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양측백의 탄소저장량 추정 상대생장식 KCI 등재

Allometric Equations for Estimating Carbon Stocks of Thuja occidentalis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1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기후변화 관점에서 수목의 이산화탄소 흡수·저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도시 정주지 수목을 대상으로 한 탄소저장량 추정 모형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 지역에 조경수로 식재된 서양측백(Thuja occidentalis L.) 20본을 벌채한 후 수목 부위별 탄소 농도를 비교하고 탄소저장량 추정 상대생장식을 개발하였다. 수목 부위별 바이오매스는 흉고직경(DBH)의 증가와 강한 지수함수적 관계가 있었다. 수목 부위별 탄소 농도는 줄기 목질부가 51.7%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뿌리는 42.9%로 가장 낮았다. 줄기 목질부 탄소 농도는 흉고직경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수피, 가지, 잎, 뿌리의 탄소 농도는 흉고직경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흉고직경 또는 흉고직경 제곱과 수고(DBH2×H)를 독립변수로 하고 수목 부위별 탄소저장량을 종속변수로 하는 상대생장식의 결정계수(R2)는 잎(0.70~0.71)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0.80~0.97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얻어진 수목 부위별 탄소저장량 추정 상대생장식은 도시 정주지에 식재된 서양측백의 탄소저장 량 및 흡수량의 추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uja occidentalis L. is planted as landscape trees or garden trees in urban settlement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equations to estimate carbon (C) stocks for T. occidentalis planted in an urban settlement area. A total of 20 trees were destructively harvested to determine dry weight and C concentration by each tree component. The dry weight of each tree component showed an exponential relation with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Carbon concentration of tree components was highest in stem wood (51.7%) and lowest in roots (42.9%).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BH and C concentration of stem wood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in bark, branches, leaves and roots. Allometric equations to estimate C stocks of tree components was significant with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s (R2=0.80~0.97), except for those of the leaves (R2=0.70~0.71). These allometric equations may use to estimate the C stocks and sequestration of T. occidentalis in an urban settlement area.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1. 표본목 조사
    2. 토양 특성
    3. 자료 분석
결과 및 고찰
    1. 토양특성
    2. 표본목 특성
    3. 탄소 농도
    4. 탄소저장량 추정 상대생장식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김춘식(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교수) | Choonsig Kim (Professor, Division of Environmental and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725,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이정민(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박사과정) | Jeong Min Lee (Ph.D candidate,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 백경원(경상국립대학교 농식품바이오융복합연구원 학술연구교수) | Gyeong Won Baek (Research Professor, Agri-Food Bio-Convergence Institut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725, Korea)
  • 이지현(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석사) | Ji Hyun Lee (Master degree, Division of Environmental and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725,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