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韓國水稻品種의 形態變異에 관한 硏究 KCI 등재

Ⅱ. Varietal variation in morphology of vegetative organs and in yield components along the periodical changes of the Korean rice varie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61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한국수도품종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그들 품종의 외부형태와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의 변이를 살펴보고저 년대별 주요품종3개씩 18개품종을 시료로 하여 6개품종군 ~circled1 1907년대 품종(재래품종)을 1군 ~circled21907~1930년항까지의 품종(도입일본품종)을 II군 ~circled31930~1960년항까지의 품종중 도입일본품종을 III군, 국내육성품종을 IV군 ~circled41960년이후 현재까지의 재배품종중 도입일본품종을 V군, 국내육성품종을 VI군으로 구분하여 시험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는다음과 같다. 1. 신장절위는 엽신장은 1군이 가장 길고 품종의 변천과 함께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지엽각은 예각의 방향으로 변천되어 왔으며 총엽면적은 I군에 비하여 II~V군은 모두 작은 수치를 보였는데 일반적으로 상부절위의 엽면적이 특히 작아진 경향을 보였으며 엽면적지수는 반대로 I군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2. 엽초장 및 엽초중은 I군에 비하여 III~V군은 작은 수치를 보였는데 II~VI군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절간장은 I군이 길고 그밖의 군에서는 짧았는데 시대적 품종의 변천에 따라서 상위부의 절간장이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절간중은 I군이 매우 크고 그밖의 군은 작은데 시대적 품종의 변천에 따라서 대체로 가벼워지는 경향이었다. 3. 수량구성요소의 품종군간 변이는 간장, 수장 및 I수정화수는 I군 및 III군이 높은 수치를 보였고, 1주수수, 등열비율 및 정조천엽중은 IV, V 및 VI군이 높은 값을 보였다. 시대적 품종의 변천에 따라서는 일정한 경향은 없지만 대체적으로 최근의 재배품종인 V군 및 VI군이 간장 및 수장이 짧아졌고 등열비율 및 정조천엽중은 증대되었으며 수수 및 I수입수sms 중위의 값을 보여주고 있다. 4. 고간중은 Irns이 가장 가벼웠고 그 외 품종군은 서로 비슷하였으며 정조중은 VI군이 가장 높은 치를 보였고 II군, III군, IV군 및 V군은 서로 비슷하게 중간치를 보였으며 I군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조/고 비율은 VI군이 가장 높았고 I군이 가장 낮았다. 5. 공시한 품종군중 IV군, V군 및 VIrnsdms 수수, 일수평균완전입수 및 정조수입중이 평형있게 수량을 구성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To study the varietal differences of vegetative organs, yield and yield components along the periodical changes of rice variety in kore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1968. Eighteen used varieties were grouped into 6 varietal groups by the cultivated period as follow.: 1) Group I - Korean local varieties cultivated about 1907, 2) Group II - introduced varieties cultivated in 1907 - 1930, 3) Group III - introduced varieties cultivated in 1930-1960, 4) Group IV - improved varieties cultivated in 1930-1960, 5) Group V - introduced varieties cultivated after 1960 and 6) Group VI - improved varieties cultivated after 1960. 1. Varietal Group I showed the longest leaves, the largest leaf area, the lowest value of leaf area index and the highest value of flag leaf angle. Along the periodical changes of rice varieties the leaf length, the total leaf area and the flag leaf angle were decreased, and the leaf area index was increased. 2. Varietal Group I showed higher value of the length and the weight of leaf sheath than those of Group II, III, IV, V and VI. The length of every internode was longer in Group I than in the other varietal groups. The weight of every internode was shown higher value in Group 1. The length and the weight of every internode were decreased along the periodical changes of rice variety. 3. Varietal Group I and Group III showed the higher value of culm length, panicle length and the number of grain per panicle length and groups. Group IV, V and VI had the higher value of the number of panicle, the maturing rate and the 1, 000 grains weight. Varietal Group V and VI which are cultivated in recent years showed shorter culm and panicle length, higher value of the maturing rate and the 1, 000 grains weight, and intermediate in the number of panicle and the number of grain per panicle. 4. The lowest value of straw weight was found in Group I. The highest value of grain yield was shown in Group VI, intermediate in Group II, III, IV and V and lowest in Group I. Grain-straw ratio was shown highest in Group VI.

저자
  • 李殷雄(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작물학교실) | 이은웅
  • 金光鎬(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작물학교실) | 김광호
  • 權容雄(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작물학교실) | 권용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