 중건하기 위해 노력하였지만 결국 270 년간 중건하지 못하였다. 경복궁의 공지(空地)에는 내농포(內農圃)가 들어섰으 며, 때에 따라 군사훈련을 하거나 왕실의 말을 키우는 목장으로도 사용되었다. 소실 이후 경복궁에는 전각터를 비롯하여 궁성(宮城) 과 궁성문(宮城門), 수계(水系)와 천문 관련 시설 등이 남아 있었는데, 그중 궁성은 외부의 침입을 막기 위한 시설로 유지 관리되었다. 궁성문에는 돌을 쌓아 출입을 막았으나, 광화문 동협문에는 경복궁의 관리를 위해 별 도의 문을 두어 출입하도록 했다. 경복궁의 수계시설은 가뭄이 들었을 때 기우(祈雨)를 위해 정비되었으며, 영조 대에 들어 물이 잘 흐를 수 있 도록 준천(濬川)되었다. 이외에도 간의대(簡儀臺), 소간 의대(小簡儀臺) 등의 천문 관련 시설이 남아 있었으며,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天象列次分野之圖刻石)이 발견 되어 관상감(觀象監)으로 옮겨 보관하였다. 광화문 밖에 남아 있던 세조 대 제작된 동종(銅鐘)은 종각을 세워 보 호하였다. 경복궁의 수비와 관리를 위하여 공궐위장(空闕衛將) 과 수궁내관(守宮內官)이 경복궁 내에 위치한 위장소와 수궁에 상주하였으며, 매일 포도청과 삼군문이 경복궁 외부를 순라(巡邏)하였다. 이러한 인력을 통한 관리와 함께 난입과 벌목, 내맥(來脈)의 굴토(掘土)를 금지하는 금령(禁令)이 마련되었으며, 이를 어기는 경우 처벌하였 다. 이러한 경복궁의 관리와 함께 근정전, 사정전, 강녕 전, 경회루 등의 전각터에서는 선대왕의 고사를 바탕으 로 왕실행사가 계속되었다. 현종 대 강녕전 터에서는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종묘 부묘(祔廟)를 위한 제주(題柱)가 행해졌으며, 숙종은 경 복궁 신무문 밖에서 행해지는 회맹제(會盟祭)를 위해 경복궁에 친림하였는데, 이러한 회맹제 때 국왕이 경복 궁을 찾는 것은 이후 경종과 영조 대까지 이어졌다. 숙 종은 회맹제 외에도 세조 대 경회루에서 행해진 양로연 (養老宴)의 고사를 따라 노인연(老人宴)을 열었다. 영조는 회맹제를 시작으로 숙빈 최씨 사당의 전배(展 拜)와 관련하여 경복궁에 친림하였다. 이와 함께 경복궁 에서 과거시험을 열었으며, 친잠례(親蠶禮), 진작(進爵), 조참(朝參) 등을 행하였다. 영조 대 친잠단과 문소전 터에 세워진 어필비는 영조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관리되었으며, 문소전구기비의 경 우 이후 국왕들이 지속적으로 전배하였다. 또 경복궁은 춘당대(春塘臺)와 함께 정시(庭試) 과장(科場)으로 정해 졌기 때문에 철종 때까지 정시가 계속 열렸다. 경복궁 신무문 밖 공지에서도 회맹제(會盟祭)와 군사 의례가 행해졌다. 영조 대 육상궁(毓祥宮)과 연호궁(延祜宮) 등의 사묘(祠廟)가 건립되고, 인원황후의 탄생지 인 양정재(養正齋)가 어필 봉안처가 됨에 따라 소란스 럽게 행해진 신조기휘제(新造旗麾祭), 호궤(胡跪) 등의 군사의례는 한양 내 다른 곳으로 옮겨져 행해졌다. 경복궁 중건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문헌에 기록된 소 실 이전의 경복궁 전각배치와 중건 초기 경복궁 내의 수계와 내맥 등이 반영된 다양한 <경복궁도>가 제작되 었다. 고종 대 경복궁 중건은 경복궁 내부 청소를 시작으로 수계와 내맥이 정비되었다. 우선 경회루지와 후원지를 준척(濬滌)하였으며, 준척에서 나온 흙으로 내맥을 보토 하였다. 이와 함께 경회루지의 제방(堤防)과 첨계(檐階), 섬 등은 개축(改築)되었다. 수로 역시 정비되었는데 기 존에 관리되던 수문은 시설의 변화 없이 단순히 준천만 하였지만 관리되지 못한 수로와 수문은 새롭게 고쳐 쌓 았다. 경복궁 공지를 차지하고 있던 내농포와 궁성 밑 민가 들은 한양 곳곳으로 옮겨졌으며, 어필비각과 위장소와 수궁 역시 훼철되었다. 간의대와 소간의대를 훼철한 후 나온 석재는 경회루 첨계, 건춘문 지대석, 근정전 품계 석 등에 재사용되었으며, 광화문 밖 동종 역시 녹여 향 로와 토수(吐首) 등을 제작하였다. 신무문 북쪽 지역은 중건과 함께 경복궁 후원으로 포 함된다. 이에 따라 육상궁 동쪽에 담장을 쌓으면서 후원 안에 위치하게 된 연호궁은 창의궁(彰義宮)으로 이봉 (移奉)되었으며, 양정재는 영조와 정조의 어필 봉안처로 서 경복궁 후원에 남게 되었다. 경복궁 중건과 함께 궁성과 궁성문, 주요 전각터 등 은 훼철 후 다시 지어졌지만, 그 규모와 배치는 크게 바 뀌지 않았다. 다만 강녕전과 사정전 사이에 행각이 건설 되어 강녕전 전면 좌우 건물의 위치와 명칭에 변화가 있었다. 광화문과 강녕전에는 다른 궁궐과 같이 월대를 새롭게 쌓았으며, 경회루와 근정전, 광화문 월대에는 난 간이 새롭게 세워졌다. 이와 같이 경복궁은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 270년간 중건되지 못하였지만, 경복궁의 관리를 위해 조직과 법 령이 마련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경복궁은 유지관리 되 었다. 이러한 관리를 바탕으로 유지된 경복궁에서는 왕 실행사가 행해졌으며, 이로써 법궁으로서의 상징성이 유지되었다. 문헌과 중건 초기상황이 반영된 <경복궁도>는 고종 대 경복궁 중건의 기초자료로 쓰였다. 경복궁 중건에서 내부를 점유하고 있던 시설들은 훼철되거나 자재로 재 사용되었다. 경복궁 내 남아 있던 전각터를 바탕으로 전 각이 중건되었으며, 경복궁 궁역이 신무문 밖까지 확대 되었다. 중건 경복궁에는 270년간 궁궐 건축 변화가 적 용되었으며, 월대의 난간과 같은 새로운 형식이 나타나 기도 하였다.
        2.
        202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외 위험지역에서 다양한 위난상황으로부터 재외국민을 보호하고 본 국으로 안전한 귀환을 위해 외교·국방·정보 역량을 동원하여 수행되는 활 동이 비전투원후송작전(NEO)이다. 미국과 한국이 수행했던 NEO 사례분 석을 바탕으로 도출된 NEO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요인과 시사점은 다 음과 같다. 첫째, NEO 계획의 핵심요소는 변화하는 작전환경에 대한 상 황인식과 대비태세이다. 둘째, 후송작전의 기본원칙인 정확성, 보안, 속 도를 기반으로 하여 적대세력의 접근경로와 공격유형을 파악하고, 급변 하는 위협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신속대응군과 후송부대를 투입해야한 다. 셋째, NEO 계획, 경보발령, 집결·재배치, 후송·귀환 과정에서 국무부 /외교부, 국방부, 재외공관, NEO 수행부대 간의 효과적인 협력과 조정 업무가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국방부와 정보기관은 현지 임무수행단에 게 작전지역 평가, 위협평가, 적대세력의 위협방책 식별, 대응책 등의 정보를 제공해야한다. 다섯째, 내란과 분쟁지역에서 NEO는 시·공간 제 한사항이 많은 원거리 해외지역에서 작전이기 때문에 동맹국·우방국과의 긴밀한 군사협력 및 연합작전도 필수적이다.
        7,000원
        3.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쟁 시 각국은 고대로부터 마비전을 추구하여 적의 중심을 지향하여 최소의 희생으로 승리하고자 하였다. 또한 특수작전부대는 합동작전의 핵심부대로 각국은 특수작전부대를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쟁양상의 변화와 더불어 마비전이 진화함에 따라 전쟁 시 마비전 사례분석을 통해 특수작전부대의 역할을 도출하고, 미래 다영역 작전 시 마비전 수행을 위한 특수작전부대의 운용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 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한 질적연구와 사례를 분석 후 비교하였다. 연구범위는 제2차 세계대전으로부터 걸프전, 이라크전을 분석하였고 미래 운용방향은 미국의 다영역작전 시 특수작전부대 운용을 연구하여 한국군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마비전은 초기의 물리적 마비로부터 물리적 마비 +체계무력화+심리적 마비로 진화하며 발전하였고, 특수작전부대는 마비 전 수행에 결정적으로 기여하였으며 그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군 특수작전부대는 미래 다영역작전에서 도 마비전을 수행하기 위해 지속적인 마비전 수행개념과 이를 위한 조직 편성 및 무기체계의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6,600원
        4.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uses the Balanced Scorecard framework to create comprehensive performance indicators for foodservice programs in senior welfare centers. The study evaluates these programs in South Korean senior welfare centers from financial, customer, learning and growth, and internal business process perspectives. Thirty-five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through the Delphi study used for the survey study nationwide, and 115 were collected. Thirty elderly welfare centers participated in on-site evaluation by the expert. The results of the survey study, 81.4, indicate overall favorable performance, with social workers scoring slightly lower than dietitians and directors. On-site evaluations showed better performance, 84.4, compared to the survey study. The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on-site evaluation, and the score was 20.9, which was 3.1 points higher than 17.8 from the survey study (p<0.001). However,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cluding adopting nutrition management programs, defining roles for dietitians and cooks, enhancing food sanitation regulations, and providing financial support. Additional recommendations involve recruiting nutrition personnel, collaborating with local governments, and integrating centers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at the local level.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enhancing the foodservice in elderly welfare centers to improve the nutrition and well-being of the elderly population.
        5,100원
        6.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arious radioactive metal wastes are generated during operation and decommissioning of nuclear facilities. Radioactive metal wastes with complex geometries or volumetric contamination can be difficult to decontaminate and disposal costs may increase. To solve these problems, the radioactive metal wastes can be treated by melting method. In this study, we designed a melting furnace system of air induction melting type, which is widely utilized due to its advantages of good thermal efficiency, uniform heating and guaranteed safety for radioactive material. By utilizing the melting furnace system, volatile radionuclides existed in the base material can be captured in the form of gas or dust by the filter. The radionuclides whose chemical properties can easily form metal oxides present as slag. For this reason, the specific radioactivity of the base material can be reduced. Radionuclides that are difficult to transport to slag and dust are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base material. A dedicated power supply and a transformer were necessary to be included in the melting furnace system since the induction furnace uses high-frequency currents. In addition, a hood is placed on top of the furnace to capture fumes generated during melting, and additional hoods were installed around the furnace to remove airborne dust. In particular, a dust collection unit consisting of a cyclone and a HEPA filter were constructed to effectively collect dust containing radionuclides. During the melting process, the slag is removed and accumulated separately, and the ingot production system was designed to produce the ingot using molten metal. The furnace was constructed for tilting the molten metal by moving the furnace using hydraulic system. The water cooling system and cooling tower were prepared to cool off the equipment with high temperature during melting is cooled off. The above process was specified in the operating procedure developed for this melting furnace system, and the operator shall operate and inspect according to the prescribed procedures. The radioactivity concentration in the sample taken in the step of tilting shall be analyzed whether they meet clearance level for self-disposal determined and publicly announced by the Commission. We can conduct self-disposal for the product of melting furnace system confirmed by the Commission as having the radioactivity concentration by nuclide not exceeding the value determined by the Commission.
        7.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만금 호의 수질 개선을 위하여 국가에서 해수 유통을 증가시킴에 따라 해수 유통 빈도 증가로 인한 새만금 호 내 염분과 저 층수 교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모델을 이용하였다. 갑문 개폐 횟수를 하루 1회에서 2회로 증 가했을 때, 새만금 호 내부 수위는 최대 약 0.7 m 상승하였다. 염분은 서측 방조제 근방에서 2.12 psu 증가하였으며, 담수 유입 부근에서는 1.18 psu 감소하였다. 입자추적을 이용하여 저층수 교환 정도 분석한 결과, 수심 5m 이하 입자 잔류율은 Case 2(1일 2회 개방)에서 Case 1(1 일 1회 개방)에 비해 2.5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문 개폐 횟수를 증가시켰을 때, 저층수 교환이 더 활발해 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해수 유통 증가에 따른 염분 및 저층수 교환 증가로 새만금 호의 수질 개선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4,600원
        8.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operations of school food services to prevent the spread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 schools nationwide. The survey data on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targeting nutrition teachers and nutritionists at 1,023 schools in 2020 and 1,177 schools in 2021 were used. The year 2021 saw an increase compared to 2020 in the following: ‘average days to be served with meals for a year (144.5 vs. 184.7)', 'provided meals to all students (92.3% vs. 96.6%)', 'utilization of additional staff for foodservice assistance (33.4% vs. 38.8%)', 'installation of partitions (61.2% vs. 83.8%)', 'provision of general diet (96.1% vs. 99.1%)', and 'use of kitchen utensils (91.3% vs. 95.1%)', 'use of cafeteria water cup (9.9% vs. 31.0%)' and 'use of drinking water in school (46.8% vs. 52.1%)'. Compared to 2020, in 2021, it was confirmed that the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stabiliz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normal school attendance rate and that systems were in place for opera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manuals and special recipes necessary for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and to operate a manpower pool that can quickly find replacement personnel if required.
        4,500원
        9.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hosphate industry is classified by IAEA as one of the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 (NORM) industry sectors most likely to require regulatory consideration. The production of phosphorous fertilizers constitutes the major activity in the industry, which can give rise to exposures of workers and the public through the handling and usage of phosphate rock and residues associated with processing.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when phosphate rock is digested with acid to produce phosphoric acid, some radionuclides, particularly Radium, become concentrated in residues, such as the scale that tends to form inside pipes and vessels. The registered radioactivity of phosphate rock in South Korea is less than 1.7 Bq/g for U-238, but according to the IAEA SRS No. 49, the radioactivity of phosphate scale can be up to 1,000 times higher than the raw mineral.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potential for worker exposure during maintenance related to the removal of scales at a fertilizer manufacturing facility producing phosphoric acid in Korea.
        10.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omestic representative nuclear fuel cycle facilities are post-irradiation examination facility (PIEF) and Irradiated Examination Facility (IMEF) at KAERI. They have regularly operated since 1991 and 1993, respectively. Due to the long period of use, the facilities are ageing, and maintenance costs are increasing every year. The maintenance methods have mainly been breakdown maintenance (BM) and partially preventive maintenance (PM). They involve replacing components that have problems through periodic inspections by on-site inspectors. However, these methods are not only uncertain in terms of replacement cycles due to worker’s deviation on the inspection results, but also make it difficult to respond accidents developed through failures on the critical equipment that confines radioactive material. Therefore, an advanced operation and maintenance studied in 2022 through all of nuclear facilities operated at KAERI. Advancement strategy in four categories (safety, sustainability, performance, innovativeness) was analyzed and their priorities according to a facility environment were determined so a roadmap for advanced operation and maintenance could be developed. The safety and sustainability are higher importance than the performance and innovativeness because facilities at KAERI has an emphasis on research and development rather than industrial production. Thus, strategy for advancement has focused even more on strengthening the safety and sustainability. To enhance safety, it has been identified that immediate improvement of aged structures, systems, and components (SSCs) through large-scale replacement is necessary, while consideration of implementing an ageing management program (AMP) in the medium to long term is also required. Facility sustainability requires strengthening operation expertise through training, education, and cultivation of specialized personnel for each system, and addressing outstanding regulatory issues such as approval of radiation environment report on the nuclear fuel processing facilities and improvement work according to fire hazard analysis. One of the safety enhancement methods, AMP, is a new maintenance approach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applied, so it had to be thoroughly examined. In this study,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ocedure and method for introducing an AMP. An AMP for nuclear fuel cycle facilities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AMP applied to the BR2 research reactor in Belgium and modifying it for application to nuclear fuel cycle facilities. The ageing management for BR2 has the objective to maintain safety, availability and cost efficiency and three-step process. The first step is the classification of SSCs into four classes to apply graded approach. Secondly, ageing risk is assessed to identify critical failure modes, their frequency and precursors. Final step involves defining measures to reduce the ageing risk to an acceptable level in order to integrate the physical and economic aspects of ageing into a strategy for inspection, repair, and replacement. Similar approach was applied to the nuclear fuel cycle facility. Firstly, the SSCs of nuclear fuel cycle facilities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afety and quality classifications, as well as whether they are part of the confinement boundary. The SSCs involved in the confinement boundary were given more weight in the classification process, even if they are not classified as safety-class. A risk index for ageing was introduced to determine which prevention and mitigation measure should be chosen. By multiplying the health index and the impact index, the ageing risk matrix provides a numerical score that represents guidance on the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ageing effect. The health index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likelihood of failure and engineering evaluation of the current condition of SSCs, whereas the impact index is calcula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severity of consequences and the duration of downtime resulting from a failure. This ageing management has to be thoroughly reviewed and modified to suit each facility before being applied to nuclear fuel cycle facilities.
        11.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안보위협은 북한 등 전통적인 안보위협에서 테러·대형재난·감염병·기후환경·범죄조직·난민 등 비전통적 안보위협이 증 가될 것이 예상된다. 더불어 비전통적 안보위협에 대응한 군의 역할은 증가되고 있고, 특수작전부대가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금번 연구는 비전통적 안보위협에 대한 특수작전부대 대응의 발전 방향을 성공요인, 즉 즉응성, 합동성, 통합성 및 연합성를 중심으로 제시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표적 비전통적 위협인 테러 대응(아덴만 여명작전)과 감염병(코로나19) 대응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특수 작전부대의 준비되고 훈련된 대응으로 작전을 성공적으로 종료 및 지원 할 수 있었다. 반면에 미흡한 사항도 다수 도출되었고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내용을 조기에 보완하여 국가적인 안정과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특수작전부대가 비전통적 안보위협 대응에 솔류션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는 것 에 의미가 있으며, 다양한 비전통적 안보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법을 추가적으로 발전시켜 주기를 기대한다.
        6,000원
        12.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격수는 전장에서 적의 사기와 전투의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4차 산업혁명으로 첨단무기가 발달한 현대 전장에서도 적에게 치명적인 피해 를 입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추어 한국 육군의 특수작전부대가 안전화작전 단계 시 북한의 도시지역에서 저격전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은 저격전의 개념을 정립하고 저격전의 영향요인(전장환경, 위협인식, 대 응의지)에 따른 저격전 전법(작전수행개념, 조직편성, 무기체계)을 중심으 로 분석하였고, 미군의 이라크 도시지역작전 저격전 사례분석을 통해 교 훈을 도출하여 한국군에 적용하는 사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 과 저격전의 영향요인에 따라 저격전 전법이 발전함을 확인하였고, 안정 화작전 단계에서 북한지역 도시지역작전 시 특수작전부대 저격전의 영향 요인에 따른 창의적인 저격전 전법을 제시했다. 따라서 한국 육군 특수 작전부대는 단순한 저격수 운용이 아닌 합동작전개념의 저격전을 발전시 키기 위해 저격전의 영향요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저격전 전법을 창 의적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6,700원
        1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는 대표적인 여름 과일이자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식품으로 밀폐되고 집약적인 생산환경으로 인해 시설 내 유기분 진, 농약, 복숭아털이 발생하기 때문에, 열악한 작업환경으로 인한 작업자들이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 숭아 선별작업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위치별, 작업별, 입경별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저감 및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 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미세먼지 모니터링 결과 지역별로 는 선별과정에서 미세먼지의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기계적인 과정을 통하여 발생하는 10μm 이상의 미세먼 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해서 공정 중 미세먼지가 주로 발생하는 지역 및 미세먼지 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저감시설 및 개인보호구의 착용이 요구된다.
        4,000원
        14.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 전 세계적인 초국가적 네트워크가 심화·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테러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북한은 정치적 목적을 위해 테러를 가장한 다양한 도발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외에서 테러 발생 시 국민들의 일상생활은 제한되고 국가 사회 전반에 대한 불안정은 심화될 것이다. 반면에 한국군의 테러대응은 변화된 테러환경에 적시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테러작전 시 군의 적시적이고 효과적인 테러대응을 위해 특수 작전부대의 대테러작전 능력 향상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대테러작전의 영향요인(전장환경, 위협인식, 대응의지)에 따른 대테러작 전 전법(작전수행개념, 조직편성, 무기체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미국의 이란인질 구출작전과 한국군의 아덴만 여명작전에 대한 사례분석 을 통해 교훈을 도출하여 한국군에 적용하는 사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 다. 연구 결과 대테러작전의 영향요인은 대테러작전 전법에 영향을 미치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최근 발달한 과학기술은 테러 환경 을 변화시키고 있으므로 한국군은 대테러작전의 영향요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대테러작전 전법을 창의적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6,700원
        17.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stainable practices of nutrition science teachers and dietitians working in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and identify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which affect the overall efficacy of the system.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ETPB) in order to analyze how individual motivation affects the sustainable practices of nutrition science teachers and dietitian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e-mail and postal mail from nutrition science teachers and dietitians all across Korea, and self-administered surveys were conducted. SPSS and AMOS program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irst, the sustainable practices of nutrition science teachers and dietitians were analyzed in 6 different categories. Second, the significant pathways were 6 out of 9 in the ETPB model. Sustainable food service practices in school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more a sustainable culture, such as through the encouragement of more healthy eating habits, and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ommunity awareness.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practices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of improvement programs aimed at increasing sustainable practices.
        4,300원
        18.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캐주얼게임은 게임의 난이도나 규칙이 어려운 하드코어 게임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칙이 쉽고 간단한 게임을 말한다. 캐주얼 게임은 게임의 특성상 짧은 여유시간에 즐기는 킬링 타임용 플레이에 더 적합하며, 단순한 규칙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용자층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콘텐츠이다. 2016년 이후글로벌 게임 산업의 비중에 있어서도 모바일 게임 시장 규모가 다른 플랫폼을 넘어섰으며, 캐주얼 게임의 장점과 특징이 모바일 게임 시장의 성장과 확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캐주얼 게임은 간단하고 사용자가 게임을 이해하기 쉬운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순차적인 난이도 구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도전의식을 부여하여 안정적인 과금 설계 및 수익 모델 구축이 가능하다. 최근 중ž소 개발사들의 신규 게임 서비스 이후 생존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는 게임의 서비스 이후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 솔루션 구축의 부재로 인한 결과로 유추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게임의 글로벌 서비스를 위해 게임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빠르게 대처하며,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운영 툴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4,000원
        19.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각종 해양사고로 인해 유조선, 대형 여객선 및 화물선 등이 해저에 침몰하는 경우 선적된 화물유 또는 연료유는 해양환경에 대한 직접적 위험요소로서 안전하고 신속한 제거가 요구된다. 침몰선 잔존유 회수작업에서는 국내외 구난업체가 현장여건을 반영하여 다양한 방법 및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나 작업과정 전반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모듈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비교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잔존유 회수작업 평가모듈 설계를 목적으로 상이한 작업환경에서 수행된 작업사례들의 자료를 조사하여 작업과정 단계를 사전 준비, 작업실행, 작업완료 단계로 구분한 후 세부공정별 핵심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이 핵심요인들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들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평가모듈을 설계하였다. 평가에서 특정인의 주관적 의견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해 최대한 계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데이터 지표들로 평가항목을 구성하였으며, 잔존유 회수작업 사례에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그 유용성을 일부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 해 도출된 침몰선 잔존유 회수작업 방법 및 기술 평가모듈을 각 회수작업의 사전 또는 사후 적정성을 검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과거 또는 미래의 여러 작업사례 평가데이터 축척 및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잔존유 회수작업 전반에 대한 안전성, 효율성, 현장적용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4,000원
        20.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niversity learners’ preferences and other related factors for two general English courses, one course focusing on reading and another on conversation, with students divided by their language proficiency level. The participants were 554 students at an engineering university. A 4-point Likert-type scale was used to record general tendency. Students were evaluated and divided into three and four proficiency levels for the reading and conversation course, respectively. 88.1% of participants had a favorable opinion of the level-divided conversation course, and 87.7% had a positive view of the level-divided reading course. Cross 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any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ferences and other factors such as sex, favorable feelings toward English, students’ majors, and English proficiency. The chi-square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evel-divided course preference and factors like sex or fondness for English. However, there appears to b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majors and level-divided course preference for both the conversation and reading courses as well as a preferenc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proficiency and the reading course. The participants liked the effectiveness of the level-divided course content and the tailoring of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students’ proficiency.
        6,1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