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창의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KCI 등재후보

Kindergarten Teacher' s Perceptions of Creativ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162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아교육연구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이 창의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여 유아의 창의성 교육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와 C도 교육청 소속의 유치원 1급 자격 연수 과정에 있는 교사 72명이다. 연구 도구인 설문지는 창의성의 개념, 창의성 태도, 창의적인 유아, 유아 창의성 교육의 4개 항목으로 개방적인 질문과 폐쇄적인 질문을 통하여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교사들은 창의성의 개념, 창의적인 유아의 특성,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수 전략 및 교육활동에 대해 창의성 이론에 토대로 다양하게 인식을 하고 있었으나 반면에 창의성의 발휘 경로, 창의적인 유아의 비율, 창의성 교육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e right direction for creativ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examining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creativity. 72 kindergarten teachers were surveyed using the questionnaire.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to the questionnaires are divided into four themes: teachers' concepts of creativity, teachers' attitudes of creativity, teachers' perceptions of creative children,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strategies to foster creativity. The findings indicate that teachers recognize much about creativity concepts, creative children' s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strategies to foster creativity. But teachers showed negative responses toward path of creativity, percentage of creative children, and creativity education.

저자
  • 김호(건양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Kim, Ho
  • 노영희(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Noh, Young-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