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용자 참여형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물주소 부여 대상 시설물의 우선 선정 방안 제안: 증강현실 게임, 포켓몬 고를 활용하여 KCI 등재

A Proposal for Prioritizing Facilities for Address of Things based on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Game, Pokeˊ mon G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4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주소 관련 미래 산업의 확장으로 새로운 주소체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특정 사물에 주소를 부여하는 체계인 사물주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현행 사물주소는 행정안전부가 제작 및 배포하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제작 등 사물주소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현행 사물주소는 하향식 방법으로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수요자 응답형 정보제공 대응에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향식 방법으로 운영 중인 포켓몬 고 DB와 사물주소 DB의 공간적 분포를 탐색함으로 써 사용자 참여형 주소정보 생성 및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각 DB의 지점별 티센 폴리곤을 생성한 뒤 ANOVA 분석을 수행한 결과 두 DB간의 면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니 계수를 산출하여 분포 불평등성을 확인하여 DB를 통합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물주소의 확산과 알기 쉬운 대국민 주소정보체계 확립에 정책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With the expansion and increasing demand of address-related future industries, the importance of address of things (AOT) has been emphasized. The current AOT has been created and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d efforts to activate them. However, the current system of the AOT is developed in a top-down manner, which results in insufficient responsiveness to user-driven information provision. To address this issue, we explor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okémon GO’s database and the AOT database, which operate in a bottom-up manner, and suggest the potential for user participatory address information. By generating Thiessen polygons for each database and performing ANOVA analysis, we confirmed the differences in area between the two databases. Furthermore, by assessing the inequaliti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each database, we proposed a method to integrate and utilize the databases. This study shed a light of the policy-oriented utilization in the dissemination of AOT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asily understandable nationwide AOT system.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선행연구
    1. 사물주소와 주소정보고도화
    2. 포켓몬 고와 사용자 참여형 지리정보
III. 연구방법
    1. 데이터 및 사례지역
    2. 연구방법
IV. 분석 결과
V. 토의
VI.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강전영(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조교수) | Jeon-Young Kang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황태건(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박사수료) | Taekeon Hwang (PhD Candidate,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조서림(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석사수료) | Seorim Cho (MS Candidate,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김민준(대구정책연구원 전략기획실 부연구위원) | Minjun Kim (Associate Research Fellow, Daegu Policy Institute)
  • 김강민(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박사수료) | Kangmin Kim (PhD Candidate,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원석환(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선임연구원) | Seok hwan Won (Senior Research Fellow, LX,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 손선민(경희대학교 호텔경영학과 학부생) | Seonmin Son (Under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Hospitality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