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팀 긍정정서가 팀 효과성과 팀원들의 일 열의에 미치는 영향 - 팀의 높은 질적 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 KCI 등재

The Effect of Team Positive Affect on Team Effectiveness and Employees’ Work Engagement - Mediating Effect of Team High-Quality Connection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743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21.28.5.1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4차 산업혁명 시대인 현재 협력과 집단지성이 강조되면서 조직에서 관계성의 가치는 계속적으로 높아 지고 있다. 이러한 실무적 필요성과 함께, 조직연구에서도 긍정조직연구의 발전과 더불어 조직에서의 높은 질적 관계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무적, 연구적 필요성을 바탕으로 팀의 높은 질적 관계의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세 가지 목적을 수행한다. 첫째, 팀의 높은 질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팀 긍정정서를 설정하여, 팀 긍정정서가 팀의 높은 질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둘째, 높은 질적 관계가 팀 효과성과 팀원들의 일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다수준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셋째, 팀의 높은 질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 한다. 국내 대기업 계열 IT 기업을 대상으로 40개 팀의 팀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팀 긍정 정서가 팀 HQCs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팀 긍정정서는 팀 효과성과 팀원들의 일 열의 모두에서도 정적인 영향을 미쳐 팀 긍정정서의 중요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반면, 팀 HQCs의 경우는 팀원들의 일 열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팀 효과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팀이 높은 질적 관계를 갖는 것은 팀 효과성보다는 개개인들의 일에 대한 동기부여에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팀 HQCs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팀 HQCs는 팀 긍정정서와 팀원들의 일 열의에서만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내 팀에서 개인의 일 열의에 영향을 미치는데 팀에서의 높은 질적 관계 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HQCs를 중심으로 팀 긍정정서, 팀 HQCs, 그리고 결과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HQCs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을 살펴보았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특히 이전에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HQCs의 선행변인을 확인하였다는데 이론적 시사점을 지닌다. 이 결과는 팀의 높은 질적 관계에 팀 긍정정서의 중요성을 발견 해주었으며, 이를 통해 실무적으로 팀의 긍정적 분위기가 왜 필요한지를 확인해주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팀 HQCs가 팀원들의 일 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부분 매개함을 보여줌으로써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팀이 높은 질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개인들이 자신의 의무 이상으로 일에 열의를 보일 수 있음을 확인시켜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도출된 시사점 및 연구결과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은 결론부분에서 심도 깊게 논의되었다.

In response to increasing demand for cooperation intelligenc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value of relationships in organizations continues to emphasized. Along with these practical needs, high quality connections (HQCs) have a lot of attention in organization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positive organizational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eam HQCs. Using a multi-level analysis that utilizes a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we examine the team HQCs antecedents and their influence at the team and individual levels.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model, we have collected data from employees and team leaders of 40 work teams in the Conglomerate IT company. In results, team positive emotion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m HQCs, and team positive emotion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team effectiveness and team member work engage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eam HQCs, i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eam members' work engagement, but it did not affect team effectiveness. It showed that teams which have a high qualitative relationship affect individual motivation for work more than team effectiveness.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 HQCs, it confirmed that team HQC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positive affect and employees’ work engagement. It appeared that high qualitative relationships in the team play an important role in influencing individual enthusiasm in the team.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qualitative relationships to active interaction in eliciting team members’ enthusiasm. And if team has positive affect, employees think work as an enjoyable play, so it is suggested that organizations should develop and cultivate positive affect. In the conclusion segment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findings were reviewed in-depth, and future research subjects in this field were also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1. 팀 긍정정서가 팀 HQCs에 미치는 영향
    2. 팀 HQCs가 팀과 팀원들에게 미치는 영향
    3. 팀 긍정정서가 팀과 팀원들에게 미치는 영향
    4. 팀 HQCs의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1. 자료 수집 및 표본 대상
    2. 변수의 측정
    3.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타당도 및 신뢰도
    2. 기초 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3. 가설 검증
Ⅴ. 결 론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저자
  • 문지영(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 Jeeyoung Moon
  • 이지영(한성대학교 상상력 교양대학) | Jeeyoung Lee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