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Flammulina elastica의 유전체 정보기반 신규 laccase 유전자 동정 및 구조 분석 Identification and structural analysis of novel laccase genes in Flammulina elastica genome

유혜원, 박영진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913
한국버섯학회지
제19권 제1호 (2021.03)
pp.33-40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최근 Flammulina 종들에 대한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결과가 보고되었고, 그로 인해 다양한 유전자 정보가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lammulina elastica 전체 유전체 서열의 laccase 유전자를 동정하고 구조적 특징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유전체 분석 및 생물정보분석을 통하여 F. elastica 유전체 내 3개의 laccase 유전자(Felac1, Fe-lac2, Fe-lac3)를 확인하였고, 이들 유전자 내에는 10개의 히스티딘 잔기와 1개의 시스테인 잔기를 가지는 구리 이온 결합 영역과 4개의 시스테인 잔기를 가지는 이황화결합 형성 부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548~1,602 bp의 laccase 유전자에 대한 전장 cDNA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하여 12~16개의 인트론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되었으며, N-말단으로부터 17~22 bp의 사이에 신호 펩타이드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F. elastica의 laccase 유전자를 최초로 동정하여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F. elastica의 바이오매스 분해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genome sequence of various Flammulina species has recently been reported, thereby revealing a diverse genetic repertoir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laccase genes and analyzed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Flammulina elastica (F. elastica) genome. Through genome analysis and bioinformatics approaches, three laccase genes (Fe-lac1, -lac2, and -lac3) were identified, ranging from 1,548 to 1,602 bp in length. These genes contained a copper ion-binding region with ten histidine residues and one cysteine residue and a disulfide bond-forming region with four cysteine residues. Full-length cDNA sequencing analysis revealed that laccase genes contain 12 to 16 introns and signal peptides between 17 and 22 bp in the N-terminus.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he laccase genes identified in this study should help in better understanding the biomass decomposition of F. elastica.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시험균주 및 배양
    생물정보학 기반 laccase 유전자 분석
    RNA 추출, 전장 cDNA 합성 및 염기서열 분석
    염기서열 분석
결과 및 고찰
    F. elastica의 laccase 유전자
적 요
REFERENCES
저자
  • 유혜원(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의료생명대학 바이오의약학과) | Hye-Won Yu (Department of Medicinal Biosciences, Konkuk University)
  • 박영진(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의료생명대학 바이오의약학과) | Young-Jin Park (Department of Medicinal Biosciences, Konku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