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외 뇌졸중 환자의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Driving Simulator Training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and Abroa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86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운전재활·사회참여학회지 (Journal of driver rehabilit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한국운전재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Driving Rehabilitation)
초록

목적 : 국내·외에서 보고된 뇌졸중 환자 대상의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연구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연구 경향과 대상자 특성, 사용 방법 및 시뮬레이터를 통한 중재의 효과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RISS, PubMed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5편의 국내·외 연구를 검색하였 다. 분석 대상 연구들은 연구의 근거 기반 질적 수준 분석 모델에 따라 분류하였고, 임상적 분석 방법인 P.I.C.O 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결과 : 고찰한 연구는 총 5개로 근거 수준은 I, IV였다.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 환자로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중재 를 통해 운전 기능 향상의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중재 결과 다양한 영역에서의 향상이 보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1편의 논문을 제외한 4편의 논문에서 운전 기능의 유의미한 향상을 보고하였다.
결론 :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중재는 많은 연구를 통해 효과가 입증되고 있었다. 추후 연구 대상자를 더욱 다양하 게 하여 도로 주행 능력 및 다양한 영역에서의 기능 향상을 위한 운전재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subject characteristics, methods of use, and effectiveness of simulator intervention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driving simulator training studies for stroke patients reported in Japan and abroad.
Research method : Using databases such as RISS and PubMed, we searched seven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that met the selection criteria. The studies to be analyzed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vidence-based qualitative level analysis model, and analyzed and summarized according to the P.I.C.O method, which is a clinical analysis method.
Results : A total of five studies were considered, with evidence levels I and IV. The study participants observed the effects of driving function improvement through the arbitration of driving simulator training in stroke patients.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unction.
Conclusion : Arbitration using a simulator has been proven effective through many studies. Future research subjects should be further diversified, and driving rehabilitation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to improve road driving ability and functions in various area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논문 검색 전략
    3. 논문 선정 절차
    4. 연구 분석 내용
    5. 비뚤림 위험 평가
    6.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근거의 질적 수준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연구 설계
    3. 연구의 특성
    4. 비뚤림 평가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공도희(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ong Do-He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김태연(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Tae-Ye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신유빈(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Shin Yu-B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류혜정(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yu Hye-Jeo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정윤태(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Jeong Yoon-ta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김수경(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 Kim Su-K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