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느타리버섯의 항암수목자원 배지속 함유성분의 분해능 평가 Metabolizing analysis according to the sawdust media of the known anticancer trees by Pleurotus ostreatuss

신유수, 양보현, 강보연, 김현수, 이지현, 홍윤표, 이상원, 이찬중, 김승유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6444
한국버섯학회지
제9권 제4호 (2011.12)
pp.186-189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가래나무(J. mandchurica), 구지뽕나무(C. tricuspidata), 감태나무(L. glauca)는 최근 항암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는 수목자원이다. 한방에서는 가래나무 수피를 말린 것을 추목피라하며, 소염성 수렴과 해열, 눈을 맑게 하는 등의 효능이 있어 장염, 이질, 설사, 눈이 충혈하고 붓는 통증 등에 처방하고 있으며, 주요성분으로 naphthoquinones, naphthalenyl glucosides, α-tertalonyl glucopyranosides, diarylheptanoyl glucopyranosides, flavonoids 등의 페놀성화합물들이 보고되었다. 구지뽕나무는 한방에서 자양, 강장의 효능이 있으며, 신체허약증, 정력 감퇴, 불면증, 시력감퇴 등에 효과가 크며, 부인병 치료와 항암치료에도 처방되고 있다. 구지뽕나무의 주요 성분으로 근피에서 새로운 iso-prenylated xanthone 화합물인 cudraxanthone A, B, C, D, H, I, J 및 K 그리고 isoprenylated flavone 화합물인 cudraflavone A, B cycloartocarpesin, populnin, quercimetrin 등이 알려졌으며, 목부에서는 β-sitosterol glucoside, arthocarpesin, norarthoca-rpetin, 5-O-methyl genistein 등이 분리되어졌다. flavonoid, morin, kaempherol-7-giucoside, poupulnin, stachydrine, proline, glutamicaoid, arginine, asparaginic acid 등의 화합물들이 보고되었다. 또한, 감태나무는 한방에서 열매를 산호초라 하며, 염증을 삭히며 통증을 없애는 효능이 있어, 풍습성 관절염이나 신경통, 손발이 저린 곳, 관절통과 근육통, 배가 차갑고 아픈 곳, 여성의 산후통과 뼈가 허약한 곳이나 허리와 무릎이 아픈 곳에 처방하고 있다. 감태나무의 주요 성분으로 지방유, 정유, cineol, caryophyllene bornylacttate, camphene pinene, limonene등의 화합물들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항암효과가 알려진 가래나무, 구지뽕나무, 감태나무를 느타리버섯의 새로운 톱밥배지자원으로서 활용하여 이들 자원의 함유성분이 담자균류인 느타리버섯에 의해 분해되거나 다른 유도체화합물로 이행되는지를 검토하였다. 3종의 수목자원의 톱밥배지에서 재배한 느타리버섯과 공시재료를 80% 메탄올로 추출하여 조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를 액체배지에 첨가하여 생육한 느타리버섯 균사체를 HPLC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HPLC를 이용하여 공시재료들의 함유성분들의 크로마토그래피 패턴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가래나무, 구지뽕나무, 감태나무 톱밥배지에서 생육한 느타리버섯은 각각의 수목자원 톱밥배지속의 함유성분을 분해 또는 다른 유도체화합물로 이행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목자원 추출물을 첨가하여 액상배지에서도 느타리버섯 균사체가 이들 추출물의 성분을 분해 또는 다른 유도체화합물로의 이행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 추출물은 느타리버섯 균사체의 생육에 영향을 주어 느타리버섯 균사체의 2차대사산물의 생성 및 억제를 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The transitivity of Chemical constituents by Pleurotus ostreatus cultivated in different raw sawdusts, which are Juglans mandchurica, Cudrania tricuspidata and Lindera glauca, was investigated. The HPLC chromatography pattern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P. ostreatus showed the similar chromatography patterns in all different raw sawdusts and control sawdust. The unknown chemical constituents of P. ostreatus cultivated in the 10%, 20% mixed medium added 10 %, 20% different raw sawdusts, respectively, were increased. But the significance results in the mixed medium added 50% different raw sawdusts were not showed. The chromatography patterns of mycelia grown in media added the 80% MeOH extracts of three tree species showed the similar patterns in comparison with control mycelia. In the results, the secondary metabolites of functional media were not degrade and changed to other derivatives compounds by P. ostreatus.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시험균주 및 종균제조
  톱밥배지 조제 및 버섯 생육
  추출물 첨가배지의 균사 생육
  HPLC 분석 시료 조제
  HPLC 분석조건
 결과 및 고찰
  톱밥배지 배지 생육 자실체분석
  추출물첨가 균사체 및 여액의 HPLC 분석
 적요
 참고문헌
저자
  • 신유수(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Yu-Su Shin
  • 양보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양보현
  • 강보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강보연
  • 김현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김현수
  • 이지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이지현
  • 홍윤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홍윤표
  • 이상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이상원
  • 이찬중(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이찬중
  • 김승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김승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