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산과 중국산 능이버섯과 송이버섯의 일반성분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채취지역에 따른 능이버섯과 송이버섯의 식품학적 품질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송이버섯의 조회분 함량은 중국 티벳산이 5.52%, 운남 5.40%, 연길 6.95%, 한국 양양 6.40%로 시료 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지방 함량은 한국 양양산이 1.19%로 가장 낮았고, 조단백질 함량은 중국 티벳산이 16.83%로 가장 낮아 시료 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송이버섯의 총아미노산 함량은 중국 연길 11,490.14±892.07 mg%, 중국 운남 8,000.03±2072.65 mg%, 티벳 6,815.48± 771.82 mg%, 한국 양양 6,074.74±814.86 mg% 순으로 나타났다. 능이버섯의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총아미노산 함량은 한국산과 중국산 시료 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실험결과 조회분 함량을 중국 남방지역(티벳, 운남) 송이버섯과 한국 양양 및 중국 북방(연길) 송이버섯의 구분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무기질 성분에 대한 추가 실험을 통해 지표 무기질 도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total amino acid contents in Tricholoma matsutake and Sarcodon aspratus to compare the food quality according to production area. The crude ash contents in Tricholoma matsutake from Yanji (China), Yangyang (Korea), Tibet (China), and Yunnan (China) were 6.95%, 6.40%, 5.52%, and 5.40%, respectively. Yangyang showed the lowest crude fat content (1.19%), whereas Tibet exhibited the lowest crude protein content (16.83%), showing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oduction area.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Tricholoma matsutake in Yanji, Yunnan, Tibet, and Yangyang was 11,490.14±892.07 mg%, 8,000.03±207.25 mg%, 6,815.48 mg%, and 6,074.74±814.86 mg%,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proximate composition and total amino acids in Sarcodon aspratus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production area. The results of proximate composition in Tricholoma matsutake suggest that the crude ash content can be used as a distinguishing indicator between Tricholoma matsutake from Yangyang and Tibe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nalyze the mineral cont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distinguishing mineral indicators between Tricholoma matsutake from Yangyang and Tib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