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Burley종의 재식거잡가 광환경, 수량 및 품종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Plant Spacing on Light Environment, Yield and Quality of Burley Tobacc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99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담배 품종은 Burley 2001를 공시하여 휴간을 90, 105, 120cm로 하고 주간을 각각 30, 35, 40cm로하여 재식밀도 및 재식거리 Burley종의 수량 및 품종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알맞는 재식거리를 구하고자 시험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1. 간경 및 최대도 등 1주당 생장량은 소식할수록 컸고, 같은 재식밀도에서는 주간을 넓힌 처리에서 더 컸다. 2. 후기생육은 밀직할수록, 같은 재식밀도에서는 휴간을 넓힐수록 완만하였다. 또한 주당 엽면적, 단위 엽면적중은 소식할수록 증가하는 반면 엽면적수는 밀식할수록 증가하였다. 같은 재식밀도에서는 단면적, 단위 엽면적중, 엽면적지수 모두 주간을 넓힌 처리에서 증가하였다. 3. 수광율은 소식할수록 중ㆍ본엽에서 더 많아 품종과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착엽각도도 켰다. 동일 재식밀도에서는 주간을 좁히고 휴간을 넓힌 처리에서 주당 생장량이 적으므로 수광율은 증가했으나 착엽각은 좁아서 1주면적당 일사량 이용은 주간을 넓힌 처리보다 더 적을 것으로 본다. 4. 밀식할수록 수량은 증가했으나 품질과 내용성분은 저하였고, 이에 대금은 90 40 > 105 40cm로 2,700주/10a에서 많았고, 같은 재식밀도에서는 수량, 품종 대금 모두 휴간을 좁히고 주간을 넓힌 처리에서 증가했으나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 결과에서 재식밀도는 2,400~2,700주/10a로 토양비옥도에 따라 가감해야 할 것이고 재식거리는 작업의 성력화를 위해 휴간을 다소 넓힌 105 35, 105 40cm로 재식함이 바람직할 것이다.무게와 호흡률 간의 상관계수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이 결과는 대두 종자의 호흡률은 종자의 무게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사려된다. 또한 호흡율과 3일간의 초기 초장의 신장간에도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다.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일반적으로 노출된 괴경은 동계 저온에 의한 것보다는 건조에 의한 사멸을 촉진하는 요인이 큰 것으로 보여 진다. 단백질함량은 대, 소맥 전품종에서 처리에 의하여 수량이 감소할수록 높아졌다. (11) 대, 소맥 각품종의 각형질에 미치는 RH-531처리의 영향은 처리농도보다 처리시기에 더욱 지배되는 것으로 인정되었다.A4의 분자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LDH에 대한 피루브산의 저해 실험 결과 35.22-43.47% 의 활성이 남았고, Kmpyr은 0.080-0.098 mM이고 골격근과 눈조직의 Vmax은 153.85와 35.09 units였다. 또한 B4 동위효소가 열에 대해 가장 안정하였고 C4 는 A4 보다 안정하였으며, 최적 pH는 6.5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풀망둑은 저 산소 환경조건에 적응되어져 조직들의 동위효소들이 A4 와 B4 동위효소 사이의 특성을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

The evaluate the effect of plant spacing on cured leaf of burley tobacco, the row spacings divided to 90, 105, 120cm and hill spacings to 30, 35, 40cm within each row. Growth amount per plant increased with thinner row and wider hill spacing in the same planting density. Relative light intensity increased with thinner row spacing in cutters and leaf and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When the planting density was equal, the wider hill spacings, the more effective in utillization of solar radiation. The more plants per l0a were, the greater yield was obtained, and in the case of 3,200 plants per l0a (the most dense planting plot) was 267kg. But, quality, total-alkaloid and total-nitrogen content decreased with dense planting. Value per l0a was highest in the plots of 90 ~times 40cm and 105 ~ times 40cm. In conclusion the optimum density level was 2,400 to 2,700 plants per l0a and spacing of tobacco either in 105 ~times 35 cm or 105 ~times 40cm seems to be most appropriate.

저자
  • 裵成國(한국인삼연초연구소 전주시험장) | 배성국
  • 林海建(한국인삼연초연구소 전주시험장) | 임해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