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지수와 수질을 이용한 양재천과 여의천의 생태건강성평가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2 (2022.06) pp.172-186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2 (2022.06) pp.164-171
The dorsal guard hair identification key of Korean small mammals (Rodentia and Lagomorph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2 (2022.06) pp.157-163
농업 환경보전 프로그램 대상마을의 논과 둠벙 생태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분포 특성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2 (2022.06) pp.148-156
관행 논과 친환경 논의 어류상 및 미꾸리와 왜몰개 개체군 특성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2 (2022.06) pp.138-147
한려해상국립공원 해역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계절별 군집 변동 특성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2 (2022.06) pp.125-137
2014년 부산 연안 해역에서 계절적 환경특성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양상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1 (2022.03) pp.112-123
환경공간정보를 이용한 식생부문 환경영향평가 고도화 방안 연구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1 (2022.03) pp.99-111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1 (2022.03) pp.87-98
영광 안마군도 주변 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동태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1 (2022.03) pp.70-86
해양환경 변화로 인한 2018~2020년 동해 식물플랑크톤 크기 구조 변화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1 (2022.03) pp.54-69
바닷새 및 해양어류의 이동 연구 동향: 위치추적 기법과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1 (2022.03) pp.25-53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1 (2022.03) pp.11-24
RCPs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큰망초 (Conyza sumatrensis)의 적합 서식지 분포 예측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40 No. 1 (2022.03) pp.1-10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4 (2021.12) pp.590-603
근적외선 분광법과 머신러닝을 이용한 메꽃과 (Convolvulaceae) 식물의 분류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4 (2021.12) pp.581-589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4 (2021.12) pp.573-580
2021년 이른 가을 남해 서부 해역의 수괴 분포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공간분포 특성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4 (2021.12) pp.559-572
방사성동위원소 추적자 기법을 이용한 제조나노입자로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지렁이 (Eisenia fetida)의 은과 아연 축적 연구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4 (2021.12) pp.550-558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4 (2021.12) pp.542-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