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

        61.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five sediments samples were collected at near Hansan island. These samples were characterized whether they were contaminated or not. For this purpos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etal contents were analyzed. From the elemental analyses, XRD, and XRF analyses, all samples showed similar elements, oxides, and minerals. In general, Cd, Cr, Ni, Pb, and Zn concentrations were below the contamination standards. Concentrations of Cu, however, exceeded the contamination standards of USEPA and Ontario sediment quality guidelines for some sampling sites. Ignition losses of the all samples were greater than 8%, which is a value indicating whether the sample is heavily polluted or moderately polluted. All the samples were classified as heavily polluted due to the high value of ignition loss. Therefore, sediments of the near Hansan island are required for periodic and strict management to prevent any harmful effects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6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존의 공항콘크리트 포장설계 방법은 현장 실험을 바탕으로 한 경험적 설계 방법에서, 교통하중 및 환경하중을 고려하여 포장의 잔존 수명까지 예측하는 역학적-경험적 설계 방법으로 변화하고 있다. 미국 FAA의 AC 150/5320-6D(FFA, 1995)에서는 노모그래프를 기반으로 슬래브의 두께를 결정하였으나, 최근에는 3D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산출된 응력으로 슬래브 두께를 결정하는 AC 150/5320-6E(FAA, 2009)를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설계방법은 환경하중을 고려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br> 박주영 외(2013)는 국내 지역의 기후 특성을 고려하여 국내의 지역별 환경하중을 정량화하는 선행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김연태(2013)는 정량화된 환경하중에 교통하중을 적용시켜, 교통하중과 환경하중이 동시에 고려된 공항콘크리트포장의 최대인장응력회귀식을 개발하였다. 김연태(2013)의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최대인장응력회귀식으로 산출된 최대인장응력은 환경하중이 고려되므로 기존의 설계프로그램(FAAFIELD)의 결과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공항콘크리트포장의 피로모형이 갖는 변수로는 응력강도비와 허용반복회수가 있으며, 응력강도비의 변화에 따라 그 피로수명의 결과가 매우 상이하므로, 개발된 최대인장응력회귀식과 기존에 사용해온 피로모형으로는 합리적인 콘크리트포장의 피로수명을 얻을 수 없다.본 논문에서는 환경하중과 교통하중이 고려된 합리적인 공항콘크리트포장 피로모형을 선정하였다. 우선 국·내외에서 개발된 공항콘크리트설계 피로모형에는 미공병단, 미국 연방항공청, PCA, NCHRP 등이 있으나, 각각의 피로모형은 파괴 기준, 응력계산방법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낸다. 각 피로모형의 이론 및 배경, 기존 피로모형과의 비교, 민감도 분석 등을 통해 합리적인 피로모형 몇 가지를 우선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최대인장응력회귀식을 사용하여 환경하중과 교통하중을 고려한 최대인장응력을 산출하였으며, 산출된 최대인장응력을 앞서 선정된 피로모형에 대입한 뒤 허용반복회수를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 각 공항의 설계교통량을 반영하여 포장의 피로수명을 예측하였으며, 예측된 피로수명과 국내의 PCI자료를 통해 측정된 공항콘크리트포장의 수명과 비교·검토하여 가장 합리적인 피로모형을 선정하였다.
        63.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clarifying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marshy Ericaceae plants on Mt. Changbai in China. The marshy Ericaceae plants in wetland of Mt. Changbai were investigated on about 1400 m altitude. This region is various developmental wetlands and vegetation mixture of needle-leaf trees and broad-leaf trees. This region also is start point of the coniferous forest zone in Mt. Changbai. As results of these researches, L. palustre var. diversipilosum and L. palustre var. decumbens populations were investigated in Larix olgensis var. amurensis community. R. lapponicum subsp. parvifolium var. parvifolium community appeared as a typical community. Environmental conditions of L. palustre var. diversipilosum and L. palustre var. decumbens populations' habitats are more soil humidity and shade condition. R. lapponicum subsp. parvifolium var. parvifolium community habitat, however, has more deposits and humidity condition. Therefore when the plants were cultivated, we should recognize the growth condition such as maintenance of humidity and control deposits. The flora of marshy Ericaceae speci
        65.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correlation between a vegetation and an environment, a species diversity and a life-form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EBLF) located in Gageo-do Island. It is also the objective that the estimation of vegetation change found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The vegetation of EBLF was classified into three forests or four community units as Machilus thunbergii forest (Polystichum polyblepharon-M. thunbergii community and Phaenosperma globosum-M. thunbergii community), Ilex integra-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Neolitsea sericea stand. The ordination analysis by DCA is analogous with the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Altitude has the significance with the distribution of communities. The total vegetation change by progress of succession will not be wandered away from the present vegetation structure practically, and the vegetation on the underlayers will be a little changed.
        66.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긍정의 말과 의도가 애기장대의 발아와 생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매번 200개의 애기장대 종자를 4개의 묘판에 각각 50개씩 파종하였고 이를 3차례 반복 실험하였다. 10개의 긍정적인 말과 부정적인 말을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사람의 음성과 기계음(test-to-speech software, Voice TestTM)을 통해 각각의 말을 애기장대 종자에 들려주었다. 또한 사람의 의도가 종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자로 하여금 부정적인 말은 부정적인 의도를 가지고, 긍정적인 말은 긍정적인 의도를 가지고 읽게 하였다. 긍정적인 말과 부정적인 말, 그리고 의도는 발아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평균 생체중 비교에서는 의도가 있는 사람의 긍정적 말이 애기장대의 생체중 증가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애기장대에 긍정적인 의도를 포함하여 긍정의 말을 전달하였을 때 애기장대의 생체중에 크게 구별되는 효과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67.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henolic compounds of water extracts from Prunella vulgaris were highest at 9.25 mg/g, respectively, when various extraction solvents were used. The optimum condition for extracting phenolic compounds from Prunella vulgaris was extraction in water for 18hr. The DPPH-scavenging activities of Prunella vulgaris were highest at the water extracts. The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was higher than 40% in the range of 0~100% ethanol extract section. The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on the lipophilic phenolic metabolites was shown to be 1.1 PF in the water extracts from Prunella vulgaris. The TBARS was lower than the control (0.53 μM) in all the sections.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which is related to skin whitening, was above 40%, and for the anti-wrinkle effect, the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was above 40% at 0.2 mg/mL. The astringent effect of the Prunella vulgaris 40%ethanol extracts was 98.1% at 1 mg/mL. As a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Prunella vulgaris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cosmetic material.
        69.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모1009호’는 국립식량과학원 영덕출장소에서 1999년 하계에 밥맛이 뛰어나면서 재배 안정성이 높은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흰잎마름병에 강한 ‘익산443호’를 모본으로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고 내도복성인 ‘밀양165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0년 하계에 57개체의 F1 식물체를 양성하고 YR21324의 교배번호를 부여하였다. 2001년 하계포장에 전개한 F2 집단 중 18개체를 선발하여 2002년 하계에 F3세대 18계통을 육성하고, 이후 F4, F5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전개하여 고품질이면서 현미외관특성이 우수하고 병해 및 안정적인 재해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계통을 선발하여 2006년 생산력검정예비시험, 2007년 생산력검정본시험을 실시한 후 완전미율이 높고 외관이 우수하면서 재배 안정성이 높은 YR22207-5-3-1-3을 선발하여 ‘영덕48호’로 명명하였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중생종이면서 쌀 품위가 좋고 밥맛이 양호하며 내도복과 내병성에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어 2009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품종목록으로 등재 할 것을 결정하고 ‘중모1009호’로 명명하여 적응지역인 동해안 냉조풍지 및 남부중산간지에 보급하게 되었다. ‘중모1009호’의 출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8월 13일로 ‘화성벼’와 같은 중생종 품종이다. ‘중모1009호’는 직립 초형이고 탈립은 잘되지 않고 이삭추출은 양호하고 까락이 거의 없다. ‘중모1009호’의 수당립수는 ‘화성벼’보다 약간 많은 편이고 현미천립중 22.0 g으로 ‘화성벼’와 비슷하다. ‘중모1009호’의 도정특성 및 외관특성은 ‘화성벼’와 비슷하고 완전미율은 96.4%로 ‘화성벼’보다 높으며, 밥맛은 ‘화성벼’와 ‘추청벼’보다 우수하다. ‘중모1009호’의 불시출수와 수발아가 안되는 편이고, 위조현상에 강하고 성숙기 엽노화가 느린 편이며 내냉성은 ‘화성벼’ 수준이다. ‘중모1009호’의 잎도열병 밭못자리 검정 결과 중도저항성을 보였고 도열병 내구저항성은 ‘화성벼’보다 매우 강하였고, 줄무늬잎마름병과 흰잎마름병(K1, K2, K3)에는 강하나 오갈병 및 검은줄오갈병에 약하고 벼멸구 등 충해에는 감수성이다. ‘중모1009호’의 수량성은 2007년부터 2009년 까지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 9개소에서 5.47 MT/ha로 ‘화성벼’ 대비 2% 감수되었으며, 이모작재배에서는 4.31 MT/ha ‘남평벼’ 대비 14% 감수되었고, 만식재배에서는 4.63 MT/ha로 ‘남평벼’ 대비 10% 감수되었다. ‘중모1009호’의 적응지역은 동해안 냉조풍지 및 남부중산간지이다.
        70.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는 태풍, 호우, 폭풍 등 자연재난에 의한 피해가 자주 발생하는데, 대부분 물과 관련된 기상재난의 성격을 갖는다. 이 같은 자연재난은 인구 증가와 도시화 현상으로 도시외곽 저지대의 증가, 경사지 토지 이용도 증가, 홍수조절 구조물과 시설의 빈약성, 각종 개발사업의 영향 등으로 그 피해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 예·경보체계 및 기타 상황전파체계의 시사점을 검토하고 위험지역의 예·경보 발령 시 효율적인 대피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 재해정보지도 작성 시에는 현장 확인을 통하여 지도의 효율성과 품질을 높였고, 대피 장소는 대피대상지역에서 가능한 도보로 이동이 가능한 장소를 지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재난 발생 시 현 대피 경로 구축을 위한 작성 지침을 조사하고, 실제 피난활용형 재해지도 작성을 위한 대피경로 구축과정을 통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71.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는 화산재해의 안전지대로 여겨졌으나 최근 백두산의 분화 가능성이 고조됨에 따라 백두산 분화 전조 및 분화 시나리오, 화산재 확산 연구 등이 발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 수립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대기 환경관리 기준 제시와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백두산 화산재 성분 조사와 화산재 성분의 위험성을 평가하였고, 국내외 대기관리 기준을 비교·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백두산 분화시 화산재의 확산 범위와 거리별 확산 농도, 이동 중 성분변화 등의 연구가 진행된다면, 화산재 피해에 대응할 수 있는 지역별 대기 관리 기준이 수립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72.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ship between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Mt. Wolchulsan. We also predicted the succession possibility and the vertical distribution change of vegetations according to the global warming, through the pioneer species of a forest change and dominant species of canopy vegetations. We also analyzed the Raunkiaer's life-form. The communities in this ecotone are distributed vertically in the order of a Quercus acuta community, a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and a Q. serrata community. A Pinus densiflora community appears on the most of altitudes. The distribution of communities correlates highly with an altitude. The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will be succession to the Q. acuta community, and the Q. variabilis will be under natural selection gradually or remain locally. The Q. serrata community will possibly maintain as it is, and the P. densiflora community will be also under natural selection gradually. The valuable quantitative and numerical life-forms are confirmed and the layer structure of present vegetation will not be changed.
        73.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성 호르몬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내분비교란물질은 흰쥐 흉선세포에 세포자연사를 일으켜 흉선의 기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그 작용 기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분비 교란물질 중 하나인 Tributyltin(TBT)를 흰쥐에 투여한 후 흉선의 상피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지를 조사하고, 이로 인한 T 세포의 세포자연사와 연관성을 조사함으로써 TBT가 흉선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74.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보'는 국립식량과학원 영덕출장소에서 1998년 하계에 밥맛이 뛰어나면서 재배 안정성이 높은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밥맛이 우수하면서 도복에 강한 영덕26호를 모본으로 밥맛이 우수한 고시히카리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고, 1999년 하계에 21개체의 F1 식물체를 양성하여 YR21324의 교배번호를 부여하였다. 2000년 하계포장에 전개한 F2 집단중 144개체를 선발하여 2001년 하계에 F3세대 144계통을 육성하고, 이후 F4, F5세대를
        75.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held to identify the germination feature of Papaver radicatum var. pseudoradicatum which has high economical value. Seeds were collected in the Mt. Changbai in China. To eliminate dormancy of the seeds, chilling treatment were carried out in the 5 ℃ refrigerator. 30 days, 60 days, 90 days, 120 days of chilling treatments were taken. After being Treated, seeds were under 15, 20, 25 ℃ of temperature and light, dark conditions respectively to see the differences in germination. Within many features, germination ratio of seeds and germination period were investigated. Also, features related to early growth were checked through the closer look into acrospire, growth of cotyledon of young plant. Over 30 days of chilling treatment was all effective. Especially, 120 days of chilling treatment was most effective. The seeds germinated well in the light conditions. 120 days of chilling treatment, 15 ℃, light conditions were found to be most effective conditions as 54.5% of the seeds germinated. The germination period was 4.29 days. 30 days after germinating, length of the aerial part had been 1.90 cm. But after 45 days, the length grew rapidly to 4.58 cm. Fresh weight of scales plant was also increased dramatically after 45 days. Therefore, transporting the plant 45 days after seeding judged to be good.
        76.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ation extracts on the concentration of serotonin and melatonin in the serum of the ICR mice. The ICR mice were divided into water control group, lactobacillus fermentation solution including (Lactobacillus paracasei and Bifidobacterium longum B6) control group, positive control group (milk and doxylamine succinate), negative control group (caffein) and the groups treated with the extracts of Berberis koreana bark (WE: water extracts, FE-L.P: fermentation extracts of Lactobacillus paracasei, FE-B.L: fermentation extracts of Bifidobacterium longum B6). After ten-day feeding treatment, the mean concentration of serotonin for water control, WE, FE-L.P and FEB. L group was 134.72, 183.01, 232.09 and 223.78 ng/ml,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 for FE-L.P and FE-B.L group were approximately 66% larger than that for water control group. The mean concentration of melatonin for water control, WE, FE-L.P and FE-B.L group was 76.92, 106.66, 157.56 and 141.81pg/ml,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 of melatonin for FE-L.P and FE-B.L group were also larger than that for water control group.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fermentation extracts of Berberis koreana bark have relatively greater potential to induce secretion of serotonin and melatonin. Therefore, the fermentation extracts have antidepressant effect.
        77.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hitening activity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several extraction processes: water extraction at 100℃ (WE100) and 60℃ (WE60), 70% ethyl alcohol extraction (EE) and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HPE) at 500 MPa for 30 minutes at 60℃. The extracts from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showed the highest tyrosinase inhibition and melanogenesis inhibition activities as 52% and 79.5%, respectively, in adding 1mg/ml than others extraction processes. HPE extracts also showed the strong reducing power as 3.19 that absorbance at 450 mm. The contents of polyphenol in WE100, we measured as 10.1μg/ml in adding 1mg/ml. Extracts have a high total flavonoid contents by HPE as 4.1μg/ml at 1mg/ml. We can conclude that better whitening activity of extracts from high pressure extraction was due to high antioxidant activities which could be extracted by higher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HPE than others.
        78.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오르미’는 국립식량과학원 영덕출장소에서 2000년/2001년 동계에 밥맛이 뛰어나면서 재배 안정성이 높은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밥맛이 우수하면서 도복에 강한 밀양165호를 모본으로 풍해에 강한 해평벼를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를 실시하고, 2000년/2001년 동계2차 온실에서 27개체의 F1 식물체를 양성하여 YR22375의 교배번호를 부여하였다. 2001년 하계 포장에서 F2 집단을 전개하여 1수당 1립씩 수확 후 2002년 하계에 1개체 1
        79.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난대성 상록활엽수종의 자원화 및 식품 소재화 탐색을 목적으로 구실잣밤나무(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 열매(구실잣밤) 추출물의 수율, pH, 당도, 색도, 구성당, 유기산 함량, 페놀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였다. 각 용매에 대한 추출물의 수율은 물 추출물에서 3.6%로 가장 높았고, pH는 6.43의 중성값을 보였으며, 당도는 3.17 를 나타내었다. 색도 중 L값은 83.07, a값은 1.49 그리
        80.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oposes a bridge inspection system using a robot to manage the safety status of bridges. A conventional bridge inspection has a lot of problems because inspection is conducted manually by human. As an alternative, we are to develop a robot system having machine vision and this robot system is mounted on an end linkage of specially designed car having seven DOF (Degrees Of Freedom) to inspect cracks beneath bridge. This system is able to check a status of the bridge and record its changes every other year. As a result, the developed robot system offers us the inspection result of quality and reliability about the bridge inspection status. Also, we have t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suggested system through outdoor experiment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