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42 No.2 (2024.06) pp.176-186
어구조사 및 환경 DNA 메타바코딩을 이용한 태화강, 창원천 하구 생태계의 어류 군집 구조 및 종 다양성 평가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1 No. 4 (2023.12) pp.637-656
DNA 바코드를 이용한 제주도 연안 파래대발생 (green tide)을 형성하는 갈파래 (genus Ulva) 군집구조 및 주요 종 구성의 시간적 변이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4 (2022.12) pp.464-476
한려해상국립공원 해역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계절별 군집 변동 특성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2 (2022.06) pp.125-137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1 (2022.03) pp.87-98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1 (2021.03) pp.81-87
한국환경생물학회 학술대회 2020 한국환경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2020.11) p.60
2016~2017년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초미소식물플랑크톤 분포 특성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7 No. 1 (2019.03) pp.93-108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591-600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3 (2018.09) pp.400-411
생태계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생물 군집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 청계천을 사례로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3 (2018.09) pp.370-376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5 No. 4 (2017.12) pp.595-603
안동 · 임하호 주요 유입지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및 군집안정성 분석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4 (2016.12) pp.320-328
울진 바다목장 주변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286-296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3 (2014.09) pp.168-175
영산강, 섬진강 유역권내 29개 정수생태계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크기 구조(2010~2011)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0 No. 1 (2012.03) pp.64-70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0 No. 1 (2012.03) pp.15-25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28 No. 4 (2010.12) pp.179-187
우이도 주변해역 조하대에서 춘계와 추계에 서식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28 No. 3 (2010.09) pp.133-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