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재래종 옥수수의 유전적 특성 KCI 등재

A Study on Genetic Nature of Korean Local Corn Lin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13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육종자료를 얻기 이해 수집한 한국 재래종 옥수수 57계통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여 계통분류를 행하고 분류된 계통군별로 주요특성에 대한 유전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특성들의 평균치는 모든 특성에서 교배류형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출수기까지의 일수를 제외한 모든 특성에서 자식된 계통의 것은 세력이 감소되었고 Top 교배된 계통의 것은 세력이 증대되었다. 2. 특성들의 자식열세 정도는 계통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수량, 이삭중, 초장 등에서 비교적 크게 나타났고, 분류된 군별 자식열세 정도는 100립중, 엽수, 엽장, 출수기까지의 일수 등의 특성이 계통군 I에서 컸고 기타의 특성은 계통군 II에서 컸다. 3. 특성들의 잡종강세 정도는 계통간 차이가 있었으며 이삭중, 이삭립중, 수량, 100립중, 초장등에서 높았으며 분류된 군별로 보면 이삭길이, 이삭직경, 이삭중, 이삭당 립중, 100립중, 엽장 등의 특성은 계통군 II에서 높았고 기타의 특성은 계통군 I에서 높았다. 4. 특성들의 동질접합체 정도는 이삭중(79.1%)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삭수(-2.1%)에서 가장 낮았는데 특성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분류된 군별에 있어서도 동질접합체 정도는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계통군 II에서 높은 것이 많았고 계통군 I에서는 낮은 것이 많았다. 5. 형매교배된 계통의 특성과 Top 교배된 계통의 특성과의 상관관계는 모든 특성에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이삭수, 초장, 수량 등에서 높은 상관도를 보였으며 이삭직경, 100립중, 엽수 등에 따라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이었다. 3. 황산암모니아의 시용비율이 높아질수록, 그리고 황산나트륨의 첨가시용으로 출수기 지엽의 광합성 용력이 증대되었으며 수원 26004가 진흥보다 그 반응이 더 뚜렷하였다. 5. 염록소 함량 및 건물중과 엽신의 황의 함량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수원 26004가 진흥보다 더 큰 상관을 보였다. 황산암모니아와 요소를 각각 연용해온 논에서의 시험은 1. 엽록소 함량 및 건물중은 황산암모니아 시용구에서 더 컸으며 수확기 볏짚중의 질소 및 주요 무기성분의 함량은 황산암모니아구가 커서 양분의 잠재능력이 요소구보다 컸다. 2. 황산암모니아의 시용은 수수 및 등숙율을 높히는 경향이었고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수량이 증대되었다.s-U601, -U603, -U604와 -U171은 성장을 더 이상하지 않았다.ta-exotoxin을 생산했는데, 48시간 배양 배지 m 당 70ug을 분비한 균주는 BTK-1이고, BTK-37 균주는 m 당 88ug(6.1 108 Cells/m ) BTK-35 균주는 m 당 81ug(5.2 108 Cells/m )을 생산했고. 그외는 모두 70ug미만이었다. 3. Beta-exotoxi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the Korean local com lines a total of 57 lines were selected from 1,000 Korean local collection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classifi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genetic nature was investigated. There were a great variation in mean values of plant characters of the lines. The mean values of plant characters except for density of kernels varied with types of crossing. All characters except for tasselling dates were reduced in magnitude when selfed, while those characters were increased when topcrossed. The inbreeding depression varied with plant characters and lines. The characters such as yield, kernel weight per ear, ear weight and plant height showed great degree of inbreeding depression. Group I showed high inbreeding depression in such characters as 100 kernel weight, leaf number, plant height and days to tasselling, while group II showed high inbreeding depression in other plant characters. Heterosis of plant characters varied also with lines. The ear weight, kernel weight per ear, yield, 100 kernel weight, and plant height were some of the plant characters showing high heterosis. Group II showed high values of heterosis in such characters as ear length, ear diameter, ear weight, kernel weight per ear, 100 kernel weight and leaf length, while group I was high in heterosis in other plant characters. The degree of homozygosity was highest in ear weight (79.1%) and lowest in ear number per plant (-2.1%). Group II showed higher degree of homozygosity than group I.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haracters of sibbed and topcrossed lines were positive for all characters.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ibbed and topcrossed lines were obtained especially for characters such as ear number per plant, plant height, leaf length and yield per plot.

저자
  • 李仁変(부산산업대학교 생물학과) | 이인섭
  • 崔鳳鎬(충남대학교 농학과) | 최봉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