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산느타리 봉지재배시 배지의 화학성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chemicals in substrates and yield of Pleurotus pulmonarius

이안수, 이재홍, 원헌섭, 황세정, 정태성, 홍대기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4820
한국버섯학회지
제18권 제2호 (2020.06)
pp.135-140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산느타리 배지재료별 적정 혼합비율을 구명하기 위하여 1 kg 봉지재배를 통해 배지의 화학성과 2주기까지의 버섯 수량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1주기 버섯 수확량은 총 질소량과 상관을 보였는데, 총 질소량 1.1% 부근에서 최대 의 수량을 보였고 그보다 질소량이 적거나 많은 경우 수 량이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2주기 버섯 수확량은 총질소, 총탄소, C/N율 등 여러 가지 화학성과 높은 상관을 보였는데, 질소함량 1% 이상의 구간에서 질소함량이 높을수록, 탄소함량 13% 이상의 구간에서 탄소함량이 높을수록 수량이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산느타리 재배시 혼합배지의 질소함량이 1.1% 정도인 경우 1주기 버섯수량이 가장 높았고, 2주기 수량은 질소와 탄소의 함량이 높은 배지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다만, 면실피가 다량 첨가된 배지에서 대두박과 케이폭박이 합계 20% 첨가되면 버섯 발생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할 것이다.

We examined the chemical properties of mixed media and the yield of Pleurotus pulmonarius using bag culture (1 kg) and also evaluated their relationship. The yield of mushrooms in the first flush appeared to be correlated with total nitrogen content. The highest yield of mushroom in the first flush occurred when the nitrogen content of the media was 1.12 %; however, when the nitrogen content was lower or higher than 1.1 %, the yield decreased. The yield of mushrooms in the second flush was highly correlated with various 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total nitrogen, total carbon, and C/N ratio; for example, higher nitrogen and carbon content produced a higher yield in the second flush. Therefore, when cultivating bottle culture, the nitrogen content of the media should be approximately 1.1 %, such that most mushrooms are harvested in the first flush. Additionally, when cultivating bag culture for harvesting two or more times, it is advantageous to have higher nitrogen and carbon contents in the media than the amount required for bottle culture media.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시험품종 및 종균
    생육배지 조성
    배지 화학성 분석
    버섯생육 및 수량성 조사
    배지의 화학성과 버섯수량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및 고찰
    혼합배지의 화학성
    산느타리 생육 및 수량성
    배지의 화학성과 버섯수량간의 상관관계
적 요
REFERENCES
저자
  • 이안수(강원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 An-Soo Lee (Agricultural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Corresponding author
  • 이재홍(강원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 Jae-Hong Lee (Agricultural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원헌섭(강원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 Heon-Seop Won (Agricultural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황세정(강원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 Se-Jeong Hwang (Agricultural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정태성(강원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 Tae-Sung Jung (Agricultural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홍대기(강원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 Dae-Ki Hong (Agricultural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