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4 (2016.12) pp.246-256
MaxEnt를 활용한 청비름 (Amaranthus viridis)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서식지 분포 변화 예측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4 (2016.12) pp.240-245
산지초지의 식물 군락에 따 른 토양 미소동물 및 지표면 서식 절지동물의 군집 차이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4 (2016.12) pp.233-239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4 (2016.12) pp.223-232
경기 및 강원지역 농업용수 중 PAHs의 모니터링 연구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3 (2016.09) pp.216-221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3 (2016.09) pp.212-215
고수 정유를 원제로 하는 유제 제형의 잉어에 대한 급성독성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3 (2016.09) pp.208-211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3 (2016.09) pp.201-207
해산로티퍼 (Brachionus plicatilis)의 생존 및 개체군 성장률을 이용한 중금속 (As, Cr, Pb) 독성평가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3 (2016.09) pp.193-200
다양한 특성의 은나노물질이 수생생물에 미치는 독성영향평가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3 (2016.09) pp.183-192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폐달걀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감소효과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3 (2016.09) pp.177-182
중부지방 적합 자운영 (Astragalus sinicus L.) 형질 특성 및 유전적 연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3 (2016.09) pp.169-176
광화학적 반 응 분석을 통한 부화장 폐달걀 분해 액비의 고추 생장촉진효과 평가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3 (2016.09) pp.161-168
동해 울진 바다목장해역의 크기별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시 · 공간적 분포 특성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3 (2016.09) pp.151-160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3 (2016.09) pp.141-150
공급 사료에 따 른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의 성장과 혈액성분의 변화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3 (2016.09) pp.133-140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2 (2016.06) pp.124-131
Daphnia magna와 Euglena agilis를 이용한 도금폐수 독성평가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2 (2016.06) pp.116-123
단층 및 입체 세포배양환경에서 세슘, 스트론튬 및 코발트가 세포 독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2 (2016.06) pp.107-115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4 No. 2 (2016.06) pp.97-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