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국적기업 한국 자회사의 ESG 경영과 재무적 성과: 자회사 디지털 역량의 상호작용 효과 KCI 등재

ESG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MNC Subsidiaries: Interaction Effect of Digital Capabil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12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국제경영연구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한국국제경영학회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시장에 진출한 다국적기업 현지 자회사의 ESG 경영과 디지털 역량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 현지 ESG 경영과 디지털 역량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에 진출한 다국적기업 현지 자회사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행한 결과, 현지 ESG 경영과 자회사가 보유한 디지 털 역량 모두 재무적인 성과를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회사의 ESG 경영과 보유한 디지털 역량은 유 의한 정(+)의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히려 자회사의 현지 ESG 경영과 디지털 역량은 부(-)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는 분석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지 ESG 경영과 자회사의 디지털 역량이 현지에서의 재무적 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뿐만 아니라, 자회사의 디지털 역 량과 ESG 경영은 서로가 긍정적인 재무적 성과로 이어지는 것에 각자가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대체재 관계라는 사실을 방증한다. 이는 다국적기업 현지 자회사가 전략적 측면에서 어떤 역할을 맡을 것인지에 따라 ESG 경영과 디지털 역량 중 하나만을 선택해 역량을 결집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지에서 쓸 수 있는 비용이 한정되어 둘 중 하나만을 선택해야 하는 현실을 마주한 현지 자회사가 ESG 경영과 디지털 역량 발 현 둘 모두에 충실하기보다는 하나의 전략 실행에만 유무형의 경영 자원을 집중함으로써 재무적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환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ESG, digital capabilities and financial performance with the interaction effect of digital capabilities of MNC local subsidiar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local ESG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uses attribution theory, resource based perspective and stakeholder perspective to conceptualize local ESG and digital capabilities of MNC subsidiaries in Korea.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MNC subsidiaries operating in Korea. This study found that both local ESG and digital capabilities of local subsidiaries have positive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As for the interaction effect, their digital capabilities moderates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ESG management and financial performance surprisingly. This finding sheds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ESG and digital capabilities of local subsidiaries not a complementary goods but an alternative goods relationship in international business perspectiv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 및 가설
    2.1 ESG 경영
    2.2 다국적기업의 ESG 경영
    2.3 다국적기업의 디지털 역량과 ESG 경영
    2.4 가설 수립
Ⅲ.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Ⅳ. 분석결과
    4.1 분석의 선행 조건
    4.2 가설검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5.1 본 연구의 시사점
    5.2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
References
저자
  • 김장순(서강대학교 경영대학 대우교수) | Jangsoon Kim
  • 김창수(서강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Changsu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