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도품종의 대기오염적응성 KCI 등재

Study on Adaptability of Rice Varieties at Air-Pollution Sit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2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수도오염지역에 적응하는 수도품종을 선정할 목적으로 10개 장려품종을 공시하여 년중 계속해서 배출되는 복합오염물(SO2 , HF)의 영향을 받고 있는 오염지역과 이로부터 7km 떨어져 있는 비오염지역에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엽내오염물함량, 연반률, 수량 및 엽록소함량을 조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오염지역에서 재배한 벼의 엽내 전류황 및 불소함량이 비오염지역에서보다 많았으며 연반은 오염지역에서만 발생하였는데 다수계품종이 일반계품종보다 연반발생률이 훨씬 높았다. 2. 연반발생률과 오염지역에 대한 비오염지역의 불소함량비율간에는 단상관이 그리고 연반발생률과 불소 및 전류황함량비율간의 중상관은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전류황함량비율과는 관계가 없었다. 3. 공시한 10개 품종중 오염지역에서 수량성이 높았고 비오염지역에 대한 오염지역에서의 수양비율이 높았던 낙동벼. 동진벼, 남풍벼, 서광벼 및 청청벼 둥을 대기오염지역에 적응하는 품종으로 선정할수 있었다. 4. 오염지역에서 생육한 벼는 주당수수, 1,000입중 및 등숙비율이 비오염지역보다 낮았으며 대기오염에 적응하는 품종들은 두 지역간 주당수수 및 등숙비율의 변이가 적었다. 5. 오염지역에서 생육한 벼의 지엽내 엽록소함량은 비오염지역에서의 것보다 낮았는데 엽록소 a가 b보다 대기오염물에 대하여 더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6. 비오염지역에 대한 오염지역의 품종별 수량비율은 품종의 연반율, 두 지역간 엽내 전류황함량비율, 불소함량비율 및 엽록소함량비율 등과 아무런 관계도 인정되지 않았다.

Ten recommended rice varieties were cultivated in paddy area affected by air-pollutants and in normal area to select varieties adaptable to air-pollution environment. Rice plants grown in pollution site showed higher contents of total sulfur and fluorine in leaf through the whole growing period compared with those in non-pollution site, and rice leaves destroyed by air-pollutants were found only in pollution site. Rice grain yield and four yield components of ten rice varieties grown in pollution site were lower than those in normal area. Five rice varieties among ten were selected as adaptable to air-pollution environment, based on their yielding potential in pollution site and grain yield ratio between two sites. Rice varieties adaptable to pollution showed little variation of percent ripened grains and number of panicles per hill between two sites. Chlorophyll content in flag leaf of rice plants grown in pollution area was lower than in non-pollution area.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grain yield ratio (pollution/non-pollution site) of ten varieties and total sulfur content ratio, fluorine content ratio, chlorophyll content ratio between two sites, and percent destroyed leaf in pollution site, respectively. This result suggest that varietal adaptability to air-pollution environment is not related with the amount of pollutants absorbed, but with the degree of response to pollutants.

저자
  • 朴晥澈(한국과학기술 환경공학연구소) | 박완철
  • 金光鎬(건국대학교 농과대학) | 김광호