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IUU 어업 방지를 위한 우리나라 법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s Legal System for Prevention of IUU Fish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6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海事法硏究 (해사법연구)
한국해사법학회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Law)
초록

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은 국제사회에서 인식하고 있는 가장 큰 불법 행위 중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어획되는 수산자원 5마리 중 1마리는 불법·비보고· 비규제 어업으로 어획된다고 추정되고 있다. 바다에서 무차별적으로 행해지는 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으로 인해 국제사회가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수산업을 영위하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고, 이에 대해 심각한 문제의식을 느낀 국제사회는 1990년대부터 국제적으로 통용할 국제규범들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우 리나라는 해양 국제법의 헌법으로 여겨지는 유엔해양법협약부터 유엔공해어업 협정, 항만국조치협정 등의 협약을 이행하며 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으로부터 바다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당사국이자, 지역수산기구 18개에 가입된 명실상 부한 수산 선진국이다. 그러나 2023년 발표된 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지수에서 우리나라는 9위를 기록하며 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한다 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만약 우리나라가 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국으로 재지 정되어 국제사회에서 각종 제재를 받는다면 국제사회에서의 수산 강국으로서 의 위신은 추락할 것이고,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 또한 하락하여 대내외적으로 수산업에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의 규제 중점사항은 무엇이고, 우리나라가 시행하고 있는 규제 방안과 비교하여 문제점 과 개선할 점이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국제사 회에서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수산업을 이행하기 위해 시행하는 다양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우리나라가 해양·수산 강국이라는 명성에 맞게 대응할 수 있도 록 법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fishing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llegal activities recogn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the entire fishery resources captured across the world, one out of every 50,000 fish is estimated to have been captured illegally, without reporting, and unregulated. The excessive 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fishing makes it even more difficult to maintain sustainable fishery practices, which alert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establish international rules to be in effect across the world starting from the 1990s. South Korea has been following the United Nationals Convention on the Laws of the Sea, United Nations Sea Fish Stock Agreement, and the PSMA, etc., along with other international treaties, as a member of the group of the countries that tries to protect the sea from 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fishing and earned the title of a leading fishery country, being a member of 18 regional fishery organizations. However, South Korea ranked 9th in the 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fishing index announced in 2023, and many see that the country failed to eradicate the practice of 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fishing. If South Korea is named an 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fishing country once again and becomes subject to various sanctions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reputation of South Korea as a leading fishery country will be lost. Korea's national competitiveness is also expected to decline, causing a big blow to the fisheries industry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key points of the regulations against 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fishing demand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compare these with the current regulations imposed by South Korea to identify the issues and points of improvement. Based on such a need,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uggest improvement strategies for the laws and regulations to ensure that South Korea can respond in line with its reputation as a leading ocean and fishery power in the world,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the sustainability in fishery sought after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목차
Ⅰ. 서 론
Ⅱ. IUU 어업의 개념과 현황
    1. IUU 어업의 개념
    2. IUU 어업지수
    3. IUU 어업의 현황
    4. 시사점
Ⅲ. IUU 어업 방지를 위한 국내외 규범
    1. 국제규범
    2. 우리나라의 IUU 어업 규제 관련 법제도
    3. 시사점
Ⅳ. 우리나라의 IUU 어업 관련 규제상의 문제점
    1. 관련 법령의 문제점
    2. 제도적 문제점
Ⅴ. 법제도 개선방안
    1. 입법적 개선방안
    2. 제도적 개선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임종윤(국립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검사원) | Jong-Yoon Lim
  • 박성호(국립한국해양대학교 항해융합학부 교수, 법학박사) | Sung-Ho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