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연구 방법론 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개념의 전환:인간 유전다양성 연구 사례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413-425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403-412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397-402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395-396
강우 이벤트가 태화산 잣나무 식재림의 각 발생원별 CO2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389-394
양식동남아산 뱀장어(Anguilla bicolor pacifica)의 Heterosporis anguillarum 감염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382-388
한국의 제주에서 발견된 바다거북 잡종(Caretta caretta x Chelonia mydas)에 대한 첫 보고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377-381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371-376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363-370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353-362
암모니아 노출에 따른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생리학적 반응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344-352
2010년 국내 남해 해역에 출현한 Pseudo-nitzschia cf. brasiliana의 형태 특성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335-343
논토양에서 바이오차르 투입 및 완효성비료 시용에 따른 메탄발생량과 작물생산량 변화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327-334
부영양 농업용저수지인 전대지의 어류군집 및 먹이망 특성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319-326
PFOS (perfluorooctane sulfonate) 노출에 따른 조간대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의 생태독성학적 판정점 제시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311-318
갈조류 톳의 포복지 재활용을 위한 친환경적 해적생물 구제: pH와 염분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306-310
방사무늬김(Porphyra yezoensis Ueda)의 영양염과 이산화탄소 흡수율 정밀 평가를 통한 양식해역의 질소와 탄소 요구량 산정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297-305
울진 바다목장 주변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286-296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4 (2014.12) pp.271-285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2 No. 3 (2014.09) pp.263-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