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 관찰의 맥락을 강조한 달의 위상 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초등 예비교사의 설명 유형과 그 특징을 파악하여 초등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 30명이 관찰 가능한 달의 위상을 설명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해 현상의 관찰과 이에 대한 과학적 추론에 바탕을 두기 보다는 달의 위상별 출몰 시간표를 도입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태양이 뜨면 달이 보이지 않거나 또는 달이 떠 있다면 무조건 달을 관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유형의 대안 개념이 확인되었다. 셋째, 달을 관찰할 수 있는 시각과 방위에 대해서는 태양의 위치와 무관하게 관찰할 수 있다거나 남중할 때 관찰할 수 있다고 설명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달을 관찰하는 날짜는 음력으로 상정하여 접근하는 방식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교육학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4,600원
        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예비 중등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설명적 일관성을 탐색하기 위해서 설명적 일관성의 조건을 제안하고 그 일관성에 따른 유형들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천문현상에 대한 정신 모형을 설명적 일관성의 관점에서 다음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ad hoc의 확장형, 둘째, 경쟁 이론의 단순한 추가형, 셋째, 처음 이론에 강한 의문을 가지지만 처음 이론과 경쟁 이론 간의 설명 불가능한 과도기 모형, 넷째, 상황에 따라서 처음 이론과 과학적 이론인 경쟁 이론을 상황에 따라서 사용하고 있는 과도기 모형이다.
        4,600원
        3.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Tyler(1949)의 교육과정 개발이론에서 교사의 역할과 위상에 관한 분석을 수 행하였다. 그 동안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이론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비판이 다양한 관점에 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과연 그의 교육과정 개발이론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교 사는 어떠한 역할을 하여야 하는지는 물론 교사의 위상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타일러 이론에 대한 논자의 입장에 따라 교사의 역할과 위상에 관한 서로 상반된 견해를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하나의 이론에 대한 비판은 학문적 탐구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이론에 대한 비판 이전에 이론에 대한 선명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이 마땅 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이론에서 교사는 단순히 전달자 역할 을 수행하는 교육과정 실행자의 위상에 있지 않았다. 오히려 이 이론에 의하면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있어 교사는 적극적인 참여자 및 해석자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교육과 정의 실행자라는 위상과는 거리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