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5.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신라가 최초의 주(州)를 설치한 실직의 고고자료를 검토하고, 실직의 신라사적인 의미를 찾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직 지역의 고고학적 발굴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수용하여 기본적이고 객관적인 고고자료부터 확보하였다. 그리하여 실직 지역의 고고자료 가운데 신라산성과 신라고분을 추출하였다. 나아가 이를 토대로 신라사에서 차지하는 실직의 역사적인 역할을 찾아 보았다. 시간적으로는 5~6세기가 중심 시기가 된다. 이 시기는 이전 시기에 비하여 문헌사료가 풍부한 편이고, 동시에 사료 비판을 통해 삼국의 쟁패와 관련한 역사적 실상에 접근할 수 있다. 이 때 고고자료가 사료 비판과 역사적 해석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시기이기도 하다. 공간적으로는 통일신라시대의 행정구역을 기본으로 하였다. 즉 실직의 고고자료는 통일신라시대 삼척군의 군치인 지금의 삼척시와 속현 지역을 포함하여 살펴보 았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의하면 통일신라시대 삼척군의 속현에 지금의 강릉시 옥계면인 우계현이 포함되므로 동해시와 강릉시 옥계면을 실직의 범위에 포함시키고, 연구 범위로 삼았다. 그 결과 실직의 고고학적 양상을 정리하면 신라산성으로는 오십천 하구의 곶 (串)에 위치한 오화리산성이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고, 고분문화로는 5세기 3/4분기인 황남대총 남분 단계 직전에 신라문화가 출현하였으며 5세기 4/4분 기~6세기 1/4분기에 고분군이 급증․확산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분군의 입지도 구릉지대와 산의 사면에 분포하는 특징을 보여 사구지대에 초기 고분이 분포하는 강릉지역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필자는 이들 시․공간적인 고고자료와 문헌사료, 역사지리적 자료들을 활용하여 신라의 실직 경영에 대한 신라사적 의미를 찾는 시도를 하였다. 그리하여 오화리 산성의 경우 신라계 지명인 벌 지명이 있고, 건너편인 정라진 일대도 부리(=벌) 지명이 남아 있어 오십천 하구 일대가 신라마을이 형성된 실직의 핵심 지역으로 판단하였다. 나아가 통일신라 중사의 하나인 북해 비례산도 오십천 하구인 정라진 바닷가 일대와 오화리산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였다. 결론적으로 신라는 중원(충주)을 거점으로 남한강을 따라 동해안의 강릉이나 삼척을 측방공격하는 고구려군을 막는 방어의 거점성이자 해양의 거점으로 오십천 하구에 있는 오화리산성을 운용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신라인들이 동시대부터 삼척의 오십천 하구 일대를 해양의 거점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신라통일기에도 중사의 사해에 포함시켰다고 볼 수 있겠다.
        10,500원
        3.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교 역사교과서에서 사용되는 역사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향상을 위해 연구자 자신의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행연구를 연구 방법론으 로 채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2013학년도와 2014학년도에 S여중 2학년 전 교생 180여명을 대상으로 역사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역사용어에 대한 이해 실태를 파 악하였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2013학년도에 자신의 수업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제 수업에서 역사용어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6개반을 3그룹으로 나누어 3가지의 학습방 법을 적용하였다. 2014학년도에는 2013학년도에 역사용어를 이해하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던 학 생활동중심수업을 적용하였다. 셋째, 수업 후 교사의 수업일기와 학생들의 인터뷰를 통해 수업 후의 반응을 살펴보았으며, 2주후 학생들의 역사용어 이해도의 향상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탐 구형 평가(개념확인평가)와 지필고사 성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가 활동지, 동영상 등 다양한 학습자료를 제공하여 수업하고, 학생들은 학습과 제를 통해 선행지식을 갖추어 학생활동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질 때 역사용어에 대한 이해도 가 향상되어, 학업성취도도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자는 2년 동안 본 연구를 통해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보고 반성함으로써 수업을 개선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