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Flammulina velutipes 11품종 자실체 추출물의 생리활성 분석

엄수나, 진경언, 박기문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6239
한국버섯학회지
제7권 제4호 (2009.12)
p.213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버섯은 자연 상태의 산과 들에서도 흔히 볼 수 있고, 맛 과 향기가 독특하여 신라시대부터 이용한 기록이 있을 정도 로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버섯은 세계적으로 15,00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500여 종 이 보고되고 이중 식용버섯은 400여 종, 약용버섯 50종, 독 버섯은 약 70종이다. 버섯(Mushroom)은 분류학상으로 고 등균류 중 진균류(Eumycetes )에 속하며, 대부분 담자균류 (Basiodiomycetes )에 속한다. 이들 버섯은 대사산물이 축적 된 자실체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버섯은 독특한 맛 과 향이 뛰어나 기호성이 높은 식품으로 이용되어 왔고, 당 질, 단백질, 비타민, 아미노산, 무기질 등과 같이 인체에 중요 한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광범위한 약리 작용도 나타내므로 예로부터 전통식품 및 민간약의 제제로 서 널리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항암활성, 면역증강 등 의 효능작용 때문에 최근에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 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팽이버섯의 생물학적 위치는 주름버 섯목(Agaricales ), 송이과(Tricholomataceae ), 팽나무버섯 속(Flammulina )에 속하며 늦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감나 무, 뽕나무, 아카시아, 포플러 등 각종 활엽수의 고목이나 그 루터기에 속생하며 눈이 쌓이는 겨울에도 발생하는 내한성 균으로 일명 겨울버섯(Winter mushroom )으로 불리며, 일 본에서는 에노끼다께 라고도 한다. 야생 팽이버섯은 갓이 황갈색이며 지름2∼3cm의 평반구형에서 편평형이며, 인공재 배된 버섯은 갓이 작고 대가 긴 흰콩나물형으로 맛과 빛깔이 좋아 일본·미국 등지에서 인기가 있다. 표면은 점성이 강하 고, 황갈색 또는 노란색을 띠며 주변은 엷은색이다. 살은 흰 색이나 노란색이며, 주름살은 조금 성기고 흰색이나 엷은 크 림색으로 올린주름살이다. 자루는 높이 2-9cm, 나비 2-8 ㎜로 연골질이며 밑부분에 부드러운 털이 빽빽이 난다. 포자 는 타원형이나 원기둥모양이며 흰색을 띤다. 감나무·뽕나 무·포플러 등 주로 활엽수의 썩은 고목이나 그루터기에 다 발로 생성된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팽이버섯은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고단백, 저칼로리에 천연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한 독특한 식품으로 꼽힌다. 또한 세 계가 공인하는 친환경식품, 완전식품, 장수식품이자 건강식 품으로 영양이 풍부할 뿐 아니라 치료 효능도 갖고 있다. 이 에 팽이버섯11품종 자실체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생리활성 분석을 하였다. DPPH 소거능 실험을 통한 항산화활성 확인 에서는 ‘팽이9’ 품종이 91.74%의 항산화 저해능을 나타내었 다. 또한 Folin-ciocalteu assay 통한 Polyphenol 함량분석 에서는 ‘팽이10’ 품종이 244.74 mg%(gallic acid mg%/100ul of sample) 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β-glucan 분석을 통한 면역 및 항암물질 확인에서는 ‘팽이6’ 품종이 27.37%로 면역 및 항암활성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고혈 압은 ACE inhibition activity 실험으로 진행하였고, ‘팽이10’ 품종이 10.96%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항당뇨 실험에서는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팽이1’ 품종이 69.84%로 나타났다. 항혈전 실험에서는 Astrup 과 Mullertz 의 Fibrin plate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나, 효과 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팽이버섯은 비교적 다양 하고, 여러 가지의 생리활성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키워드
저자
  • 엄수나(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과)
  • 진경언(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과) | 진경언
  • 박기문(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과) | 박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