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품 부산물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 항균특성 및 첨가제로서의 기능성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카사바 부산물, 땅콩 부산물, 완두콩 부산물, 그리고 조미료 부산물이었다. 또한, 부산물 추출물 및 BHA를 첨가한 미트 패티의 저장 중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추출물 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땅콩 부산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DPPH라디칼 소거능은 땅콩 부산물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p<0.05),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FRAP 활성능에서는 완두콩 부산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땅콩 부산물 추출물은 Streptococcus pneumoniae에 대해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조미료 부산물 추출물은 S. aureus와 S. pneumoniae균에 대해 매우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트 패티의 저장 중 지방산화 억제능은 카사바, 땅콩, 완두콩 부산물 추출물이 BHA 첨가군과 유사하게 낮은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값을 나타내었다(p<0.05). 단백질 변패도 실험에서는 완두콩 부산물 추출물 처리구가 다른 시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 식품부산물은 S. aureus과 E. coli 에 대해 항균활성이 우수하고, 지방산패를 억제하기 때문에 좋은 식품첨가물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2.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입도에 따른 조미료 원료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여 원료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 건강기능성이 우수한 천연조미료 원료로서 적합한 입도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8종(다시마, 멸치, 새우, 표고버섯, 양배추, 무, 마늘, 양파)의 조미료 원료를 일반분쇄를 통해 평균 300 μm 입도의 분말과 초미세분쇄를 통해 평균 23 μm 입도의 분말을 준비하여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모든 원료에서 항산화 활성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표고버섯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입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은 양배추와 표고버섯은 입도가 큰 일반분쇄 분말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나머지 원료는 입도가 작은 초미세분쇄 분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정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조미료 원료의 종류와 입도는 건강기능성 천연조미료 배합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levels related to MSG (monosodium glutamate) according to well-being dietary life pursuit attitude factors as well as to improve opportunities to meet value conscious consumption of well-being-oriented customers. According to well-being dietary life pursuit attitude factors, respondents were divided to three clusters, indifference type, well-being-oriented type, and active health action type. Sensory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on soybean paste soup (Doenjang-guk) and seasoned spinach with different levels of MSG. In the results, 74.4% of all respondents preferred Doenjang soup with 2% MSG, 65.4% preferred seasoned spinach with the same ratio of MSG, and 35.9% preferred seasoned spinach with 0.5% MSG. Regarding the acceptance level of MSG, addition of MSG to improve taste was acceptable to the indifference type (cluster 1). On the contrary, active health action type did not prefer MSG, wanted natural seasonings despite high prices, and preferred to dine at restaurants that serve MSG-free foods. Based on this study, restaurant companies should segment their customers on the basis of MSG usage and establish their positio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concepts.
        4,000원
        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ixed seasoning products with Korean chili peppers(Capsicum annuum L.) and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a sensory evaluation. One-hundred chili pepper-related products were collected from American local favorites and analyzed for composition. Four different seasonings were prepared for the value-added seasoning products, and their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he Korean fish chili seasoning product showed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to local American seasoning(McCormick). The completed Korean chili seasoning products contained red pepper(20%), various herbs(31.7%), salt(11.5%), mushroom(8.6%), garlic(8.5%), curry, paprika(5.7%), and citron(2.8%).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mixed seasonings from foreign countries into Korean dishes.
        4,000원
        6.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ays of seasonings are studied.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houyu and Miso which are Japanese equivalents of soy sauce and bean paste of Korean foods are used in variety of different seasonings with some other ingredients while Korean counter parts are used only to add salty tastes. (2) Shouyu and Miso lose their flavors after considerable time of heating, while Korean soy sauce and bean pastes increase their tastes after heating. (3) Mirin adds sweety taste and glaze and Sake makes food soft or hard according to the moment of being added during cooking. (4) In Korean foods soy sauce, bean paste and red pepper paste are on the basis of tastes, Dashi is used in almost every Japanese food. (5) Seasoned vegetables of Korean food are prepared only with spices of green onion, garlic and sesame oil while seasoned fishes or vegetables are mixed with Shoyu or salt and vinegar in Japanese food. (6) In making Zorim, Korean traditional sauces are added from the beginning of heating. But in making Nimono, sugar, salt, vinegar, Shoyu and artificial taste are added in order during heating. (7) In grilling, main food for grilling in Korea is meat, which is prepared with a variety of spices such as soy sauce or/and red pepper pastes, garlic, green onion, sesame oil, sesame powder, pepper and sugar while mainly fishes are grilled with salt, occasionally with Shoyu or Miso in Japanese food. (8) Pan frying fishes are taken with soy sauce with vinegar in Korea but Tepura are eaten with Tentsuyu in Japan.
        4,900원
        7.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말 다시마로부터 정미성분의 효과적인 추출방법과 분말 조미료의 제조 조건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마에 함유된 정미성분의 추출은 열수 추출이나 효소분해법보다 70% ethyl alcohol 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 분말제품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잔사를 다시 열수 추출시키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다시마 분말에 70% ethyl alcohol을 5배 량 가하여 25℃에서 1시간 추출하고 여과한 잔사에 다시 물을 15배 가하여 7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을 때 고형물의 농도는 14.9%였다. 다시마 분말조미료는 ethyl alcohol 추출액을 막으로 통과시켜 분자량 5, 000 dalton이하 범위로 분획한 액을 진공동결건조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다시마 분말조미료 제품의 조성 중 탄수화물 함량이 64.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질소랑 및 아미노질소량은 3.7% 및 2.1%로 나타나 총질소량에 대한 아미노질소량의 비율은 56.8%이었다 그리고 상대습도 0.88에서의 흡습성은 8.4%, 용해성은 98.3%.건조수율은 14.7%였다.
        4,000원
        8.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liquefied seasoning material was manufactured by using the enzymatic hydrolysis for the benefit of highly effective utilization of cockle shell by-product, and their quality was investigated. The weight ratio of by-product to whole cockle shell was 32.7%, and the contents of moisture and crude protein in the raw cockle shell by-product were 83.1% and 10.7%, respectively.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protease such as Protease N. P.(Pacific Chemical Co.) and Alcalase(Novo co), used in order to reduced the hydrolysis period, were effective at 4%(w/w), and optimal hydrolyzing time was 8 hours and after 8 hours were little changed. To improve flavor of the liquefied seasoning material, by Maillard reaction used thermal treatment, addition of glucose was very effective. And addition in hydrolysate with 10% glucose, 9% table salt, 2% starch and 0.5% caramel were suitable for promotion of taste. Total nitrogen and amino type nitrogen in the product were 1, 607㎎% and 1, 264㎎%, respectively. And the ratio of amino type nitrogen to the total nitrogen was 78.6%. The major free amino acid were glutamic acid, lysine, leucine, valine and aspartic acid, and content of glutamic acid was 1, 027.5㎎%.
        4,000원
        9.
        199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observed that anti oxidation effect of each and mutual relation on BULGOGI seasoning in Fore shank and Ribs. Each antioxidation effect were appeared to higher in suger, pear juice, soya souce, clean wine, sesamed oil, green onion, toeasted sesamed powder, black pepper, garlic im seasoned immidiately. Soya souce was revealed to higher effect anti oxidation in storaged beef among 30 minuit after seasoned. In storaged sample among 9 hour after seasoned was showed to higher effect in soya souce & galic. Mutual relation of two seasoning in BULGOGI seasoning were revealed to higher effect in mixture of green onion & galic.
        4,000원
        10.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12.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early 1956, MSG (monosodium glutamate) had been produced by hydrolysis of the vegetable proteins in Korea.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fermentation technology mainly led by the Japanese scientists, its major production method has been changed to microbial fermentation since 1962. Meanwhile, 5'-ribonucleotides which are nucleic acid-related condiments have been produced by the enzymic hydrolysis of yeast RNA and/or the direct fermentation by Miwon Co. and Cheil sugar Co., respectively since 1977. At the technological viewpoints, Korean fermentation level seems relatively highly-reputated over the world in terms of production yield and unit-consumption level. For further progress of technology, our emphasis on this research area should be laid on both improvement of bacterial strain by means of modern biotechnology and process development through the immobilization and/or computerized control technics, etc.
        4,000원
        13.
        198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혼합(混合) 조미료(調味料)의 효과적(效果的)인 살균(殺菌)을 목적(目的)으로 시료에 3~9kGy의 감마선을 조사한 뒤 에서 3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미생물(微生物)의 생육도(生有度)와 살균처리(殺菌處理)에 따른 제품의 성분 및 관능적 품질을 평가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료(試料)의 미생물(微生物) 혼입도(混入度)는 일반세균(一般細菌)이 g당(當) , 대장균군(大腸菌群)이 이었으나 대장균군(大腸菌群)은 3kGy, 일반세균(一般細菌)은 9kGy 미만(未滿) 조사(照射)로서 완전사멸(完全死滅)되었고, 세균(細菌)의 값은 1.94kGy로 나타났다. 2. 시료(試料)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은 살균처리(殺菌處理)에 따라서 거의 변화되지 않았으며, 저장기간이 경과될수록 3~6kGy 조사구는 대조구나 9kGy 조사구보다 성분의 변화가 적었다. 3. 시료(試料)의 관능적(官能的) 품질검사(品質檢査)에서 고선량(高線量) 조사(照射)는 제품(製品)의 풍미(風味)에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檢討)가 요망(要望)된다.
        4,000원
        14.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팽이버섯 분말을 이용하여 기능성물질인 GABA 및 probiotics를 강화시킨 천연 발효조미료를 개발하기 위해서 L. plantarum EJ2014에 의한 젖산발효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팽이버섯 분말에 영양성분 0.5% YE, 1% glucose, GABA 전구물질인 5% MSG를 첨가한 후 30℃에서 5일간 젖산발효를 진행한 결과 발효 2일 동안 pH는 6.1에서 4.4로 감소하다가 발효 5일에 6.2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산도는 발효 2일 동안 0.5%에서 1.3%로 증가한 후 발효 5일에 다시 0.4%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균수는 초기 젖산균 스타터 2.4×107 CFU/mL에서 발효 1일째 2.2×109 CFU/mL로 증가한 후 5일 동안 계속 유지되었다. 전구물질인 MSG는 발효 4일에 대부분이 이용되면서 약 2.31% 농도의 GABA로 전환되었으며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IC50 값이 1.24 mg/mL로, ABTS radical 소거 활성에서 IC50 값은 1.53 mg/mL로 나타나면서, 발효물의 항산화 효과가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팽이버섯 발효물 30 g에 볶은 밀기울 1 g을 첨가하여 열풍 건조한 천연 발효조미료의 GABA 함량은 17%로 고농도의 GABA를 함유하여 probiotic 기능성이 강화되며 기호성을 갖는 발효조미료 및 건강소재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15.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판 혼합조미료(SS-1, SS-2)를 시료로 하여 조사선원(감마선, 전자선) 및 조사선량(0-20 kGy)에 따른 ESR spectrum의 특성을 비교하고, 방사선조사 유래의 signal에 대한 parameter를 분석하여 조사여부 판별을 뒷받침하는 자료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 조사된 조미료 시료에서는 조사선원에 상관없이 특이한 free radical의 ESR signal을 보여주었다. 이 signal은 g-value가 2.03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