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2.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 principles of the Elementary English Digital Textbook (MEDT)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nglish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evaluation of MEDT contents. With these purposes, the study firstly presents relevant theories about the instructional design, e-learning strategie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English teaching theories to investigate on what theoretical foundation the MEDT was developed. It then examines how the MEDT integrates and incorporates new technologies such as speech recognition, automatic writing scoring system, games, flash animation, and digital storytelling into a wide variety of English learning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irdly, the study reports the learners" and experts" evaluations of MEDT with respect to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interest, levels, and technological functions. Lastly,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MEDT, some suggestions are made on the effective use of MEDT for the implementation of enhanced, high-technological, and motivating English learning environment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7,000원
        3.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eacher-centered language learning into learner-centered one emphasizing learner’s interac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 contents available on-line for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to develop onㆍoff blended contents and apply them into classroom environment. It also discusses the kind of contents teachers and learners want to use. Reading parts for each lesson are usually dealt for three class hours in high schools. So it is designed that the first and the third period are done through off-line classroom and the second, on-line. Well-linked with the first and third period, on-line contents for the second period were designed, developed and applied into educational environment. More than expected number of teachers and learners were pleased with on-line contents reaching 80~90% of high level in satisfaction and also showed 65% reaching learners’ interaction rate in off-line classroom. If on?off blended learning model is well structured based on enough researches, it will realize its strong potential as a desirable learning model for reading.
        6,900원
        4.
        201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영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으로서 언어와 문화가 통합적으로 제시된 중학교 영어 지도의 교재와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 영어 교재는 대체로 언어학적 측면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언어 학습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필수적인 문화적 내용이 소홀하게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문화 내용을 통하여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영어교재와 지도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Byram(1991)과 Kramsch(1993)의 견해에 기초하여 언어와 문화를 통합하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언어와 문화가 통합된 교재 개발을 위하여 문화교육과 관련한 이론들을 고찰하고,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문화 관련 지침들과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들을 분석하였으며,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주제중심 언어학습 원리에 따라 문화 주제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의 통합하는 교재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단원의 교수요목을 조직하였으며, 문화 내용을 각 언어 기능 학습에 자연스럽게 통합시켜야 한다는 Lafayette(1978)의 주장에 근간하여 문화 내용을 의사소통 기능과 언어형식, 어휘 그리고 문법에 이르는 언어 학습 전반에 내용적 배경이나 소재로 활용하여 지도 모형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재와 지도모형은 원어민의 교정, 현장 교사와 학생들에 의한 평사 작업과 파일럿팅 수업 실시를 통한 적정화 과정을 거친 후에 최종 완성되었다.
        5.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모바일의 장점이 영어어휘 학습에 새로운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초등영어학습자들을 위한 모바일 게임용 영어어휘 학습 목록과 함께 그 적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영어교육 과정의 초등 필수 어휘목록, 초등 영어교과서 어휘, 그리고 초등 영어단어집으로부터 초등학교 5, 6학년 학습자들의 어휘학습에 적합한 기본 어휘목록을 선정하였다. 둘째, 기존에 상용화 중인 모바일 게임을 분석하여 영어어휘 학습용 게임으로 적합한 것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게임에 구축된 어휘목록을 적용해 개발하였다.
        6.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래 교육환경에서 요구되어지는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속성을 반영하는 콘텐츠 유형을 도출하고, 통합적 조직을 통한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구성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상황맥락형, 에듀테인먼트형, 스토리활용형, 자원기반 프로젝트수행형의 총 4종의 영어과 콘텐츠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다시 학습자의 학습 경험 속성이나 활용 과제 및 자료의 속성, 구현 테크놀로지 속성 등에 의해, 의사소통상황맥락형은 제시형, 체험형, 구성형으로, 에듀테인먼트형은 퀴즈형, 게임형, 다중지능활용 과제수행형으로, 그리고 스토리활용형은 문학작품활용형과 에피소드활용형으로 세분화되었다. 각 유형에 대한 개념과 세부 형태를 기술하고 개략적으로나마 교수․학습 절차와 단계별 설계 전략을 규명하였으며, 그 적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콘텐츠 유형에 대한 아이디어를 시사하였다. 또한, 도출된 콘텐츠 유형의 통합적 적용을 통해 단원 중심의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구성 모델을 구안하고 그 구성 요소별 설계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설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콘텐츠 유형들은 맹목적이고 배타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교수․학습 과정상에서 필요한 맥락에 맞게 각 유형들의 핵심적 아이디어들이 통합적으로 고려되는 설계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