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591-600
아메리카동애등에 (Hermetia illucens L.)의 외부형태 및 서식지에 관한 연구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584-590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576-583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567-575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558-566
Development of a Catch Basin Sump Insert to Reduce Mosquito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554-557
한국에서 집박쥐 (Pipistrellus abramus)의 장기 생존과 수명에 관한 연구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550-553
서해안 주요 고추 주산지에서 발생하는 총채벌레의 발생현황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544-549
약제교호살포에 따른 시설재배 오이 흰가루병 (Podosphaera xanthii) 방제효과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538-543
한국 연안에 출현하는 부유성 요각류의 종다양성과 주요 종의 분포특성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525-537
시설오이에서 총채벌레류 발생소장 및 5 지역계통 꽃노랑총채벌레의 약제반응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517-524
벼논에서 open-path와 closed chamber 방법 간 메탄 배출량 비교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507-516
다슬기 추출물이 D-galactosamine에 의해 손상된 간에 미치는 효과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498-506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488-497
건조스트레스에 의한 오이와 토마토 공정육묘의 광화학적 지표 해석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479-487
유기성폐기물이 느티나무 재배지 토양의 화학성 및 생물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471-478
복원 소재로서 지역 종자 적용을 위한 억새와 갈대의 유전적 변이분석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463-470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456-462
제주도 마르형 분화구 내에 형성된 하논의 식물상과 복원 방안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4 (2018.12) pp.439-455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6 No. 3 (2018.09) pp.424-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