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아까시재목버섯 유래 카르테노이드 계열 항산화 물질 생산 Development of carotenoid production process using perenniporia fraxinea

김지우, 이중헌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036
한국버섯학회지
제18권 제4호 (2020.12)
pp.365-371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이 연구에서는 Perenniporia fraxinea를 사용하여 배지가 카르테노이드 생성 및 균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0.1% 미만의 펩톤을 함유한 맥아추출물은 카르테노이드의 생성을 촉진했으며 0.2% 이상의 펩톤이 그 생산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아추출물이 없으면 Perenniporia fraxinea는 소량의 펩톤 첨가에도 불구하고 카르테노이드를 생산하지 못했다. 아카시재목버섯의 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균사체를 원심 분리로 배양액을 분리하여 상층액을 카르테노이드 용액으로 회수가 가능하였다. 균사체 내부에 축적된 카르테노이드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배양액에서 분리 또는 추출한 카르테노이드 용액은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생산된 항산화 카르테노이드는 천연물 유래 물질로 독성 및 부작용이 없으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활성산소에 의해 생성된 산화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media on the production of carotenoids and mycelia by using Perenniporia fraxinea. Malt extract-based medium with less than 0.1% peptone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carotenoids, and the one with more than 0.2% peptone inhibited its production. P. fraxinea grown in medium without malt extract did not produce carotenoids, although a small amount of peptone was added to the medium.After carotenoid production, the culture broth was separated using simple centrifugation and the supernatant was harvested as a carotenoid solution. Ethanol was used to extract carotenoids from mycelia. Carotenoid solution separated or extracted from the culture solution show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antioxidant carotenoids produced by P. fraxinea are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have no toxicity and side effects, and exhibit excellent antioxidant effects; therefore, they can be effectively used to remove oxides produced by active oxygen.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공시균주
    배지
    균사생장 속도 및 밀도
    플라스크 배양
    카르테노이드 분리
    카르테노이드 분석방법
    DPPH 라디컬 항산화 효과 측정
결과 및 토론
    2차원 균사체 배양 특성
    배지의 변화에 따른 카르테노이드 생산
    맥아 추출물과 펩톤의 농도가 카르테노이드 생산에 미치는영향
    맥아추출물과 포도당농도가 카르테노이드 생산에 미치는영향
    공기부양식 배양기를 이용한 카르테노이드 생산
    아까시재목버섯 유래 카르테노이드 항산화능 평가
적 요
REFERENCES
저자
  • 김지우(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Jiwoo Kim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chemic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 이중헌(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Jung Heon Lee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chemic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