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상이한 지역별 노지 고추재배지의 총채벌레 연중 발생 및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발병 KCI 등재

Thrips and TSWV Occurrence in Geographically Different Open Fields Cultivating Hot Pepp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0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노지에서 재배되는 고추(Capsicum annuum)에 총채벌레가 발생하여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는 고추 주산지인 안동을 중 심으로 상이한 세 지역의 재배지에서 고추 정식에서 수확 시기까지 총채벌레의 연중 발생을 보고한다. 총채벌레의 최대 발생기는 6월과 9월을 중 심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두 주요 총채벌레는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와 대만총채벌레(F. intonsa)였으며, 전체 총채벌레 발 생의 87% 이상을 차지하였다. 기타 총채벌레는 이상의 두 우점종의 발생 패턴과는 상이하였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가 이들 우점종 개체들에서 검출되었으며, 바이러스 보독율은 대만총체벌레에서 높았다. 이들 지역에서 재배되는 고추가 TSWV 에 내병성 품종들이지만, 일부 고추 개체들에서는 이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전형적인 병징을 보였다. 이에 보독충에서 TSWV를 분리하여 이 바 이러스 S RNA 게놈에 존재하는 비구조단백질 일종을 암호화하는 NSs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저항성붕괴(resistance breaking: RB) 계통의 서열에 비해 안동에서 발생한 보독충에서 분리된 TSWV의 서열과는 상이하여, 이 지역에서는 RB 돌연변이체가 존재하 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Thrips infest hot peppers (Capsicum annuum) cultivating in open fields and give serious economic damages. This study reports their yearly occurrence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 at three different places in Andong, an intense hot pepper-cultivating area. Two main occurrence peaks were detected in June and September. Two dominant thrips were the flower flowers,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F. intonsa, which comprised of over 87% of the total occurring thrips. Other thrips did not follow the occurrence peaks of the two dominant species.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was detected from the dominant two species, in which higher viruliferous rate was recorded in F. intonsa. Although the hot peppers were the resistant varieties against TSWV, some of them cultivating in the fields exhibited a characteristic disease symptom infected by the virus over the growing seasons. TSWV was isolated from the viruliferous thrips and assessed in NSs sequences encoded in S RNA segment of the virus. Compared to the known resistance breaking (RB) strains, the TSWV isolated from the viruliferous thrips in Andong did not show any RB mutations.

목차
재료 및 방법
    총채벌레 발생 조사지역
    TSWV 보독충 모니터링
    NSs 서열 분석 및 유전적 거리분석
    통계분석
결 과
    노지 고추재배지의 총채벌레 발생 현황
    노지 고추재배지의 주요 총채벌레 발생 현황
    TSWV 보독충 연중 발생
고 찰
저자 직책 & 역할
Literature Cited
저자
  • 김용균(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Yonggyun Kim (Department of Plant Medical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6720,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진가현(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Gahyeon Jin (Department of Plant Medical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6720, Korea)
  • 권지윤(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Jiyoon Kwon (Department of Plant Medical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6720, Korea)
  • 엡디사에티차(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Eticha Abdisa (Department of Plant Medical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6720,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