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질소시비수준이 소과종 수박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on the Yield and Quality of Watermelon (Citrullus vulgaris 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19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소과종 수박의 고밀도 지주재배시 질소시비량을 260, 200, 140, 0kg/ha, 무비구로 하여 생육, 수량, 품질 및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특성은 질소시용구가 0kg 시용구와 무비구보다 초장,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이 좋았고, 질소 시용구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엽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수량특성은 140kg/ha 시용구가 32,010kg/ha으로 가장 높았고, 착과율도 79%로 가장 높았다. 품질특성은 140kg/ha 시용구가 식미지수 3.9, 당도 12.5 ˚Bx로 다른 처리구보다 좋았고, 무비구가 12.0 ˚Bx로 처리구 중에서 가장 낮았다. 과피두께는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두꺼웠다. 엽내 T-N의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많았던 처리구일수록 증가폭이 컸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중기에 가장 많이 흡수되었다. 인산함량은 질소시비량에 따라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칼슘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마그네슘 함량은 칼슘과는 달리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생육후기에 낮았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itrogen level on the yield and quality of watermelon(Citrullus vulgaris S. cv. Bocksubak), N levels of 250, 200, 140, and 0kg/ha with the conventional amount of K and P supply non-fertilization treatments were compared one anther. Plant height, leaf area,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better in nitrogen application treatments than no nitrogen and non- fertilization treatm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itrogen levels. Yield and fruit setting ratio were the highest in N level of 140kg/ha. Fruit weight was increased by N application, and soluble solids content was the highest as 12.5 ˚Bx in N level of 140kg/ha. Nitrogen content of leaves was increased with the applied nitrogen amount and highest at the middle stage of growth. P conten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Ca content was increased with the applied nitrogen amount and highest at the late stage of growth.

저자
  • 이상규
  • 김광용
  • 정주호
  • 이용범
  • 배종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