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방천에 서식하는 열목어의 개체군 특성 및 물리적 서식환경과의 상관관계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1 (2021.03) pp.108-118
논 토양에서 암모니아 배출 특성 모니터링을 위한 수동식 암모니아 확산형 포집기 이용 사례 연구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1 (2021.03) pp.100-107
육상 기반 해양 폐쇄형 인공생태계를 활용한 해양생태계 위해성 평가: 객관적인 영향 평가 tool 제시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1 (2021.03) pp.88-99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1 (2021.03) pp.81-87
청계천의 어류상 및 피라미 (Zacco platypus) 개체군 현황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1 (2021.03) pp.68-80
메기 (Silurus asotus) 기아 시 외부형태 및 체 절단면 변화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1 (2021.03) pp.55-67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1 (2021.03) pp.46-54
딸기온실에서 점박이응애의 화학적방제와 생물적방제 효율 비교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1 (2021.03) pp.39-45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1 (2021.03) pp.32-38
한국의 남해 거문도해역에 자생하는 홍합 (Mytilus coruscus)의 수심별 성장, 비만도와 저서생물의 분포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1 (2021.03) pp.19-31
A new record of Haplodrassus nojimai Kamura, 2007 (Araneae, Gnaphosidae)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1 (2021.03) pp.16-18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1 (2021.03) pp.6-15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9 No. 1 (2021.03) pp.1-5
폐탄광 산림복구지의 수종별 탄소 저장량 추정: 자작나무, 잣나무, 소나무류 식재지를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8 No. 4 (2020.12) pp.733-743
역병에 대한 Enterobacter asburiae ObRS-5 처리의 유도저항성 발현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8 No. 4 (2020.12) pp.724-732
길안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안정성 및 유사도 분석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8 No. 4 (2020.12) pp.714-723
위성영상 분석을 통한 금강수계 대형보에 따른 수변서식처 다양성 변화 연구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8 No. 4 (2020.12) pp.705-713
유해해양생물 위해성평가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8 No. 4 (2020.12) pp.691-704
하수종말처리장 배출수에 의한 하천 수질 특성 및 어류의 조직병리학적 영향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8 No. 4 (2020.12) pp.678-690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8 No. 4 (2020.12) pp.667-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